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양한 두부 메뉴의 푸드 스타일링과 테이블 디자인 연구
Food Styling and Table Designs Applying on Various Tofu Menu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6, 2016년, pp.782 - 790  

김미자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산업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menu for tofu, which will satisfy a variety of needs of people by harmonizing tofu and other ingredient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standard recipes were made for tofu menu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existing recipes like Dubu-seon, Dubu-kimchi, Dubu-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한 두부선, 두부김치, 두부전골, 순두부찌개의 푸드 스타일링과 테이블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외식업체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외식산업 및 식품조리 관련 전공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두부 메뉴를 개발하고 이들 개발메뉴에 대한 시각적 요인을 감안한 푸드 스타일링과 테이블 디자인을 제안하여 메뉴의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외식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외식산업 및 식품조리 관련 전공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두부 메뉴를 개발하고 이들 개발메뉴에 대한 시각적 요인을 감안한 푸드 스타일링과 테이블 디자인을 제안하여 메뉴의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외식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외식산업 및 식품조리 관련 전공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두부제품을 이용하고 있는 현대인을 위해 조리서의 조리방법을 응용하여 두부와 다른 재료를 조화하여 두부 메뉴를 개발하고 이들 개발메뉴에 대한 시각적 요인을 감안한 푸드 스타일링과 테이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한식 두부 메뉴 개발을 위해 두부선, 두부김치, 두부전골, 순두부찌개의 표준 재료함량 및 재료 손질법, 조리법을 바탕으로 조리법 및 식재료를 보완하여 표준레시피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영양분석프로그램(CAN-Pro 4.
  • 일상에서 흔히 먹는 음식이자 한국의 전통음식 중 하나인 두부 메뉴를 개발하여 건강한 식재료를 부각시킴과 동시에 한국 고유의 색과 한국의 멋 즉, 한국의 감성을 음식에 담아 테이블 디자인을 함으로써 잊혀져가는 우리 식문화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였다. ‘음식에 감성을 담아서’를 주제로 한 테이블 디자인 컨셉은 우리의 과거와 미래를 이야기 할 수 있는 스토리가 있는 한식 테이블에서의 식사를 통해 소통하고 여유를 가지자는 의미를 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두부제품은 어떤 형태로 판매되는가? 대두를 이용한 두부는 다른 식품에 비해 맛이 담백하고 체내의 신진대사와 성장발육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필수아미노산 및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다량으로 함유된 식물성 단백식품이다(Chung HJ 2006). 현재 두부제품은 일반두부, 순두부, 연두부, 유부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는데(Chung HJ 2006), 지금까지 두부에 관해 다양한 생리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소재를 두부에 첨가함으로써 두부의 기능성 보완과 저장성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Shin MK 2008). 또한, 식생활의 고급화, 건강 지향화 및 친환경 선호, 화학물질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 증가에 따라 천연응고제로 석류농축액(Kim JY & Park GS 2006), 젖산칼슘(Lee MY & Kim SD 2004), 살구즙(Lee SJ & Park GS 2006), 오미자즙과 매실즙(Im JG 등 2004), 바질즙(Kim SH 등 2013), 마늘(Jung GT 등 2000),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다시마추출물(Lee SW 등 2007) 등을 이용한 두부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두부 제품을 이용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두부 메뉴 개발이 필요하다.
콩을 건강 식재료로 한 두부메뉴로 무엇을 선정하였는가? 문헌을 통하여 두부메뉴 선정 과정을 조사한 결과, 메뉴의 선정은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빈을 함유하고 있는 콩을 건강 식재료로 한 두부메뉴로 하였다. 콩을 이용한 한식 메뉴(콩국수, 콩비지탕, 두부전골, 순두부찌개, 비지전, 두부김치, 콩자반, 두부과자, 콩버무리, 콩나물무침) 11가지 중에서 두부 메뉴 즉, 두부선, 두부김치, 두부전골, 순두부찌개를 선정하였다. 문헌에 의하여 조리공정을 조사한 결과, 최종적으로 개발된 두부 메뉴의 레시피는 각각 Table 1-4와 같으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콩이 서양의 콩과 다른 점은? 한편, 우리나라의 콩은 서양의 콩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아 두부의 원료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곡류 위주의식생활에 부족하기 쉬운 라이신(lysine)을 보충할 수 있고 소화율이 높은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높이 평가되어 유용하게 사용되며(Lee SW 1994), 콩 식품들이 만성질환 예방(Belleville J 2002)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들도 발표되었다. 대두를 이용한 두부는 다른 식품에 비해 맛이 담백하고 체내의 신진대사와 성장발육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필수아미노산 및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다량으로 함유된 식물성 단백식품이다(Chung HJ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vato P, Tursil F, Vitali C, Miccolis V, Candido V. 2000. Allylsulfide constituents of garlic volatile oil as antimicrobial agents. Phytomed 7(3):239-243. 

