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SI 토론 수업에서 SNS 활용이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Decision-Making Skills in SSI Class Based on Debate by Utilizing SNS in Terms of Students' Personality Trai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5, 2016년, pp.757 - 768  

장서윤 (수지고등학교) ,  차희영 (한국교원대학교) ,  박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철진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육색사고모자라는 창의적 기법을 적용한 SSI 토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SNS 토론과 기존 면대면 토론 후 논증유형의 차이와 학생의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맞춤아기, 배아줄기세포연구, 낙태의 합법성을 주제로 한 3가지 SSI 토론 수업을 SNS를 활용한 토론 집단과 면대면 토론 집단으로 각각 2 학급씩 나누어 학생별 성격특성 검사지를 통해 학생의 성격유형을 외향성, 수용성, 성실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창의적 사고 기법인 육색사고모자 기법을 이용한 창의적 토론방법을 사전 교육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다. 토론 활동이 끝난 후 SNS를 활용한 토론을 한 학생들의 토론 내용은 텍스트로 저장하였고 면대면 토론을 한 학생들의 토론과정에 작성한 활동지와 수업 활동을 촬영한 동영상과 녹음파일을 전사 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주제에 대한 최종의견을 주장할 때 사용한 논증 유형과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SNS 토론과 면대면 토론에서 사용한 논증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한 논증유형은 인과 유형이었고, SNS 토론의 경우 인과 유형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논증유형은 징표, 유추, 권위, 동기 순이었다. 그에 비해 면대면 토론 결과 인과 유형이 전체 논증 유형의 76% 이상이었고, 나머지 논증 유형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거나 주제에 따라 유추, 권위, 동기의 논증 유형을 1~2회 정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면대면 토론을 한 학생보다 SNS 토론을 한 학생들이 인과 이외에도 일반화, 분류화와 병렬적 사례 등의 다양한 논증유형을 사용하였다. 학생의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의 세 가지 요인인 쟁점의 복잡성, 관점의 다양성, 탐구의 객관성 결과를 분석해보면 의사결정능력의 '쟁점의 복잡성'요인에서는 수용성의 학생그룹에서만 SNS 토론집단과 면대면 토론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관점의 다양성'요인에서는 외향성, 수용성, 성실성 모두 SNS 토론집단과 면대면 토론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탐구의 객관성'요인에서는 외향성, 수용성, 성실성 모두 SNS 토론집단과 면대면 토론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육색사고모를 이용한 SSI 주제의 토론수업이 기존의 면대면 토론보다 SNS 토론이 학생들이 다양한 논증유형을 사용해 주장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고 의사결정능력 검사의 '관점의 다양성'의 요인에서 성격특성에 관계없이 SNS 토론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SSI 주제에 대해 육색사고모자를 활용한 SNS 토론이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 보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n SSI (Socio-Scientific Issue) discussion program that applies a creative technique called six thinking hats, and th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rgumentation patterns and effects on the decision-making abilities of each character feature of students between SNS debate 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격 5요인 모델은 인간의 기본 성격 특성 차원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현재 일반적으로 성격특성에 대한 의미 있는 분류 체계로 5가지의 확고한 성격 요인이 있는데, 이를 성격 5요인 혹은 ‘Big Five’라고 부른다(DeRaad, Hendrike & Hofstee, 1992). 성격 5요인 모델은 인간의 기본 성격 특성 차원을 ‘외향성 (Extraversion)’, ‘수용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신경증(Neuroticism)’, ‘(지적)개방성(Openness)’으로 구분한다(Barrick & Mount, 1991). 다섯 가지 성격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학습 성과와 학습자의 성격요인과의 관계는 다소 엇갈리거나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SNS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교육에서의 장점은 무엇인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을 통한 SNS (Social Network Service) 기술이 발달하면서 학습자는 같은 생각과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협업,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정보를 단순히 전달받는 수동적 지식의 수요자에서 지식을 만들어내는 능동적 생산자가 될 수 있다(Bang, 2012). 또한 신속하게 의견과 정보를 공유하는 수평적인 소통이 중요시 되면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토론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교육 목표인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 향상을(MEST, 2008)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이란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다양한 근거를 기반으로 합리 적인 절차에 따라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의사 결정자는 문제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판단을 해야 한다(Banks & Clegg, 1973; Kurfman, 1977). 과학 기술과 관련된 사회의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은 과학 교육 과정 에서 중요시 하고 있으며(Zeidl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J., & Cha, H. (2014). Analysis of the types of claims and argumentations in science debate classes of fifth graders. KNU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 63-83. 

