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5, 2016년, pp.769 - 781  

노태희 (서울대학교) ,  박재성 (서울대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 화학교사가 지필평가 문항을 개별 및 소집단별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 8명의 개별 지필평가 문항 제작 활동에 대한 발성사고 과정을 분석한 결과, PCK 구성 요소 중에서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측면이 가장 많이 고려되었으며,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측면도 비교적 많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 측면은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PCK 구성 요소 중 2가지 측면 또는 3가지 측면의 통합이 다양한 유형으로 자주 나타났으나, 4가지 이상의 측면이 통합된 경우는 없었다. 한편 각 4명의 예비교사로 구성된 2개 소집단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을 분석한 결과, 고려된 PCK 구성 요소의 경우 개별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과 비교하여 전반적인 양상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측면은 약간 적게 고려되었고, 나머지 4가지 측면에서는 비교적 높은 빈도로 고려된 하위 항목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통합 수준에서는 2가지 측면의 통합의 발생 비율은 감소하고 3가지 측면의 통합의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4가지 및 5가지 측면의 통합이 새롭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을 포함한 통합은 감소하였고,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 측면을 포함한 통합은 여전히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among the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individually and in small groups.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individually for 8 pre-service teachers was studied thr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 관련 활동의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PCK 계발을 도모하는 접근방법의 예시는?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실제 교수-학습 설계 및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이 자신의 PCK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관련 활동의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PCK 계발을 도모하는 접근 방법은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수 설계 과정에서 교사가 PCK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교사들의 교수 설계 능력과 PCK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Schwarz et al., 2008), 교수 설계 및 분석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의 PCK 향상 가능성도 일부 확인되었다(Beyer & Davis, 2012).
과학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현을 위해 중요한것은? 과학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현을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최근에는 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계발이 교사교육의 중점이 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과학교사의 PCK 계발 전략들은 어떠한가? 지금까지 개발된 과학교사의 PCK 계발 전략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PCK의 모든 요소들에 대해 포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예를 들어, 코티칭, 멘토링, 컨설팅 등과 같이 다른 교사나 전문가가 예비 및 현직 교사들에게 PCK 계발에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전략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Go & Nam, 2013; Joung & Kang, 2011; Marable & Raimondi, 2007; Noh, Kang & Kang, 2012; N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2. Choi, B.-S., Kang, S., Kang, S., Kang, S., Kong, Y.-T., Kwon, H., Kim, J., Nam, J., Noh, S.-G., Park, J., Park, H., Paik, S.-H., Lee, B.-H., Lee, S. K., & Choi, M.-H. (2004). A study on the chemistry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 Paju: Freedom Academy Publishing Co. 

  3. Choi, H. S., & Kim, J. B. (2013). A study on performance level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 constructing questions for classroom assessment - Focused on analysis of multiple choice question about physics conceptest for formative assess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3), 458-475. 

  4. Choi, J.-I., & Paik, S.-H. (2016).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87-101. 

  5.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6. Go, M., & Nam, J. (2013).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94-113. 

  7. Gottheiner, D. M., & Siegel, M. A. (2012). Experience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Investigating knowledge of students' conceptions in genetics and ways to shape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5), 531-557. 

  8. Jang, S.-M., & Kim, J.-Y. (2002). Analysis on the statu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bas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227-240. 

  9. Joung, K.,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the use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239-255. 

  10. Kang, H., & Kang, S. (201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diagnosis on their competency for assessment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2), 153-163. 

  11. Kim, C.-J., Chae, D., & Lim, C.-S. (2005). Introduction to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학 개론]. Seoul: Bookshill Publishing Co. 

  12. Kim, H.-J., Kwack, D.-O., & Sung, M.-W. (2000).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01-111. 

  13. Kim, H. J., & Yoo, J. (2012). An analysis on rater error in holistic scor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vestiga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 160-181. 

  14. Kim, S., Choi, E., & Paik, S. (2015).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factor about middle school science descriptive assessmen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9(5), 445-453. 

  15. Kim, S.-W., & Hyun, M.-S. (2005).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general matter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9(2), 213-232. 

  16. Ko, M., Nam, J., & Lim, J. (2009).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1), 54-67. 

  17. Kwak, Y. (2006).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4), 527-536. 

  18. Lee, H., Choi, K., & Nam, J.-H. (2000).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79-490. 

  19. Lee, I., Kim, B.-K., Lee, B., Park, J., Jin, J., Kim, O., Seo, S., Kim, S., Kang, S., Kwon, J., Kim, S.-W., Paik, S.-H., Shin, D.-H., Lee, H., Cho, H.-H., & Cha, H.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sessment of students [과학과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Research report RRE 2004-5-5).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 Marable, M., & Raimondi, S. (2007).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was most (and least) supportive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Mentoring &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15(1), 25-37. 

  21. Min, H. J.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expertise model through analyzing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2. Nam, M., Park, S., Song, M., Kim, K., Kim, S., Cho, I., Lim, W., Lee, K., Oh, S., Kang, M., & Kang, J. (2006). A study on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in students assessment (III)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I)] (Research report RRE 2006-5).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3. Noh, T., Kang, S., & Kang, H. (2012).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331-345. 

  24. Noh, T., Lee, J., Kang, S., & Kang, H. (2015).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ctual and preferred types of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25-733. 

  25. Noh, T., Yang, C., Kim, Y., & Kang, H. (2012).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655-670. 

  26. Noh, T., Yoon, J., & Kang, S. (2009).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352-360. 

  27. Park, H. J., Jeong, D. H., & Choi, W. H. (2011).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61-77. 

  28. Park, S., & Chen, Y.-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29. Ruiz-Primo, M. A., Li, M., Wills, K., Giamellaro, M., Lan, M.-C., Mason, H., & Sands, D. (2012). Developing and evaluating instructionally sensitive assessment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6), 691-712. 

  30. Schwarz, C. V., Gunckel, K. L., Smith, E. L., Covitt, B. A., Bae, M., Enfield, M., & Tsurusaki, B. K. (2008). Hel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 to use curriculum material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2), 345-377. 

  31. Stanulis, R. N., Little, S., & Wibbens, E. (2012). Intensive mentoring that contributes to change i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to lead classroom discuss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1), 32-43. 

  32. Yang, C., & Kang, H. (2013). Analysi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373-389. 

  33. Yoon, H.-G. (2012).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03-7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