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347 - 356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리메일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채여주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실험중재는 간호대학생에게 6회(총 8시간)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이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knowledge, attitude, skills of Evidence-Based Practi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It is a pre-post design study carried out with a single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향상을 통해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근거기반실무 교육시 본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 이는 장금성 등[15], Zhang[25]과 김혜숙[29]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나, 김정미 등[30]의 연구결과와는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 실습수업을 총4주간 수행하였는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면서 반복적으로 검색해 보고, 여러 가지 검색전략을 직접 적용해 보는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대상자 자신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생성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인의 주제에 맞는 검색을 해야 한다는 수업 목표를 분명히 제시해줌으로써 자칫 산만해지기 쉬운 실습수업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와 닿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27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근거기반실무 지식이 교육 프로그램 전후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의 2학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근거기반실무 3단계인 근거 평가하기까지의 단계를 목표로 하였다. 임상실습이나 간호연구 수업을 듣기 전 학생들은 근거기반실무 교육에 관한 사전지식이 낮은 편인데 본 연구에서는 2회로 구성된 총 4시간의 짧은 이론 강의에서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 국내의 근거기반실무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는 근거기반실무 역량, 비판적 사고력[18, 14, 13]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응답자가 주관적으로 자신의 검색 역량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시나리오 상황을 제시하여 실제로 PICO를 작성하게 하고 검색어 구성 등의 객관적인 정보 활용능력을 측정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근거기반실무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 및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1세기 보건의료시스템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보건의료 교육에서의 5가지 핵심 역량은? 미국의학협회(Institute of Medicine: IOM)에서는 21세기 보건의료시스템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보건의료 교육에서의 5가지 핵심 역량을 제시하였는데, 환자중심의 의료 제공, 다학제적 팀으로 역할 수행하기, 근거기반실무 활용, 질 향상을 적용, 정보학의 활용’이다[1]. 근거기반실무는 2000년대에 이르러서 질적인 보건의료와 최상의 환자결과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2].
간호학에 있어서의 근거기반실무의 역할은? 근거기반실무는 2000년대에 이르러서 질적인 보건의료와 최상의 환자결과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2]. 간호학에 있어서의 근거기반실무는 간호의 질적 수준을 높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근거자료들을 구별하여 안전한 간호행위를 제공하기 위한 이상적인 표준을 제시해 준다[3]. 그러나 이러한 근거기반실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의 근거기반실무 실행률은 저조하다[4].
문제해결 능력 측정의 항목 구성은? 본 연구에서의 문제해결 능력 측정은 한국교육개발원[22]에서 개발된 생애능력 측정도구 중 대학생/성인용 문제해결 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문제인식(5문항), 정보수집(5문항), 분석능력(5문항), 확산적 사고(5문항), 의사결정(5문항), 기획력(5문항), 실행과 모험 감수(5문항), 평가(5문항), 피드백(5문항)과 같은 9개 하위영역의 4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드물게’ 1점에서 ‘매우 자주’ 5점으로 가능한 점수범위는 45점에서 22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mmittee on the Health Proffessions Education Summit, Institute of Medicine, In A. C. Greiner, & E. Knebel, (Ed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s Press, 2003. 

  2. S. E. Straus, W. S. Richardson, P. Glasziu, R. B. Haynes, "Evidence-based practice: How to practice and teach it.", 4e,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2010. 

  3. C. E. Brown, M. A. Wickline, I. Ecoff, & D. Glaser, "Nursing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5, No. 2, pp.371-381, 2009. 

  4. B. M. Melnyk, E. Fineout-Overholt, C. Stetler, & J. Allen, "Outcom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rom the first U.S. evidence-based practice leadership summit."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Vol. 2, No. 3, pp.113-121, 2005. 

  5. D. S. Pravikoff, S. T. Pierce, A. Tanner,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study supported by academy nursing informatics expert panel." Nursing Outlook, Vol. 53, No. 1, pp.49-50, 2005. 

