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모유경구투여가 발뒤꿈치 천자 시 신생아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breast milk on pain response of the neonates during heel lanc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1, 2016년, pp.203 - 215  

김경화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생아는 통증을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해부학적 신경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출생초기 통증경험은 이후 통증자극 경험 시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장기적인 신경해부학적, 행동적 후유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신생아기 통증관리는 신생아 간호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유를 이용하여 통증이 동반되는 발뒤꿈치 천자 시 모유경구투여가 신생아의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생아 통증관리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유경구투여는 통증을 수반하는 간단한 처치 시 신생아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모유의 통증완화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간호 실무에서 통증완화 중재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반복연구를 통한 경험적 근거의 축적과 더불어, 모유경구투여 중재가 독자적 간호중재로서 간호 실무에 적극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east milk on pain relief in newborn during heel lanc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y double blinded experiment was used. 50 neonates were randomized to receive breast milk (experimental group, n=25) or no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유 경구 투여가 발뒤꿈치 천자 시 신생아의 통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독자적 간호중재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신생아에서 모유의 통증완화 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모유 경구 투여가 발뒤꿈치 천자 시 신생아의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이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 설계이다. 발뒤꿈치 천자 2분 전에 실험군에는 모유 2cc를 경구 투여 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 또한 혼합수유를 하는 대상자를 배제한 이유는 분유수유아가 일시적으로 모유를 투여 받았을 경우 다른 식품에 대한 반응이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그러나 모유경구투여가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가 충분치 않고,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어 이를 간호 실무에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의 발뒤꿈치 천자 시 임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면역 효과가 있는 모유 경구 투여가 신생아의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신생아의 통증완화를 위한 독자적 간호중재로 활용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1 부 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후 심박동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2 부 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후 호흡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3 부 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후 산소포화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 제 1가설: 실험군 (모유 경구투여 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시 통증 행동 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제 2가설: 실험군 (모유 경구투여 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시 통증 생리 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 3가설: 실험군 (모유 경구투여 군)과 대조군은 발뒤꿈치 천자 시 울음 기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이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호흡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여 (F=4.79, p=.001) 제 2가설의 제 2부가설인 “실험군과 대조군 간 발뒤꿈치 천자 후 호흡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1가설인 “실험군 (모유경구투여군), 대조군간 발뒤꿈치 천자 시 통증 행동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2가설인 “실험군 (모유경구투여군), 대조군간 발뒤꿈치 천자 시 통증 생리반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3가설인 “실험군 (모유경구투여군), 대조군간 발뒤꿈치 천자 시 울음기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 통증경험에 대한 기억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신생아는 통증지각이 가능하며, 큰 아동에 비해 통증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있고 통증 지속기간도 더 길다는 연구보고 (Slater 등, 2010)와, 최근 신경생리학과 영상의학의 발달로 신생아가 통증자극에 대해 성인과 유사한 형태로 뇌가 반응한다는 연구보고가 발표됨에 따라 (Goksan 등, 2015) 신생아기 통증경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료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조기 통증경험에 대한 기억은 이후 통증자극 경험 시 민감성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신경해부학적, 행동적 후유증을 동반한다는 연구보고들을 통해 (Brummelte 등, 2012; Grunau 등, 2006; Grunau 등, 2009; Hohmeister 등, 2010; Lupien 등, 2009; Ozawa 등, 2011: Slater 등, 2010) 오늘날 신생아의 통증관리는 신생아 간호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출생 후 신생아가 통증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출생 후 신생아는 채혈, 근육주사 등과 같은 침습적인 처치를 상례적으로 제공받게 됨에 따라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Gray 등, 2003; Sabety 등, 2013). 신생아는 통증지각이 가능하며, 큰 아동에 비해 통증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있고 통증 지속기간도 더 길다는 연구보고 (Slater 등, 2010)와, 최근 신경생리학과 영상의학의 발달로 신생아가 통증자극에 대해 성인과 유사한 형태로 뇌가 반응한다는 연구보고가 발표됨에 따라 (Goksan 등, 2015) 신생아기 통증경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료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생아기 통증관리가 신생아 간호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배경은? 신생아는 통증을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해부학적 신경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출생초기 통증경험은 이후 통증자극 경험 시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장기적인 신경해부학적, 행동적 후유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신생아기 통증관리는 신생아 간호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del-Razek, A. and Az El-Dein, N. (2009). Effect of breast-feeding on pain relief during infant immunization inj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99-104. 