  2. Belleville J. 2002.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oy protein. Nutr 18(7):684-686. 

  3. Chun BG. 2005. The function of physical surroundings for displaying dining atmosphere: A theoretical review and testable propositions. Korean J Food Cult 20(6):644-651. 

  4. Chung HJ. 2006. A study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ofu menu developments and tofu menu image in relation to purchasing promotion. Korean J Food Cult 21(2):187-192. 

  5. Chung HK, Kim MH, Kim HR, Chung HJ, Woo N. 2011. Developing a health Korean food menu through Sikryochanyo. Korean J Food Nutr 24(1):37-53. 

  6. Heo SW, Kim H. 2010. An analysis on consumer's satisfaction attributes and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Org Agric 18(1):41-53. 

  7. Hwang HS, Han BS, Han BR. 1996. Korean traditional food. Gyomunsa, Seoul, Korea. pp 309-332. 

  8. Hwang KS, Kim YG. 2008. The effects of space design and table decoration of hotel banquet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s. Int J Tour Hosp Res 22(2):353-366. 

  9. Hwang WI. 1980. A study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garlic extracts. Korean Biochem J 13(4):191-202. 

  10. Im JG, Park IK, Kim SD.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asil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Cook Sci 20(2):144-150. 

  11. Jeon YH. 2006. A study on how to promote food businesses in the growing wellbeing trend: Focus on case study. J Foodserv Manag Soc Korea 2(3):25-39. 

  12.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1087-1092. 

  13. Kim BK, Shin GG, Jeon BS, Cha JY. 2001.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mushrooms powder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510-515. 

  14. Kim JY, Na JK. 2005. A study on sensitivity of food color. Korean J Food Nutr 18(4):385-394. 

  15. Kim JY,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tofu coagulated by furie juice of pomegranate. Korean J Food Cult 21(6):644-652. 

  16. Kim JY. 2004. A study on introduction of sensitiveness in restaurant food design. Doctorate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p 1-142. 

  17. Kim KH. 2003. A study on evaluating the food coordinators' importance on western cooking: Targeting employees and customers of hotels in Seoul.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p 91-107. 

  18. Kim MJ. 2008. The comparison of table and food coordinate expressing ways according to basic images division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buk, Korea. pp 1-88. 

  19. Kim SH, Kim MJ, Kim HJ, Song YO.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1148-1156. 

  20. Kim SH, Kim SH.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taste and the foodstyling design -Focusing on the Korean menu colors. J Foodserv Manag Soc Korea 16(2):119-140. 

  21. Kim SH. 2006. A study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of the tableware on foodstyling using fuzzy cognitive maps. Korean J Food Cult 21(6):571-576. 

  22. Kim SH. 2008. Consumer perception and the intention of purchase depending on food styling and vals. Doctorate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p 1-127. 

  23. Kim SI, Park YJ. 2012. The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plan on plating Tteokgalbi of the Dam-Ya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3):323-333. 

  24. Kim SI. 2010. Survey on table sewing in Korean food restaurants located in Jeollanamdo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Focusing on the manner of sewing and arrangement-.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5):655-667. 

  25. Lee MY, Kim SD. 2004. Shelf-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calcium lact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412-419. 

  26. Lee SJ, Chung ES,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Korean J Food Cook Sci 22(6):825-831. 

  27. Lee SW, Kim HJ, Moon DS, Kim AR, Jeong IH. 2007.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nts extracted from sea tangle using treated deep ocean water. J Korea Fish Soc 40(3):113-116. 

  28. Lee SW. 1994. Korean dining life studies in ancient East Asian era. Hyangmunsa, Seoul, Korea. pp 111-115. 

  29. Lee UJ, Han KS. 2004. The cultural history of western dining atmosphere display -Focusing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table decoration. Korea J Food Cult 19(1):12-29.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Food and nutrition analysis table.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Accessed March 20, 2016. 

  31. Shin MK.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tofu by using natural Hamcho and water-solidifier. Doctorate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p 1-150. 

  32. Yoo KA, Kim YG. 2009. Tableware coordination and garnish decoration for restaurant space design. Korean J Culin Res 15(3):29-41. 

  33. Yoon SJ. 2008. Beautiful lines, with the 300 Korean Food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 food. Hollym Publishers, Seoul, Korea. pp 158-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