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으로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개념 검토
An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s a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2, 2016년, pp.397 - 403  

박건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김원석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문자에 대한 문해력이 그러하듯이 주체에게 시각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층의 생활전반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시각정보가 많고 다양한 만큼 시각적 문해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시각적 문해력은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된다. 여기에는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시각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소통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reviews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which is the critical base for performing convergence-style educational program of fine arts. The Visual Literacy mean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perly deal with the visual information given to the agent such as the literacy to the writt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안인기는 시각문화교육의 형성배경과 이론체계를 다룬 미술교육의 전환, 시각문화교육의 형성과 이론체계 에서시각문화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한다. ➀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➁시각문화교육은 학습자의 삶의 향상을 실천한다.
  • 본론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모호한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시각문화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 더불어 시각문화교육에서 피교육자의 역량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해 보고자한다.
  • 연구자는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융복합적 미술 교육 수업 진행의 경험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논의 속에서 연구자의 입장은 시각문화 미술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의 강조는 학습자의 작품활동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활동이 시각적 문해력의 과정이며 결과로 나타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미술교육 활동은 미디어학자 맥루언이 지적하듯 학습자가 마주한 시각적 대상이나 미디어가 가치중립적이지 않음을 이해해 가는 과정이다.
  • 이 능력에서 반드시 주어진 문자와 글을 상황에 맞게 이해 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의도를 문자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미술에서도 마찬가지로, 미술작품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주어진 시각적인 정보들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도를 시각적 형태로 표현해 내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테크놀로지는 무엇인가? 인터넷, 영화, 스마트폰, 광고 등 각종 미디어가 제공하는 영상들은 현대 디지털 미디어 시대 청소년들이 대면하고 있는 시각문화이다. 미르조프는 시각문화는 소비자가 시각적 테크놀로지와의 접촉을 통해 정보나 의미, 즐거움 등을 찾는 시각적 사건과 관련된다고 강조하며, 시각적 테크놀로지는 그것을 통해 바라보거나 우리의 원래 시선을 강화하도록 고안된 모든 장치 형식으로서 유화에서 텔레비전, 인터넷에 이르기까지를 모두 포괄한다고 주장했다[1]. 이러한 시각문화는 오늘날 학생들에게 보편적인 공통경험을 이루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아를 형성해 가고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무엇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탄생하였는가? 시각문화교육(Visual Culture Art Education)은 1960년대 이후 진보적인 학문 분위기 아래 탄생하였다. 직접적으로는 1970년대 이후의 신미술사학 및 영국 버밍엄 대학의 현대문화연구소(CCCS) 를 중심으로 한 문화연구 등의 학문적 동향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워커와 채플린(Walker & Chaplin)은 시각문화연구의 기원으로 신미술사학, 디자인사에 대한 연구, 건축사, 커뮤니케이션 연구, 미디어 연구, 영화학, 페미니즘 미술사, 포스트 콜로니얼(post-colonial) 이론 등을 든다.
미르조프는 시각문화가 무엇과 관련된다고 하였는가? 인터넷, 영화, 스마트폰, 광고 등 각종 미디어가 제공하는 영상들은 현대 디지털 미디어 시대 청소년들이 대면하고 있는 시각문화이다. 미르조프는 시각문화는 소비자가 시각적 테크놀로지와의 접촉을 통해 정보나 의미, 즐거움 등을 찾는 시각적 사건과 관련된다고 강조하며, 시각적 테크놀로지는 그것을 통해 바라보거나 우리의 원래 시선을 강화하도록 고안된 모든 장치 형식으로서 유화에서 텔레비전, 인터넷에 이르기까지를 모두 포괄한다고 주장했다[1]. 이러한 시각문화는 오늘날 학생들에게 보편적인 공통경험을 이루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아를 형성해 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icholas Mirzoeff,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2nd eds.), Routledge, 2009. 

  2. R. Gunther Kress,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3. Marquard Smith and Joanne Morra, Visual Culture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2006. 

  4. Stuart Hall,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s (Culture, Media and Identities series) Sage Publications & Open University, 1997. 

  5. Amelia Jones, Seeing Differently: A History and Theory of Identification and the Visual Arts, Routledge, 2012. 

  6. Arthur D. Efland, A History of Art Education: Intellectual and Social Currents in Teaching the Visual Arts, Teachers College Press, 1989. 

  7. John Walker, Sarah Chaplin, Visual culture: An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8. Kim Ji Young, 'Learning Visual Cultur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2011. 

  9. V. Lanier, The Teaching of Art as Social Revolution. Phi Delta Kappan. 1969. 

  10. Sohn Ji Hyun, 'Misunderstadings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Vol.22, No.1, 2008. 

  11. Ahn In Kee, 'The Changes in Art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Categorization of Visual Culture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Vol. 32, 2011. 

  12. Marjorie Wilson, Brent Wilson, Teaching Children to Draw(2nd eds.), Davis Publications, 2010. 

  13. Kerry Freedman, Teaching Visual Culture: Curriculum, Aesthetics, and the Social Life of Art illustrated edition Edi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3. 

  14. Paul Duncum, Visual Culture in the Art Class Case Studies, Natl Art Education Assn, 2006. 

  15. M. Avgerinou, J. Ericson, 'A review of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28, No.4, 1997. 

  16. Deborah Curtiss, Introduction to Visual Literacy: A Guide to the Visual Arts and Commun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17. Richard Howells, Joaquim Negreiros, Visual Culture (2nd eds.), Polity, 2012. 

  18. M. McLuhan, Understanding Media, MIT Press, 1964. 

  19. Kim Hong Sook, 'Direction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Vol.22, No.3., 2008. 

  20. Kang Inae, Lee Hyun-Min, 'A Case Study of PBL in a College General Art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11, 2015. 

  21. Marita Sturken,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2. Karen T. Keifer-Boyd, Engag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Practice, Davis Publications,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