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위성을 이용한 조위에 따른 영종도 갯벌의 면적 탐지에 관한 선행 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idal Flat Detection in Yeongjong-do according to Tide Level using Landsat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6, 2016년, pp.639 - 645  

이슬기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김규연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7번째로 큰 섬인 영종도는 인천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8 km 떨어져 있다. 영종도 주변에는 조수 차에 따라 드러나는 갯벌이 존재하며, 이곳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겨울철새의 중요한 도래지라는 점에서 환경적 가치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간척사업과 같은 인위적인 자연개발로 인해 갯벌 보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지질조사소 (USGS)가 제공하고 있는 Landsat 7 ETM+영상을 기반으로 영종도 갯벌 지역을 분석하였다. 갯벌의 경계선을 뚜렷이 나타내기 위하여 물과 육지의 경계가 분명하게 구분하는 RGB 7, 5, 3 밴드조합으로 위성영상 가합성 (False color composite)을 수행하고 지표피복분류를 통해 갯벌을 탐지하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갯벌 면적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였다. 또한 조위관측소가 자료를 제공하는 기간인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총 16년간 자료를 기반으로, 조위의 변화에 따라 영종도 동북부 갯벌 지역의 면적을 수치화하여, 각 조위구간에 따라 나타나는 면적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차후 영종도 갯벌의 보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에 앞서 동일한 조위 조건에서 면적의 범위에 대한 지표가 될 것이며, 인위적인 환경변화에 의한 영종도 지역의 갯벌 변화를 관측하는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ongjong-do is seventh largest island in the west coast of Korea which is 4.8 km away in the direction of south-west from Incheon. The mudflat area around the Yeongjong-do has variable dimension according to tide level. In addition, Yeongjong-do is important area with high environmental value a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조위에 따라 영종도 갯벌의 면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화도의 남부지역 중 영종도에 조위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가? 영종도 지역의 조석은 전형적인 반일주조로 한 달 동안 조위차가 최대 9m에 이른다. 이와 같이 조위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 드러나는 갯벌의 면적이 변화하므로, 원격 탐사 기반의 갯벌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조위이다(Jo and Jo, 1999). 따라서 조석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영종도 북동부 지역의 갯벌(이하 영종도 갯벌)은 조위에 따라 나타나는 면적 차이가 크게 나타나 므로 조위자료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Ryu et al.
영종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8 km 떨어져 있다. 영종도 주변에는 조수 차에 따라 드러나는 갯벌이 존재하며, 이곳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겨울철새의 중요한 도래지라는 점에서 환경적 가치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간척사업과 같은 인위적인 자연개발로 인해 갯벌 보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서해안 갯벌의 역할은 무엇인가? 서해안 갯벌은 동해안에 비해 수심이 얕아 갯벌이 많이 존재하는 곳으로 전 세계적으로 5대 갯벌에 속한다. 서해안 갯벌은 철새들의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곳이다. 본 연구지역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강화도 남부갯벌은 3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om, S.G., 2004. Shoreline and coastal landforms of Ganghwado in central west Korea, Journal of Incheon studies, 3, 349-393 (in Korean). 

  2. Cho, M.J., S.R. Lee, and C.W. Lee, 2014. Analysis of optical satellite images and pyroclastic flow inundation model for monitoring of pyroclastic flow deposit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e, J.B. and Y.J. Choi, 2014. Conjugation of Landsat data for analysis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in capital a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1), 54-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o, M.H. and W.R. Jo, 1999.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property of tidal flat in julpo-bay using satellite imag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5, 3, 217-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4. Trial data around youngjong-do,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orea, http://sms.khoa.go.kr/koofs/kor/observation/obs_past_search_statistic.asp (02 February 2016) 

  6. Lee, Y.K., J.H. Ryu, J.K. Choi, J.G. Soh, J.A. Eom, and J.S. Won, 2011. A study of decadal sedimentation trend changes by waterline comparisons within the Ganghwa tidal flats initiated by human activiti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7(5), 857-869, doi: http://dx.doi.org/10.2112/JCOASTRES-D-10-00150.1. 

  7. Lee, Y.J., D.Y. Yang, J.Y. Kim, and G.S. Chung, 2004. Application of Landsat ETM image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soil types and erosional pattern in the wildfire area of Gangneung, Gangweon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764-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Oh, J.K, J.D. Do, and Y.G. Jo, 2006.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wha island, eastern yellow s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328-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J.G., 2000. A change detection of western coastal reclaimed land using remotely sensed images,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5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Ryu, J.Y., W.J. Jo, J.S. Won, I.T. Lee, and S.S. Jun, 2000. Intertidal DEM generation using waterline extracted from remotely sensed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6(3), 221-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Ryu, J., J.S. Won, and K.D. Min,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3, 442-456, doi:10.1016/S0034-4257(02)00059-7. 

  12. Sedlak, P., 2002. Using Landsat TM data for mapping of the quaternary deposits in central Sweden, Geographica, 37, 77-81. 

  13. Seo, J.J., 2004. An analysis on the change in topography in the west coast using Landsat image,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5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ong, M.Y., and K.S. Sin, 2000. Variation analysis of forest resourcs in Anmyundo using Landsat T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2), 188-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Woo, H.J., J.U. Choi, S.M. An, S.J. Kwon, and B.J. Koo, 2006.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1-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Woo, H.J. and J.G. Je, 2002.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Ocean and Polar Research, 24(4), 331-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