  2. Ahn, H. Y., Jang, M. Y. and Hur, M. H. (2006). The effect of oral glucose on pain relief in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92-1001. 

  3. Anand, K. J. S. and The international evidence-based group for neonatal pain. (2001). Consensus statement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in in the newborn.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5, 173-180. 

  4. Barrett, T., Kent, S. and Voudouris, N. (2000). Does melatonin modulate beta-endorphin, corticosterone, and pain threshold?. Life Sciences, 66, 467-476. 

  5. Brummelte, S., Grunau, R. E., Chau, V., Poskitt, K. J., Brant, R., Vinall, J., Gover, A., Synnes, A. R. and Miller, S. P. (2012). Procedural pain and brain development in premature newborns. Annals of Neurology, 71, 385-396. 

  6. Bucher, H. U., Baumgartner, R., Bucher, N., Seiler, M. and Fauchere, J. C. (2000). Artificial sweetener reduces nociceptive reaction in term newborn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59, 51-60. 

  7. Buenno, M., Stevens, B., Camargo, P., Toma, E., Krebs, V. and Kimura, A. (2012). Breast milk and glucose in pain relief in preterm infants: A noninferior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129, 2011-2024. 

  8. Carabajal, R., Veerapen, S., Couderc, S., Jugie, M. and Ville, Y. (2003). Analgesic effect of breast feeding in term neona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26, 13-17. 

  9. Cho, K. J., Song, J. H., Yoo, I. Y., Park, I. S., Kim, M. W., Kim, H. S. and Shin, H. S. (2000). Family centered child health nursing, Hyunmoon Co., Seoul. 

  10. Codipietro, L. 1., Ceccarelli, M. and Ponzone, A. (2008). Breastfeeding or oral sucrose solution in term neonates receiving heel lanc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122, e716-721. 

  11. Goksan, S., Hartley, C., Emery, F., Cockrill, N., Poorun, R., Moultrie, F., Rogers, R., Campbell, J., Sanders, M., Adams, E., Clare, S., Jenkinson, M., Tracey, I. and Slater, R. (2015). fMRI reveals neural activity overlap between adult and infant pain. eLife, 4, e06356. 

  12. Gray, L., Miller, L. W., Philipp, B. L. and Blass, E. M. (2003). Breast feeding is analgesic in healthy newborns. Pediatrics, 109, 590-593. 

  13. Grunau, R. E., Holsti, L. and Peters, J. W. (2006). Long-term consequences of pain in human neonates. Seminars in Fetal and Neonatal Medicine, 11, 268-275. 

  14. Grunau, R. E., Whitfield, M. F., Petrie-Thomas J, Synnes, A. R., Cepeda, I. L., Keidar, A., Rogers, M., MacKay, M., Hubber-Richard, P. and Johannesen, D. (2009). Neonatal pain, parenting stress and interaction, in relation to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at 8 and 18 months in preterm infants. Pain, 143, 138-146. 

  15. Heine, W. E. (1999). The significance of tryptophan in infant nutri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467, 705-710. 

  16. Hohmeister, J., Kroll, A., Wollgarten-Hadamek, I., Zohsel, K., Demirakca, S., Flor, H. and Hermann, C. (2010). Cerebral processing of pai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neonatal nociceptive input: An exploratory fMRI study. Pain, 150, 257-267. 

  17. Jang, G. J., Jeon, E. Y. and Lee, E. S. (2014). Effect of vapocoolant spray and ELMA cream upon DPT vaccination pain in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701-714. 

  18. Johnston, C., Campbell-Yeo, M., Fernandes, A., Inglis, D., Streiner, D. and Zee, R. (2014). Skin-to-skin care for procedural pain in neonat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Art. No.: CD008435. 

  19. Kainonen, E., Rautava, S. and Isolauri, E. (2013). Immunological programming by breast milk create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milieu in breast-fed infants compared to formula-fed infants.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9, 1962-1970. 

  20. Kim, T. I. and Jang, G. J. (2013). Comparison of breast feeding practice rates and mothers'breast feeding empowerment in preterm, late preterm and early term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7130721. 

  21. Lawrence, J., Alcock, D., McGrath, P., Kay, J., MacMurray, S. B and Dulberg, C. (1993). The development of a tool to assess neonatal pain. Neonatal Network, 12, 59-66. 

  22. Lee, S. H., Ryu, J. H., Kim, C. W., Kim, K. H. and Kim, K. J. (2004). A case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EMLA.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42, 1578-1580. 