  2. Bang, S. (2012). A Study on strategies of self-directed learning to promote smart learning.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8(1), 93-112. 

  3. Banks, J. A., & Clegg, A. A. (1973).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Inquiry, valuing, and decision-making. Addison-Wesley Pub. Co.. 

  4. Barrick, M. R., & Mount, M. K. (1991).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44(1), 1-26. 

  5.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3). 352-377. 

  6. Brockriede, W. & Ehninger, D.(1960). "Toulmin on argument: A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Quarterly Journal of Speech, 46. 

  7. Chen, S., & Caropreso, E. J. (2004). Influence of personality on online discussion. Journal of Online Interactive Learning, 3(2), 1-17. 

  8. Cho, S. (2014)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n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2(3), 311-334. 

  9. Chung, Y., Mun, K., & Kim, S. (2010). Explora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in the science textbook. Explora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in th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Le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3), 435-456. 

  10. De Bono, E. (2012). Six Thinking Hats. TM. 

  11. De Raad, B., Hendrikes, A. A. J. & Hofstee, W. K. B.(1992). Toward a refined structure of personality traits.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6(4), 301-319. 

  12. De Raad, B. & Schouwenburg, H. C. (1996). Personality in learning and education: A review.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0, 303-336. 

  13.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14. Eastwood, J. L., Sadler, T. D., Zeidler, D. L., Lewis, A., Amiri, L., & Applebaum, S. (2012). Contextualiz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5), 2289-2315. 

  15. Hong, S., (2014). The Argumentation structure of SNS debate and its character-focusing on mobile debate on the NAVER BAND. The Korean Journal of Art and Media, 13(2), 157-173. 

  16. Jang, E., & Chang, H., (2013a). The differences between Web-based debate and Social Network Service(SNS)-based debate on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1-25. 

  17. Jang, E., & Chang, H. (2013b). Exploration of debate strategies on SNS tools, creativity techniques and group size for Social Network Service(SNS)-based debate.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693-721. 

  18. Jeong, E., & Kim, Y. (2001). The Views of secondary biology teachers and students on bioethics education. Biology Education, 29(2) 144-167. 

  19. John, O. P., & Strivastava, S. (1999). The Big-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nd edition). NY: Guilford. 

  20. Kang, M., Um, S., & Lee, J. (2010). The Effects of learner's traits and interactions o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3), 53-79. 

  21. Kim, E., & Kim, J., (2011). A Development of Android based debate learning system for divergent thinking cultiv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1), 137-146. 

  22. Kim, H., & Lee, S., (1996). Second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technology related issu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4), 461-469. 

  23. Ko, Y., & Shin, W., (2011). An Analysis of discussion using online discussion forum and smartphon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7(3), 129-150. 

  24. Koo, Y., & Seo, J.,(2014) Effects of collaborative reflections using SNS on college student'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6(4), 659-685. 

  25. Kurfman, D. G. (1977). Developing Decision-Making Skills. 47th Yearbook, 1977. 

  26. McCroskey, J. C. (1970). Measures of Communication-Bound Anxiety. 

  2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2008). Middle School Curriculum Reference Book(III). MEST. 

  28. Moon, K. (200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b-based discussion model for value inquiry in biology educ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0).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vailable at: http://www7.nationalacademies.org/bose/Standards_Framework_Homepage.html 

  30. Roberts, D. A. (2007). Scientific literacy/science literacy.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p. 729-780). Mahwah, NJ: Erlbaum. 

  31. Sadler, T. D. (2004).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32. Sadler, T. D., Barab, S. A., & Scott, B. (2007).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4), 371-391. 

  33.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34. Toulmin, S. E. (1958).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 14). Genesis Publishing Pvt Ltd. 

  35. Um, S. (2010). Verific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learner's traits and interactions o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36. Yun, M. (2006). (The) Analysis of decision-making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Focus on socioscientific issu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37. Zeidler, D. L., Herman, B. C., Ruzek, M., Linder, A., & Lin, S. S. (2013). Cross-cultural epistemological orientations to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3), 251-283. 

  38.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7-38).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9. Zeider, D. L., Sadler, T. D., Applebaum, S., & Callahan, B. 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e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40.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