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혈압 인지율의 평가와 연령별 특성
Hypertension awareness and the related factors by ag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5, 2016년, pp.37 - 46  

천희란 (중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일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hypertension and its age-specific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9) of 14,637 subjects aged 30 and older. Self-reported prev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생애주기별로 고혈압 인지율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련된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이 연구는 고혈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연령별 고혈압 인지율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09)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인지율의 정확도를 확인하고, 연령별로 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혈압 자가보고 자료의 신뢰도(k 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표본자료를 분석하여, 측정혈압 자료를 기준으로 자가 보고 고혈압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연령별로 고혈압 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30%에 해당하는 인구가 여전히 고혈압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년층(30-44세)에서 미인지율이 70%에 이르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국 국립보건원 JNC-7 보고서 고혈압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 JNC-7 보고서(The 7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의 고혈압 진단 기준을 참조하였다. 즉, 측정혈압을 기준으로 한 고혈압 진단을 황금기준(gold standard)으로 보고, 측정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90mHg 이상 일 때와 현재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경우를 고혈압으로 정의하였다. 응답자가 보고한 주관적 고혈압 유병률은 의사에게 진단받은 고혈압을 포함하여 본인이 고혈압이 있다고 보고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혈압을 조기발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러나 고혈압 질환의 특성상 합병증이 발생할 때까지 특별한 증세를 느끼지 못하거나 인지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The Korean Society for Hypertension, 2013; National Hypertension Center, 2015). 궁극적으로 고혈압을 조기발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인의 혈압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과제이며 조기치료의 첫걸음이다. 또한 본인의 정확한 혈압인지는 자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고혈압 감시 프로그램 및 예방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시발점 된다.
고혈압 자가보고 자료의 인지율은 어떤 요인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는가? 국내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고혈압 자가보고 자료의 인지율은 결혼상태, 교육 수준, 소득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이나 건강수준뿐만 아니라 연령이나 성별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Ostchega, Dillon, Hughes, Carroll, & Yoon, 2007; Jeong, Choi, Jang, Hong, Choi, & Choi et al., 2007; Alsuwaida & Alphonaim, 2011; Tian, Dong, Wang, Liu, Lin, Men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suwaida, A., & Alphonaim, M (2011). Gender disparities in the awareness and control of hypertension. Clinical Experimental Hypertension, 33(5), 354-357. 

  2. Boudreau, D. M., Daling, J. R., Malone, K. E., Gardner, J. S., Blough, D. K., & Heckbert, S. R. A. (2003). Validation study of patient interview data and pharmacy records for antihypertensive, Statin,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 use among older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9(3), 308-317. 

  3. Chang, D. M., Park, I. S., & Yang, J. H. (2013).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Korea: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1), 509-519. 

  4. Dey, A. K., Alyass, A., Muir, R. T., Black, S. E., Swartz, R. H., Murray, B. J., & Boulos, M. I. (2015). Validity of Self-Repor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 Population at High Risk for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4(12), 2860-2865. 

  5. Fagard, R, H., & Cornelissen, V. A. (2007). Incidence of cardiovascular events in white-coat, masked and sustained hypertension versus true normotension: a meta-analysis. Journal of Hypertension, 25(11), 2193-2198. 

  6. Gorber, S. C., Tremblay, M., Campbell, N., & Hardt, J. (2008). The accuracy of self-reporte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urrent Hypertension Reviews, 4(1), 36-62. 

  7. Gwynn, R. C., Garg, R. K., Kerker, B. D., Frieden, T. R., & Thorpe, L. E. (2009). Contributions of a Local Health Examination Survey to the Surveillance of Chronic and Infectious Diseases in New York C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9(1), 152-159. 

  8. Hajjar, I., & Kotchen, T. A. (2003). Trends in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United States, 1988-2000. JAMA 290(2), 199-205. 

  9. Huerta, J. M., Tormo, M. J., Egea-Caparros, J. M., Ortola-Devesa, J. B., & Navarro, C. (2009). Accuracy of self-reported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the adult Spanish population. DINO study findings. Revista Espanola de Cardiologia (English Edition), 62(2), 143-152. 

  10. Jee, S. H., Suh, I., & Kim, I. S. (1999). Appel, JL. Smoking and atherosclerotic 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Corporation Study. JAMA 282(2), 2149-2155. 

  11. Jeong, J. Y., Choi, Y. J., Jang, S. N., Hong, K. S., Choi, Y. H., Choi, M. K., & Kim, D. H. (2007).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among middle aged adult and elderly in Chuncheon: Hallym Aging Study (HA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4), 305-312.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1).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S IV).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Lee, H. M., Kim, Y. M., Lee, C. H., Shin, J. H., Kim, M. K., & Choi, B. Y. (2011).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in the jurisdictional area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in a rural community of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44(2), 74-83. 

  14. Marmot, M. G., Kogevinas, M., & Elston, M. A. (1991). Socioeconomic status and disease. WHO Regional Publication, European Series, 37, 113-146. 

  15. Muntner, P., Gu, D., Wu, X., Duan, X., Wenqu, G., Whelton, P. K., & Jiang, H.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chinese population. Hypertension, 43(3), 578-585. 

  16. National Hypertension Center. (2015). Retrieved from http://www.hypertension.or.kr/viewC.php?vCode101003&main_num1&sub_num1&sub_num23 

  17. Newell, S. A., Giris, A., Sanson-Fisher, R. W., & Savolainen, N. J. (1999). The accuracy of self-reported health behaviours and risk factors relating to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general population: a critical review.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7(3), 211-229. 

  18. Oh, M. U., Choi, M, Kim, G. S., & Sung, S. (2013). Association between hypertension management and blood pressure screening among adults in 30s and 40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3(2), 61-68. 

  19. Okonofua, E. C., Cutler, N. E., Lackland, D. T., & Brent, E. (2005). Ethnic Differences in older Americans: Awareness, knowdelge, and beliefs about hypertension. Epidemiology, 18(7), 972-979. 

  20. Olives, C., Myerson, R., Mokdad, A. H., Murray, C. J., & Lim, S. S. (2013).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United States counties, 2001-2009. PLoS One. 8(4), e60308. 

  21. Ong, K. L., Cheung, B. M., Man, Y. B., Lau, C. P., & Lam, K. S. (2007).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mong United States adults 1999-2004. Hypertension, 49(1), 69-75. 

  22. Ostchega, Y., Dillon, C. F., Hughes, J. P., Carroll, M., & Yoon, S. (2007).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older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 to 2004.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7), 1056-1065. 

  23. Thawornchaisit, P., De Looze, F., Reid, C. M., Seubsman, S. A., & Sleigh, A. (2013). Validity of self-reported hypertension: findings from the Thai cohort study compared to physician telephone interview. Glob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6(2), 1-11. 

  24.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3). Guideline for Hypertension. Seoul: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5. Tian, S., Dong, G. H., Wang, D., Liu, M. M., Lin, Q., Meng, X. J., & Ren, Y. E.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urban adults from 33 communities in China: the CHPSNE Study. Hypertension Research, 34(10), 1087-1092. 

  26. Woo, K. J., Kim, H. J., Lee, H. M., & Oh, K. W. (2015).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Adults over 30 years old in Korea, 2009-2013. Public Health Weekly Report, 8(21), 47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