  23. Lupien, S. J., McEwen, B. S., Gunnar, M. R. and Heim, C. (2009). Effects of stress throughout the lifespan on the brain, behaviour and cogni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434-445. 

  2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5). Basic Korean Dictionary,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5. Ozawa, M., Kanda, K., Hirata, M., Kusakawa, I. and Suzuki, C. (2011). Influence of repeated painful procedures on prefrontal cortical pain responses in newborns. Acta Paediatrica, 100, 198-203. 

  26. Ozdogan, T., Akman, I., Cebeci, D., Bilgen, H. and Ozek, E. (2010). Comparison of two doses of breast milk and sucrose during neonatal heel prick. Pediatrics International, 52, 175-179. 

  27. Park, E. S., Sung, K. S., Oh, W. O., Im, H. S., Kim, E. S., Kim, Y. A. and Lee, C. H. (2006). Pain relieving effect of Yakson therapy for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97-904. 

  28. Pinelli, J., Symington, A. and Siliska, D. (2002). Nonnutritive sucking in high-risk infants: Benign intervention or legitimate therapy?. Journal Obstetric, Gynecol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 582-591. 

  29. Robinson, S. M. (2015). Infant nutrition and lifelong health: Current perspectives and future challenges. Journal of Developmental Origins of Health and Disease, 6, 384-389. 

  30. Sabety, F., Yaghoobi, M., Torabizadeh, M., Jabaherizadeh, H., Haghighizadeh, M. H. and Mohammadian, F. (2013). Which is better for pain reduction before venipuncture: Glucose, lidocaine or expressed breast milk?. Hongkong Journal of Pediatrics, 18, 10-23. 

  31. Shah, P. S., Aliwalas, L. and Shah, V. (2007). Breastfeeding or breast milk for procedural pain in neonates: A systematic review. Breastfeeding Medicine, 2, 74-82. 

  32. Shah, V., Taddio, A. and Rieder, M. J. (2009).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pharmacologic and combined interventions for reducing injection pain during routine childhood immunizat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Clinical Therapeutics, 31, S104-S151. 

  33. Sahoo, J. P., Rao, S., Nesargi, S., Ranjit, T., Ashok, C. and Bhat, S. (2013). Expressed breast milk vs 25% dextrose in procedural pain in neonates,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dian Pediatrics, 50, 203-207. 

  34. Schollin, J. (2004). Analgesic effect of expressed breast milk in procedural pain in neonates. Acta Paediatrica, 93, 453-455. 

  35. Simonse, E., Mulder, P. G. and van Beek, R. H. (2012). Analgesic effect of breast milk versus sucrose for analgesia during heel lance in late preterm infants. Pediatrics, 129, 657-663. 

  36. Slater, R., Worley, A., Fabrizi, L., Roberts, S., Meek, J., Boyd, S. and Fitzgerald, M. (2010). Evoked potentials generated by noxious stimulation in the human infant brain. European Journal of Pain, 14, 321-326. 

  37. Stevens, B., McGrath, P., Gibbins, S., Beyene, J., Breau, L., Camfield, C., Finley, A., Franck, L., Howlett, A., McKeever, P., O'Brien, K., Ohlsson, A. and Yamada, J. (2003). Procedural pain in newborns at risk for neurologic impairment. Pain, 105, 27-35. 

  38. Stevens, B., Yamada, J. and Ohlsson, A. (2010). Sucrose for analgesia in newborn infants undergoing painful procedure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 CD001069; CD001069.pub 3. 

  39. Uga, E., Candriella, M., Perino, A., Alloni, V., Angilella, G., Trada, M., Ziliotto, A. M., Rossi, M. B., Tozzini, D., Tripaldi, C., Vaglio, M., Grossi, L., Allen, M. and Provera, S. (2008). Heel lance in newborn during breastfeeding: An evaluation of analgesic effect of this procedure.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34, 3. 

  40. Upadhyay, A., Aggarwal, R., Narayan, S., Joshi, M., Paul, V. K. and Deorari, A. K. (2004). Analgesic effect of expressed breast milk in procedural pain in term neonates: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trial. Acta Pediatrica, 93, 518-522. 

  41. Weise, K. L. and Nahata, M. C. (2005). ELMA for painful procedures in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19, 42-47. 

  42. Yoon, H. B. (2001). Pain relieving effect of intraoral sucrose replacement in neonat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7, 35-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