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색, 갈등, 도전, 그리고 변화 -물리교과교육 수업을 위한 한 교사교육자의 셀프스터디-
Exploration, Conflicts, Challenges, and Changes: A Teacher Educator's Self-Study for Secondary School Physics Instruction Cours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5, 2016년, pp.739 - 756  

최재혁 (전남대학교) ,  조광희 (조선대학교) ,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  김희경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소재 교사양성대학에서 근무하는 교사교육자인 '나'와 비판적 동료 3인이 셀프스터디를 통해 '나'와 나의 강의에 대해 심도 있게 성찰하고, 비판적 동료와의 협력적 검토를 바탕으로 나의 강의 개선을 시도하는 데에 있다. 2015년 예비 실행을 거쳐 2016년 3월부터 4학년 17명이 참여하는 교과교육 강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1주간 약 40시간의 강의를 촬영하였으며 강의자인 나의 반성적 저널, 예비교사의 강의 평가 자료, 온라인 게시판 내용 등을 토대로 강의 전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강의 참여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4명을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비판적 동료 3인은 강의 시작 전부터 연구의 방향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협의하였으며, 학기 중에는 매주 1회 해당 강의 녹화 자료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반응, 강의 개선 방향 등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였다. 강의 실행의 과정은 실행의 목적에 따라 크게 탐색, 갈등, 도전, 변화의 4가지 국면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교사교육자로서 '나'는 '연구자로서의 나', '강의자로서의 나', '대학 행정관리자로서의 나'라는 다중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고 종종 이들 사이에 갈등이 나타났다. 둘째, 강의자와 학습자 사이에 교과교육 강의의 필요성과 가치 등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것이 강의를 진행하는 데 있어 큰 어려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신의 실행을 의도적으로 비판적 시각에서 관찰하여 '나'의 인식의 확장을 유발하였고, 강의에서는 '나'와 예비교사들의 소통과 협력적 실행으로 연결되었다. 그리고 비판적 동료와 함께 한 셀프 스터디는 '나'의 실행과 관련된 신념, 개인적 고민이나 갈등을 공동의 성찰 대상으로 끌어올려 각자의 시각과 대안을 지속적으로 교환하면서 균형 잡힌 해석과 연구 방향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 교육자인 '우리'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lect on 'myself' as a teacher educator of college of education in depth and to improve my instruction through self-study with three critical collaborators. 1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I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a teacher educator's course since M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스터디란?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우리는 셀프스터디(self-study)에 주목하게 되었다. 셀프스터디란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서 자기 자신, 자신의 실천, 자신의 생각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Hamilton & Pinnegar, 1998; Samaras, 2011). 셀프스터디의 가장 큰 특징은 연구가 자기로부터 시작되어 자기 자신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며, 나아가 수업 개선 등 실행의 개선을 추구한다는 것이다(Loughran, 2007; Lee et al.
셀프스터디가 주목받는 이유는? 이와 같은 셀프스터디는 질적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심도 있고 비판적인 성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을 지향한다는 특징(Loughran, 2007)으로 인해 교사교육자 자신의 신념과 실행을 탐구하고 교사교육 분야의 지식에 공헌하는 수단을 탐구하는 데에 적절한 방법으로 여겨져 왔다(Dinkelman, 2003). 또, 다양한 차원의 교수 실행을 지원하고 성과물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Pinnegar & Hamilton, 2009).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국내 교육학계에서도 셀프스터디로 수행한 연구들이 2000년대 중반 이후 발표되고 있다(e.
셀프스터디의 가장 큰 특징은? 셀프스터디란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서 자기 자신, 자신의 실천, 자신의 생각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Hamilton & Pinnegar, 1998; Samaras, 2011). 셀프스터디의 가장 큰 특징은 연구가 자기로부터 시작되어 자기 자신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며, 나아가 수업 개선 등 실행의 개선을 추구한다는 것이다(Loughran, 2007; Lee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ubusson, P., Griffin, J., & Steele, F. (2010). A design-based self-study of the development of student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Studying Teacher Education, 6(2), 201-216. 

  2. Baird, J. (2007). Interpreting the what, why and how of self-study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n J. J. Loughran, M. L. Hamilton, V. K.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1443-1481). Dordrecht: Springer. 

  3. Beijaard, D., Meijer, P. C., & Verloop, N. (2004). Reconsidering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2), 107-128. 

  4. Berry, A. (2007). Tensions in teaching about teaching: A self-study of the development of myself as a teacher educator. Dordrecht: Springer. 

