$\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전략산업 육성 사례 분석을 통한 지역주도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추진 방안
Urban Economic Regeneration Strategies of Local Initiative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olicy Case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7 no.4, 2016년, pp.239 - 249  

류동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주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지역 주도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남시와 고양시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정책 사례를 지역산업 정책방향, 제도적 기반 구축, 전문 전담 조직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에 있어 최우선 과제는 전략산업을 선정하고 어떻게 육성할 것인지, 사업성과의 확산을 위한 핵심사업의 추진방향과 공간적 기능적 연계방안에 대한 마련 등 명확한 정책방향을 세우는 일이다. 이를 통해 정책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경제활동주체들을 유인, 지역산업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주도의 경제활성화 정책 추진 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의 실효성과 다양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자체 조례, 규칙 등을 통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고 중앙부처 등과의 연계를 통해 지원정책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것도 필요하다. 민간부문이 공공이 의도하는 정책에 참여토록 유도하기 위한 지자체의 민관협력 방안이 강구될 필요도 있다. 셋째, 정책의 효과성과 기업지원서비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정책 연구 및 기획, 사업관리, 경제주체 간의 네트워크 촉진 등을 전담하는 조직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for urban economic regeneration strategies of local initiative by analyzing of promot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both Seongnam and Goyang in terms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stitution and specialized service agency. The main results based on the c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사례로부터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으로 진행된다. 주요 연구방법은 사례 분석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 주도의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성남시와 고양시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정책 사례를 분석한다. 첫째는 지역산업 정책방향으로서 전략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산업을 선정하고 경제 활성화 거점으로서 물리적 기반 조성 사업을 추진해온 과정을 지자체의 중장기 지역발전계획, 전략산업 육성계획 등 관련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한다.
  • 시는 선도전략산업의 특성을 활용, 문화컨텐츠의 생산과 상품화를 통해 관광·여가 산업과 연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목적의 연장선에서 지역의 자원을 활용·연계하여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는 지역 주도의 상향식 지역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역의 경제·산업기반 강화를 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해 온 일부 지자체의 사례를 분석을 통해 지역 주도의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추진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기반의 미흡, 사업추진 경험의 부족 등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주도의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일부 지역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 경제기반형 도시재생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개념적 고찰에 관한 연구와 사업추진을 위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전자의 경우는 「도시재생특별법」제정 및 제도 도입 초기 단계에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지향 방향에 대한 공통의 이해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제도 도입의 취지, 대상 지역, 사업 유형 등을 예시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도시재생사업단, 2012; 김혜천, 2013; 국토교통부, 20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은 무엇을 지향하나? 위의 정의에 명시된 대상지역들은 지역경제·산업의 중추적 시설이면서 동시에 개발을 통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등 개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대상지역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은 기존 산업구조의 고도화 또는 전환을 위한 공간적·기능적 거점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의 경제기반 전반을 강화하는 것을 지향한다(도시재생사업단, 2013; 유재윤 외,2013; 이왕건, 2014).
중원구 및 분당구 일대에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받은 후의 횡보는? 47㎢의 지역을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받았다.5) 이후 지속적으로 IT융합, 콘텐츠(게임), 메디바이오 등 지구 내 집적된 산업 부문과 지역 내 연계·특화를 위한 육성 전략 및 정책적 지원을 추진해 오고 있다. 2008년에는 위의 집적 업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지원조례를 제정하는 등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업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후 2014년에는 지역의 장기 종합발전계획인「성남비전 2020」을 수립하고 민간부문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투자펀드 조성, 액셀러레이터와 스타트업 기업과의 연결 등 특화발전 지원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도시재생특별법에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을 어떻게 정의하나? 현행「도시재생특별법」의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은 “산업단지,항만, 공항, 철도, 일반국도, 하천 등 국가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도시·군계획시설의 정비 및 개발과 연계하여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고용기반을 창출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 외 도심 내 공공청사 이전부지, 유휴·노후 국공유지 등 또한 대상지역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한국의 지역전략산업, 폴리테이아. 

  2. 국토교통부(2014),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3. 김석현(2013), "지역산업 정책방향과 과제", 지역균형발전론의 재구성 (강현수 외 공저), 185-214. 

  4. 김인환(2012), "고양아쿠아스튜디오의 현황과 가능성", 2012년 한국방송공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 김주진 등(2015),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민자 사업의 착안점과 공공의 역할:핵심사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86: 89-105. 

  6. 김현호 등(2014), 지역발전론, 지방행정연수원. 

  7. 김형기 등(2007), 대안적 발전모델:신자유주의를 넘어, 한울. 

  8. 김혜천(2013),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6:1-22. 

  9. 도시재생사업단(2013),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한울. 

  10. 박인권(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 1-25. 

  11. 박정은(2015), "경제기반형 도시재생과 민간부문 활성화 전략", 국토의 미래와 도시의 경쟁력 세미나 발표자료. 

  12. 여형범(2013), "내발적 지역발전 정책 방향과 과제", 지역균형발전론의 재구성 (강현수 외 공저), 261-285. 

  13. 유재윤 등(2013),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국토연구원. 

  14. 유재윤 등(2014), 도시재생에 대한 민간비즈니스 부문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5. 이길환(2014),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현실과 과제", Urban Review, 32: 14-15. 

  16. 이왕건(2014), "도시재생 선도지역 유형별 성공과제", Urban Review, 32: 8-9. 

  17. 이희연(2011), 경제지리학, 법문사. 

  18. 조준혁 등(2015), "고양시 영상콘텐츠산업 육성정책방향과 추진전략", 도시정책연구, 6: 63-75. 

  19. 지역발전위원회(2009),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전략. 

  20. 한승욱(2014),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현실과 과제", Urban Review, 32: 12-13. 

  21. Boekholt, P. and B. Thuriaux (1999), Public Policies to facilitate clusters. Background, rationales and policy practices o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OECD(eds). 

  22. Christoperson, S. et al. (2010), "Regional resilience: theori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Regions, Economy and Society, 3: 3-10. 

  23. LDDC (2004), LDDC 1981-1998. 

  24. Martin, R. (1998), "Slow convergence? the new endogenous growth theory: theory and regional development", Economic Geography, 74: 201-227. 

  25. Stimson, R. et al. (2009), Leadership and Institutions in Regional Endogenous Development, Edward Elga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