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션그래픽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관한 연구 -F5와 Semi-Permanent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lue of Artistic Presentation on Motion Graphics -Focused on F5 and Semi-Perman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521 - 529  

손국환 (동의대학교 디지털영상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예술적 표현을 목적으로 하는 모션그래픽 영상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표현양식을 분석하고 그 대표적 단체인 F5와 Semi-Permanent의 활동과 작품의 내용을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의 변화로 모션그래픽의 상업적 활용은 빠르게 보편화되었고 대부분의 영상 콘텐츠에서 사용되고 있다. 모션그래픽의 발단은 그래픽디자인이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어 나타남과 동시에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표현으로부터 전이되어 발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그래픽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의 토대 위에 독자적인 장르로서 분류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동시대 디자인산업과 콘텐츠 산업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기법에 대한 실험과 장르의 혼합적 양상이 나타나는 모션그래픽은 디지털 영상미학의 정수를 보여주며 시각이미지의 다양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F5와 Semi-Permanent는 예술적 실험적 성격의 영상을 모션그래픽으로 발표하는 단체이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예술적 전개 방식과 표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실험적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expressive style of motion graphics which are intended to artistic expression, and discusses the value of artistic expressions in motion graphics through the works and activities of F5 and Semi-Permanent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organiz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페스티벌은 그동안 보지 못하고 기대하지 않았던 지각의 창의적인 충돌들을 보여준다. 그 목표는 당신의 일과 삶에 대한 생각에 아주 작은 변화를 주는 것이다. F5 모든 구성원들은 예술가와 디자이너가 함께 그들의 창의적인 시각과 더불어 여러 가지를 나눌 수 있다고 믿는다[7].
  • 모션그래픽은 모션(Motion)과 그래픽(Graphic)의 합성어로 영상제작 혹은 애니메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그래픽적 요소를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는 영상구성 기법이다. 모션그래픽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은 영상 콘텐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텍스트, 그림, 도형 등의 그래픽디자인적 요소들과 이를 시간의 개념에서 순차적으로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영상콘텐츠의 주체와 객체 간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것이다. 즉 모션그래픽은 정보전달을 위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미지와 문자 등의 요소를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개념에서 통합하여 표현하는 창조적인 행위이다[1].
  • 뿐만 아니라 모션그래픽 분야의 시작도 새로운 매체를 향한 실험적 예술적 표현으로 가능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F5와 Semi-Permanant 페스티벌과 같은 실험성과 예술성을 강조한 융합 미디어 페스티벌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한 모션그래픽의 기능을 넘어 예술 작품으로서의 독립된 모션그래픽으로의 진보와 타장르와의 융합과 기술을 통한 영상표현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모션그래픽의 확장성을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모션그래픽의 가능성이 표준화되고 패턴화되는 영상콘텐츠 산업을 다양화하고 융합할 수 있는 매체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F5와 Semi-Permanent는 예술적 실험적 성격의 영상을 모션그래픽으로 발표하는 단체이며 영화 [Kiss Kiss Bang Bang](2005)과 미국 드라마 [Six Fit Under](2001)의 오프닝 시퀀스 디자이너로 유명한 데니욘트(Danny yount)를 비롯한 알려진 모션그래픽 아티스트들이 모여 페스티벌 형식으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영상디자인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난 모션그래픽 작품의 전개 양상을 알아보고 앞서 언급한 두 단체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예술적 실험성과 표현 양상을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 위의 작품에서 보이는 두 가지 특징은 인지 가능한 오브젝트가 음악에 맞추어 움직이고 대상이 어떤 움직임을 가지는지는 인식이 되지만 구체적인 내러티브는 배제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에 따라 움직이는 화면의 미적 아름다움과 감성적 상징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 목표는 당신의 일과 삶에 대한 생각에 아주 작은 변화를 주는 것이다. F5 모든 구성원들은 예술가와 디자이너가 함께 그들의 창의적인 시각과 더불어 여러 가지를 나눌 수 있다고 믿는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션그래픽의 발단은 무엇인가?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의 변화로 모션그래픽의 상업적 활용은 빠르게 보편화되었고 대부분의 영상 콘텐츠에서 사용되고 있다. 모션그래픽의 발단은 그래픽디자인이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어 나타남과 동시에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표현으로부터 전이되어 발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그래픽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의 토대 위에 독자적인 장르로서 분류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동시대 디자인산업과 콘텐츠 산업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모션그래픽은 무엇에 기여하는가? 이후 그래픽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의 토대 위에 독자적인 장르로서 분류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동시대 디자인산업과 콘텐츠 산업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기법에 대한 실험과 장르의 혼합적 양상이 나타나는 모션그래픽은 디지털 영상미학의 정수를 보여주며 시각이미지의 다양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F5와 Semi-Permanent는 예술적 실험적 성격의 영상을 모션그래픽으로 발표하는 단체이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예술적 전개 방식과 표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실험적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모션그래픽의 특징 및 사용분야가 어떤 범위까지 확대되었는가? 현재 모션그래픽은 대부분의 영상콘텐츠 분야 뿐만 아니라 공연 및 체험형 콘텐츠와 결합하고 융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정지된 그래픽에 시간과 공간감이 입혀지면서 생동감 있고 새로운 영상미를 선사하고 있으며 사용자와 제작자 사이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의 영상물은 물론, 웹, 모바일 앱, 인터랙티브 미디어,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영역까지 그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2]. 이처럼 단순한 기법이나 기술이 아닌 복합적이며 통합적인 커뮤 니케이션 수단이며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더불어 영상 콘텐츠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정희진, 타이틀 시퀀스에서 모션그래픽의 표현에 관한 사례분적 연구, 동명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 2007. 

  2. 박희현, "효과적인 모션그래픽 연출을 위한 시지각적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4, p.117, 2013. 

  3. 김해윤, "실험영상 개념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교수법 사례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연구, No.40, p.69, 2012. 

  4. 김해윤, "실험영상 개념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교수법 사례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No.40, p.71, 2012. 

  5. Walter Herdeg and John Halss, Film & TV Graphics, The Graphic Press, p.134, 1976. 

  6. 홍미희, "솔 바스(Saul Bass)와 카일 쿠퍼(Kyle Cooper) 작품에서의 화면구도 비교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4, p.667, 2006. 

  7. http://f5fest.com 

  8. https://www.semipermanent.com/about-sp 

  9. 오호준, "모션그래픽 추상 이미지 구성 사례에 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p.15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