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비백금 상대전극을 위한 니켈 나노입자-흑연질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Ni Nanoparticles-Graphitic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Pt-Free Counter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11, 2016년, pp.649 - 655  

오동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구본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공학-바이오소재 융합 협동과정 신소재공학프로그램) ,  이유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혜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 nanoparticles (NPs)-graphitic carbon nanofiber (GCNF) composites were fabricated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The amounts of Ni precursor used as catalyst for the catalytic graphitization were controlled at 0, 2, 5, and 8 wt% to improv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s of the nanoparticles an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비백금 상대 전극을 개발하기 위하여 Ni 나노입자가 내재된 흑연질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복합체 내에 함유된 Ni 전구체의 무게비에 따라 복합체의 형태적, 구조적,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기화학 및 광변환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금 촉매의 단점은? 3)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 전극은 I3−/I− 산화환원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광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해 우수한 촉매 특성과 높은 전자 이동 특성을 갖는 백금 촉매를 대표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백금 촉매는 매장량의 한계로 인해 가격이 높을 뿐 아니라 요오드 전해질과 반응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4,5)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백금 촉매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들이 보고되고 있다.
백금 촉매를 대체하기 위한 탄소 소재의 장점은? 4,5)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백금 촉매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들이 보고되고 있다.6,7) 특히 탄소나노튜브, 그래핀과 탄소나노섬유 등을 포함하는 탄소 소재는 저가격, 높은 전기전도도 및 요오드 전해질에 대한 화학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 전극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8) 그중에서도 1차원 나노구조의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fibers,CNFs)는 넓은 비표면 적과 낮은 전하이동 저항 등의 장점으로 인해 상대 전극 소재로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백금 촉매보다 낮은 광 변환 효율을 보이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란?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매우 유사한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해 내는 시스템이다.1)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간단한 구조, 저렴한 제조단가, 친환경성 및 소자의 투명성과 유연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L. An, H.-R. Kang, H. J. Sun, J. H. Han and H.-J. Ahn, Korean J. Mater. Res., 25, 672 (2015). 

  2. M. Wu, X. Lin, T. Wang, J. Qiu and T. Ma, Energy Environ. Sci., 4, 2308 (2011). 

  3. W. J. Lee, E. Ramasamy, D. Y. Lee and J. S. Song, ACS Appl. Mater. Interfaces, 1, 1145 (2009). 

  4. H.-R. An and H.-J. Ahn, Korean J. Mater. Res., 24, 565 (2014). 

  5. M. Wang, A. M. Anghel, B. Marsan, N.-L. C. Ha, N. Pootrakulchote, S. M. Zakeeruddin and M. Gratzel, J. Am. Chem. Soc., 131, 15976 (2009). 

  6. D.-H. Oh, H. L. An, B.-R. Koo and H.-J. Ahn,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3, 95 (2016). 

  7. F. Gong, X. Xu, Z. Li, G. Zhou and Z.-S. Wang, Chem. Commun., 49, 1437 (2013). 

  8. H.-R. An, H. An, W.-B. Kim and H.-J. Ahn, ECS Solid State Lett., 3, M33, (2014). 

  9. G.-H. An, T.-K. Lee and H.-J. Ahn,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2, 367 (2015). 

  10. K. Saranya, A. Subramania, N. Sivasankar and S. Mallick, Mater. Res. Bull., 75, 83 (2016). 

  11. I. M. A. Mohamed, M. Motlak, M. S. Akhtar, A. S. Yasin, M. H. E.-Newehy, S. S. A.-Deyab and N. A. M. barakat, Ceramics Int., 42, 146 (2016). 

  12. P. Joshi, L. Zhang, Q. Chen, D. Galipeau, H. Fong and Q. Qiao, ACS Appl. Mater. Interfaces, 2, 3572 (2010). 

  13. G. Veerappan, K. Bojan and S.-W. Rhee, ACS Appl. Mater. Interfaces, 3, 857 (2011). 

  14. Y. Aykut, ACS Appl. Mater. Interfaces, 4, 3405 (2012). 

  15. T. A. Ezquerra, M. T. Connor, S. Roy, M. Kulescza, J. F.- Nascimento and F. J. B.-Calleja, Compos. Sci. Technol., 61, 903 (2001). 

  16. A. Yousef, M. A. Akhtar, N. A. M. Barakat, M. Motlak, O.-B. Yang and H. Y. Kim, Electrochim. Acta, 102, 142 (2013). 

  17. X. Chen, M. Li, J. Guan, X. Wang, C.T. Williams and C. Liang, Ind. Eng. Chem. Res., 51, 3604 (2012). 

  18. S.Y. Gu, J. Ren and G.J. Vancso, Eur. Polym. J., 41, 2559 (2005). 

  19. S. Arai, M. Endo and N. Kaneko, Carbon, 42, 641 (2004). 

  20. Q. Lin, Z. Feng, Z. Liu, Q. Guo, Z. Hu, L. He and H. Ye, Carbon, 88, 252 (2015). 

  21. Y. Liu, Q. Liu, J. Gu, D. Kang, F. Zhou, W. Zhang, Y. Wu and D. Zhang, Carbon, 64, 132 (2013). 

  22. H. L. An, G.-H. An and H.-J. Ahn, Korean J. Mater. Res., 26, 250 (2016). 

  23. M. Rameez, K. Saranya, A. Subramania, N. Sivasankar and S. Mallick, Appl. Phys. A, 122, 71 (2016).. 

  24. N. Deprez and D. S. Mclachlan, J. Phys. D: Appl. Phys., 21, 101 (1988). 

  25. M. Gratzel, J. Photochem. Photobiol. C: Photochem. Rev., 4, 145 (2003). 

  26. M. Gratzel, Inorg. Chem., 44, 6841 (2005). 

  27. J. Wu, Q. Li, L. Fan, Z. Lan, P. Li, J. Lin and S. Hao, J. Power Sources, 181, 17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