  6. E. G. Oh, H. J. Oh, & Y. J. Lee, "Nurses' research activities and barriers of research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4, No. 5, pp. 838-848, 2004. 

  7. H. K. Burns, & S. M. Foley, "Building a foundation for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practice: Teaching basic concepts to undergraduate freshman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1, No. 6, pp. 351-357, 2005. 

  8. L. Cronenwett, G. Sherwood, J.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P. Mitchell, D. T. Sullivan, J. Warren,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Vol. 55, No. 4, pp.122-131, 2007. 

  9. B. M. Melnyk, E. Fineout-Overholt, L. Gallagher-Ford, & L. Kaplan, "The state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US nurses: Clitical implications for nurse leaders and educator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2, No. 9, pp.410-417, 2012. 

  10. Royal College of Nursing, "Using and managing information. nursing, midwifery, health and social ca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Royal College of Nursing, London. 

  1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c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 2008. 

  12. L. C. Callister, G. Matsumura, S. Lookinland, S. Mangum, & C. Loucks, "Inquiry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Fostering evidence-based practic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4, No. 2, pp.59-64, 2005. 

  13. J. S. Kim,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vidence 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4. 

  14. M. H. Park,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346-354, 2011. 

  15. K. S. Jang, E. A. Kim, H. Y. Park,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1, pp.119-128, 2015. 

  16. J. G. Lalor, M. Clarke, & G. Sheaf.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for undergraduate midwive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access evidence for practi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12, pp.269-272. 2012. 

  17. Y. M. Ha, J. E. Cho, & S. K. Yang, "Relationships amomg information resources use, problem solving ability,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289-297, 2016. 

  18. E. G. Oh, S. K. Kim, S. Kim, E. Y. Cho, J. S. Yoo, H. S. Kim, J. H. Lee, J. M. A. You, & H. Lee, "Integra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to RN-to-BS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9, No. 7, pp.387-392, 2010. 

  19. H. M. Park, & H. S. Le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5, No. 8, pp.304-312, 2015. 

  20. M. Ruzafa-Martinez, L. Lopez-Iborra, T. Moreno-Casbas, & M. Madrigal-Torres, "Development and varidation of the competence in evidence based practice questionnaire (EBP-COQ) among nursing students." BMC Medical Education, Vol. 13, No. 19, pp.1-10, 2013. 

  21. M. O. Gu, Y. Ha, J.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knowledge and skills of evidence-based nurs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4, No. 9-10, pp.1380-93, 2015. 

  22.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RR2003-15-03,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3. A. M. Ross, J. Noone, L. L. Luce, & S. A. Sideras, "Spiraling evidence-based practice management concepts in an undergraduate curriculum: A systematic approach."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8, No. 6, pp.319-326, 2009. 

  24. E. A. Sastre, J. C. Denny, J. A. McCoy, A. B. McCoy, & A. Spickard, "Teaching evidence-based medicine: Impact on students' literature use and inpatient clinical documentation." Medical Teacher, Vol. 33, No. 6, pp.36-312, 2011. 

  25. Q. Zhang, T. Zeng, Y. Chen, & X. Li, "Assist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 learn evidence-based practi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shop strategies during clinical practicum." Nurse Education Today, Vol. 32, No. 5, pp.570-575, 2012. 

  26. Y. J. Chae, Y. M. Ha,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pp.285-294, 2016. 

  27. K. A. Chung, J. H. Cho,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143-155, 2015. 

  28. E. H. Park, H. S. Kim, J. O. Kim, "The effect of convergence action learning techniques in simulation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241-248, 2015. 

  29. H. S. Kim, H. R. Park, & E. H. Park, "Empowerment on clinical nursing skills core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589-599, 2014. 

  30. J. M. Kim, Y. S. Choi, "Effect of practice education using the simulator,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4, pp.263-27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