  5. Bullough, R. V., & Pinnegar, S. E. (2004). Thinking about the thinking about self-study: An analysis of eight chapters. In J. J. Loughran, M. L. Hamilton, V. K.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313-342). Springer Netherlands. 

  6. Clarke, A., & Erickson, G. (2007). The Na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elf-Study. In J. J. Loughran, M. L. Hamilton, V. K.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41-67). Springer Netherlands. 

  7. Cochran-Smith, M. (2005). Teacher educators as researchers: multiple perspectiv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2), 219-225. 

  8. Cochran-Smith, M., & Lytle, S. L (1999).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practice: Teacher learning in communitie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4(1), 249-305. 

  9. Dalmau, M. C., & Gudjosdotir, H. (2002). Framing professional discourse with teachers: Professional working theory. In J. Loughran and T. Russell (Eds.), Improving teacher education practices through self-study (pp. 102-129). London: Routledge Falmer. 

  10. Day, C., Kington, A., Gu, Q., & Sammons, P. (2005). The role of identity in variations in teachers' work, lives and effectiveness. In Paper presented as part of a TLRP Seminar Series. 

  11. Dias, M., Eick, C. J., & Brantley-Dias, L. (2011). Practicing what we teach: A self-study in implementing an inquiry-based curriculum in a middle grades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1), 53-78. 

  12. Dinkelman, T. (2003). Self-study in teacher education a means and ends tool for promoting reflective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1), 6-18. 

  13. Faikhamta, C., & Clarke, A. (2013). A self-study of a Thai teacher educator develop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PCK for teaching about teaching scien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3), 955-979. 

  14. Hamilton, M. L., & Pinnegar, S. (1998). Conclusion: The value and the promise of self-study. In M. L. Hamilton (Ed.), Reconceptualizing teaching practice: Self-Study in teacher education (pp. 235-246). London: Falmer Press. 

  15. Han, J. (2012). Autobiographic research on the life of an assistant professor of science education at a college of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1-13. 

  16. Jo, K., Kim, H., Choi, J., & Joung, Y. J. (2016). Exploration on the features and possibility of self-study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457-470. 

  17. Kim, Y. & Lee, D. (2011). An Inquiry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autoethnograph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9(4), 1-27. 

  18. Korthagen, FAJ, Willems, GM, Stakenborg, JHJ, & Veugelers, W. (2000). Teacher educators: From neglected group to spearhea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rends in Dutch teacher education, 35-48. 

  19. Koster, B., & Dengerink, J. (2001). Towards a professional standard for Dutch teacher educator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3), 343-354. 

  20. Koster, Bob, Brekelmans, Mieke, Korthagen, Fred, & Wubbels, Theo. (2005). Quality requirements for teacher educa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2), 157-176. 

  21. LaBoskey, V. K. (2004). The methodology of self-study and its theoretical underpinnings. In J. J. Loughran, M. L. Hamilton, V. K.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817-869). Springer Netherlands. 

  22. Lee, H. (2007). The self-narrative of development of a Korean high school teacher. Anthropology of Education, 10(2), 131-170. 

  23. Lee, H., Shim, Y., Kim, N., & Lee, H. -M. (2012). An inquiry into the rationale for self-study of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8(2), 5-43. 

  24. Loughran, J. J. (2007). A history and context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In J. J. Loughran, M. L. Hamilton, V. K.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7-39). Dordrecht: Springer. 

  25. Luft, J. A., & Roehrig, G. H. (2007). Capturing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beliefs interview.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2). 

  26. Pak, S., Chang, H., & Cho, M. (2010). Autoethnography: Exploration of its value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anthropology and education. Anthropology of Education, 13(2), 55-79. 

  27. Pinnegar, S., & Hamilton, M. L. (2009). Self-study of practice as a genre of qualitative research: Theory, methodology, and practice (Vol. 8).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8. Samaras, A. P. (2011). Self-study teacher research: Improving your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inquiry. LA: Sage Publications. 

  29. Sung, Y. (2005).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Anthropology of Education, 8(2), 181-209. 

  30. Swennen, A., Jones, K. & Volman, M. (2010). Teacher educators: Their identities, sub-identitie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36(1-2), 131-148. 

  31. Trent, J. (2013). Becoming a teacher educator: The multiple boundary-crossing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 educato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4(3), 262-275. 

  32. Wood D., & Borg T. (2010). The rocky road: The journey from classroom teacher to teacher educator. Studying Teacher Education, 6(1), 17-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