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495 - 507  

조민정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임상수행능력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6월 4일부터 6월 1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은 문제해결능력(${\gamma}=.70$, 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gamma}=.53$, p<.001)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직접(${\gamma}=.31$, p<.001) 및 간접효과(${\gamma}=.31$, p=.007)를 나타냈다. 이들 변수들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46.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정보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validate a path model for the causal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self-direct learn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Subject were 208 nursing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nursing school. D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가 임상수행능력이어서 임상실습경험이 3개 학기 이상인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로모형 검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 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추후 간호 정보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이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간호 정보활용역량,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간호정보활용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고 추후 간호정보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활용역량이란 무엇인가? 정보활용역량이란 정보가 필요한 때를 인식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인이 갖추어야할 일련의 능력을 의미한다[1]. 정보활용역량은 정보이용, 정보관리, 정보평가 역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성과로 간주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활용 능력을 갖출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정보자원이 급증하고 있는 21세기 정보사회에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선택해서 어떻게 능숙하게 다루느냐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인식하고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1].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과학적인 간호지식체를 토대로 우수한 임상수행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인데, 임상수행능력은 환자간호의 복잡성과 간호업무 수행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간호대상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7,8]. 문제해결능력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상태 변화에 따라서 체계적인 간호 과정을 적용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를 계획 및 수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필요한 능력이며[9],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Internet]. http://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standards/standards.pdf 

  2. H. A. Park et, al. (2012). Nursing Informatics. Seoul: Hyunmoonsa. 

  3. K. H. Kim. (2016).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umer convergence preferences for healthcare information service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81-188. DOI: 10.15207/JKCS.2016.7.5.181 

  4.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013).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nursing [Internet]. http://www.ala.org/acrl/standards/nursing 

  5. N. M. Solomons & J. A. Sprose. (2011). Evidence-based practice barriers and facilitators from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erspective: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1), 109-120. 

  6. C. H. Leng, S. Y. Lim & W. F. Siew. (2016). Are nurses ready for evidence-based practice? A descriptive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mong clinical practicing registered nurses in a private hospital in Malaysia. Journal International E-Journal of Science, Medicine and Eucation, 10(1), 10-16. 

  7. S. D. Birkhoff & C. Donner. (2010). Enhancing pediatric clinical competency with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1, 418-423. 

  8. M. J. Shin & Y. Chun. (2018).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19-32. DOI: 10.15207/JKCS.2018.9.2.019 

  9. P. P. Heppner & C. J. Krauskopf. (1987).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to personal problem solv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5(3), 371-447. 

  10. H. S. Park & J. Y. Han. (2013).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4), 438-448. DOI: 10.7739/jkafn.2013.20.4.438 

  11. M. J. Sim & H. S. Oh. (2012).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12(6), 328-337. DOI: 10.5392/JKCA.2012.12.06.328 

  12. E. J. Kim & D. S. Cho. (2012). Lear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268-275. DOI: 10.5977/jkasne.2012.18.2.268 

  13. J. Park. (2016).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51-58. DOI: https:10.15207/JKCS.2016.7.4.051 

  14. H. J. Kwon et, al. (2016).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Ewha of Nursing Science Society, 5, 115-129. 

  15. J. E. Park. (2018).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nursing process perform abilit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6. Y. M. Ha, M. Lee & Y. J. Chae. (2016).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student program o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47-356. DOI: 10.14400/JDC.2016.14.11.347 

  17. K. S. Jang, E. A. Kim & N. Y. Kim.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823-2835. 

  18. M. Y. Jho & M. O. Chae. (2014).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13-522. DOI: 10.5977/jkasne.2014.20.4.513 

  19. H. J. Jang & Y. K. Kwag. (2013). Affect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9), 4380-4387. DOI: 10.5762/KAIS.2013.14.9.4380 

  20. H. S. Lee & J. H. Li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Paju: Bobmunsa. 

  21. M. J. Jo.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for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2. W. S. Lee, S. H. Park & E. Y. Choi. (2008). Development of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fo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ng, 15(4), 548-557. 

  23. E. K. Bae & M. Y. Lee. (2010). The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for employees in HRD compani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2(3), 1-26. 

  24. W. H. Lee, C. J. Kim, J. S. Yoo, H. K. Hur, K. S. Kim & S. M. Lim. (1990).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Journal Nursing Science, 13, 17-29. 

  25. M. S. Choi. (2005).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M. Li, Y. J. Chae & Y. M. Ha. (2018). Relationships between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47-255. DOI:10.14400/JDC.2018.16.5.247 

  27. H. J. Lee. (2015).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resources us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8. D. H. Kim, Y. J. Lee, M. S. Hwang, J. H. Park, H. S. Kim & H. G. Cha. (2012).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99-509. DOI: 10.5977/jkasne.2012.18.3.499 

  29. J. Y. Lee & M. H. Cho. (2011).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13(3.4), 241-253. 

  30. H. R. Choi & D. S. Cho. (2011). The influence of nurses' performance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Woman Health Nurse, 17(3), 265-274. DOI: 10.4069/kjwhn.2011.17.3.265 

  31. H. S. Oh.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DOI: 10.14400/JDC.2017.15.8.311 

  32. I. K. Kim & J. A. Seong. (2015). Learning style,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21-4631. DOI: 10.5762/KAIS.2015.16.7.4621 

  33. J. Y. Kim, M. K. Kim & J. Y. Cho.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669-678. DOI: 10.5762/KAIS.2017.18.1.669 

  34. E. Y. Chin, M. I. Lee & Y. L. Kim. (2017). Study on meta-cognition, self-efficiency,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317-326. DOI: 10.14400/JDC.2017.15.4.317 

  35. K. N. Kim. (2014). Affecting Factors on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2), 55-65. 

  36. Y. M. Ha, J. E. Cho & S. K. Yang. (2016).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resources use, problem solving ability,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89-297. DOI: 10.14400/JDC.2016.14.7.289 

  37. S. Y. Kwak, Y. S. Kim, K. I. Lee & M. Y. Kim. (2017).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2), 146-155. DOI: 10.5977/jkasne.2017.23.2.146 

  38. M. Forster. (2013). A phenomenographic investigation into information literacy in nursing practice: Preliminary findings and methodological issues. Nurse Education Today, 33(10), 1237-1241. DOI: 10.1016/j.nedt.2012.05.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