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사의 위임에 대한 태도 및 준비성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Nurses' Attitudes and Preparedness towards Delega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1, 2016년, pp.11 - 21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  박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최미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nurses' attitudes toward delegation and preparedness to delegate (APD).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APD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Internal consisten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Kærnested와 Bragadóttir[1]의 도구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이 없는지 확인하고자 간호사가 간호보조인력에게 위임하는 태도와 준비성에 대한 한국어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한국어판 위임 도구를 국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Kærnested와 Bragadóttir[1]의 간호사의 위임에 대한 태도와 준비성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추후 한국 간호사가 간호보조인력에게 위임에 대한 태도와 준비성을 평가하는 연구에 이용하고, 간호사의 효율적인 업무 개선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 간호인적자원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Kærnested와 Bragadóttir[1]의 간호사의 위임에 대한 태도와 준비성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Kærnested와 Bragadóttir[1]의 위임에 대한 태도와 준비성에 대한 도구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위임 태도와 준비성 도구가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위임 태도 8개 문항과 위임 준비성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한국어판 위임 태도와 준비성 도구가 신뢰도와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가 적절하여 국내 간호사의 위임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준거타당도를 위해 위임 태도와 준비성, 직무 만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위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효과적인 위임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소진을 줄였으며[12], 좋은 위임 기술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5].
  • 본 연구에서는 위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위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것이라는 Krein[18]의 주장에 동의하지만 위임을 측정하는 도구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어 Kærnested와 Bragadóttir의 도구가 본 연구의 취지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임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간호사들이 전문적인 간호 활동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위임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1]. 위임은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업무를 여러 사람들과 같이 협력하여 일함으로써 업무를 완수하는 것을 의미하며, 환자 간호의 성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면서 다른 사람에게 업무의 일부를 전가하는 것이다[2]. 과거에 위임은 주로 간호관리자에 초점을 두었음에 반해 요즘 간호 영역에서의 위임은 간호 관리자가 아닌 일반 간호사에 더욱 초점을 두고 있다[3].
간호에서 과거의 위임과 요즘의 위임의 차이는 무엇인가? 위임은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업무를 여러 사람들과 같이 협력하여 일함으로써 업무를 완수하는 것을 의미하며, 환자 간호의 성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면서 다른 사람에게 업무의 일부를 전가하는 것이다[2]. 과거에 위임은 주로 간호관리자에 초점을 두었음에 반해 요즘 간호 영역에서의 위임은 간호 관리자가 아닌 일반 간호사에 더욱 초점을 두고 있다[3].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높은 업무량에도 불구하고 위임을 꺼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높은 업무량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위임하기를 꺼려한다. 이유는 간호사들은 위임 과정 동안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신이 직접 해당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더 수월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1]. 또한 간호사들은 어떤 업무를 위임하고, 누구에게 위임할 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간호행정기관(Nursing Executive Center)에서는 신입간호사의 간호 기술 역량을 임상지식, 기술,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전문성, 책임감 등 6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신입간호사의 간호 기술 역량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5,700명 중 10%만이 신입간호사들의 위임능력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위임 점수는 간호 기술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8] 간호사들의 위임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ærnested B, Bragadottir H. Delegation of registered nurses revisited: Attitudes towards delegation and preparedness to delegate effectively. Nordic Journal of Nursing Research & Clinical Studies. 2012;32(1):10-15. http://dx.doi.org/1177/010740831203200103 

  2. Bulechek GM, Butcher HK, Dochterman JM.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5th ed. St. Louis: Mosby Elsevier; 2008. 

  3. Grohar-Murray ME, DiCroce HR.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nursing. 2nd ed. Stamford, Connecticut: Appleton & Lange; 1997. 

  4. Corrazzini KN, Anderson RA, Rapp CG, Mueller C, McConnell ES, Lekan D. Delegation in long-term care: Scope of practice or job description?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2010;15(2):4. http://dx.doi.org/10.3912/OJIN.Vol15No02Man04 

  5. Bystedt M, Eriksson M, Wilde-Larsson B. Delegation within municipal health car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534-54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202.x 

  6. Gravlin G, Bittner NP.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reports of missed care and delega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40(7/8):329-335.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e9395e 

  7. Kalisch BJ. Missed nursing care: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6;21(4):306-313; quiz 314-305. 

  8.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Conway L.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11):468-474. http://dx.doi.org/10.1097/01.NNA.0000339477.50219.06 

  9. American Nurses Association. Principles for delegation [internet]. Silver Spring, MD: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5 [cited 2013 April 28]. Available from: http://www.nursingworld.org/principles 

  10. Lee J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for nurse in geriatric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0. 

  11. Park SE. Nursing activities and delegation status of registered nurses in geriatric hospital. [master's thesis]. Daej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1. 

  12. Quallich SA. A bond of trust: Delegation. Urologic Nursing. 2005;25(2):120-123. 

  13. McInnis LA, Parsons LC. Thoughtful nursing practice: Reflections on nurse delegation decision-making.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09;44(4):461-470. http://dx.doi.org/10.1016/j.cnur.2009.07.002. 

  14. Kim MH, Jeong CY. A survey of the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by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2):940-951.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940 

  15. Yang YS, Kim DH. Nurse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2):175-184. 

  16. Parsons LC. Building RN confidence for delegation decisionmaking skills in practic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1999;15(6):263-269. http://dx.doi.org/10.1097/00124645-199911000-00009 

  17. Schiriesheim CA, Neider LL, Scandur TA. Delegation and leader-member exchange: Main effects, moderators, and measurement issu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8;41(3):298-318. http://dx.doi.org/10.2307/256909 

  18. Krein TJ. How to improve delegation habits. Management Review. 1982 May:58-61. 

  19. Geirsdottir TI. The allocation projects of nursing. [master's thesis]. Iceland: University of Iceland; 1998. Cited by Kaernested B, Bragadottir H. Delegation of registered nurses revisited: Attitudes towards delegation and preparedness to delegate effectively. Nordic Journal of Nursing Research & Clinical Studies. 2012;32(1):10-15. http://dx.doi.org/1177/010740831203200103 

  20. Anderson JC, Gerbing DW. The effect of sampling error on convergence, improper solutions, and goodness-of-fit indices for maximum likeliho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yshometrika. 1984;49(2):155-183. 

  21.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22. Park H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27(1):228-241. 

  23. Bollen KA.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ley; 1989. 

  24. Loehlin JC. Latent variable models: an introduction to factor, path, and structural analysi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1998. 

  25. Kang YS, Shin MJ, Kwon YM, Kim DW, Kim EK, Seomun GA, et al. Nursing management and leadership. Rev ed. Seoul: Hyunmoonsa; 2012. p. 252-261. 

  26. Merenda PF. A guide to the proper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research: Pitfalls to avoid.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7;30:156-164. 

  27. Standing T, Anthony M, Hertz J. Nurses' narratives of outcomes after delegation to unlicensed assistive personnel. Outcomes Management for Nursing Practice. 2001;5(1):18-23. 

  28. Potter P, Deshields T, Kuhrik M. Delegation practices between registered nurses and nursing assistive personne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157-16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062.x 

  29. Zimmermann PG. Delegating to assistive personnel.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1996;22(3):206-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