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에 관한 예비교사 지식 조사 연구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tory Problem for Division of Frac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1, 2016년, pp.19 - 30  

노지화 (부산대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  허난 (경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지식 중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제기(problem posing)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눗셈에 관한 스토리 문제 제기 능력은 나눗셈의 개념을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초등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실생활 소재를 통해 나눗셈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나누기 분수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틀 기준에 따라 '수학적 정교성'과 '주요 오류 유형' 그리고 '나눗셈 연산 모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초등 예비교사의 나눗셈 교사 지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fraction division in a context where they were asked to write a story problem for a symbolic expression illustrating a whole number divided by a proper fraction. Problem-posing is an important instructional strategy with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CK는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실생활 소재를 통해 나눗셈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분수의 나눗셈 학습에서 실생활 맥락을 통해 나눗셈을 이해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서, 초등 예비교사의 자연수 나누기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PCK는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분수 개념에 관한 지식과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상황적 지식을 스토리 문제 만들기를 통해 오류 유형과 오류를 범하는 원인을 수학적 정교성, 주요 오류 유형, 나눗셈 연산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분수 나눗셈에 대한 PCK 중 수학 내용 지식에 해당하는 분수 나눗셈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그림 1]과 같은 분수 나눗셈에 관한 스토리 문제 만들기 문제를 제시하였다.
  • 이 중 Ma의 연구에서는 중국 교사들의 분수 나누기 분수에 대한 스토리 문제 답안을 분석하였는데,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교사들의 스토리 문제 구성능력이 뛰어났고 심층면담을 통해 분수나눗셈에 대한 개념적, 절차적 지식을 지니고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들은 교사들이 만든 문제에 드러난 들을 강조한 반면,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분수 나눗셈 상황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한 지식을 살펴보기 위해 타당하거나 타당하지 않은 모든 접근 방법들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B: 동그란 케익이 있는데, 같은 양 나눌려고 한다. 3명은 거기서 먹고 한명은 포장 3명이 먹는 양은 얼마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학습에서 정의적 측면의 목표는 무엇인가? 국내외적으로 정보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개인의 다양한 실생활 맥락에서 수학을 형식화하고, 이용하고, 해석할 수 있는 수학적 소양과 수학적 힘을 꾸준히 강조해오고 있다(이미경 외, 2004, 2007, 조지민 외, 2011; NCTM, 1989, 2000). 특히 수학의 학습 목표로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수학적으로 추론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적 측면의 목표 이외에도 수학의 가치를 알고, 수학하는 자신의 능 력을 확신하며, 수학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정의적 측면의 목표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스토리 문제가 중요한 교수법인 이유는? 스토리 문제2)(story problem)는 학생들이 학습하는 수학이 실생활 상황에 어떻게 적용되고 수학의 이론적 언어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때문에 중요한 교수법 기술로 인식되어 왔다 (Ball, Hill, & Bass, 2005; Rittle-Johnson & Koedinger, 2005; Natio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 2008; McAllister & Beaver, 2012).
분수의 나눗셈을 등분제, 포함제로 나타낼 수 있는 이유는? 분수 연산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자연수의 연산을 바탕으로 한다. 자연수의 나눗셈은 등분제와 포함제의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등분제는 똑같이 나눈다는 의미로서, 단위의 크기를 묻는 경우이고 포함제는 측정의 의미로 양의 크기를 일정한 단위로 측정하였을 때 얼마나 되는가를 묻는 경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방정숙.이지영 (2009a). 사례연구를 통한 분수 나눗셈의 연산 감각 분석. 학교수학 11(1), 71-91.(Park, J. S. & Lee, J. Y. (2009a). An Analysis of Operation Sense in Division of Fraction Based on Case Study. School Mathematics 11(1), 71-91.) 

  2. 방정숙.이지영 (2009b).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11(4), 723-743(Park, J. S. & Lee, J. Y. (2009b). An Analysis of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eterials. School Mathematics 11(4). 723-743) 

  3. 서관석.전경순 (2000).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 교사교육적 관점. 수학교육학연구 10(1), 103-113.(Seo, K. S. & Jeon K. (2000).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raction-related Operations: A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0(1), 103-113.) 

  4. 이미경 외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연구보고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Lee, M. K., et al. (2004). The PISA 2003 Results-An Analysis of performances and influences on Mathematical Literacy, Reading Proficiency, Scientific Literacy. Report, RRE 2004-2-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5.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Lee, M. K., et al. (2007).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Rubric for and Released Items of OECD/PISA. Report, ORM 2007-24.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6. 이재학.정상권.김선희.최민식.원유미.김영진, 고호경 (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 자료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7(3), 341-356.(Lee, J. H., Chung, S. K., Kim, S. H., Choi, M. S., Won,, Y. M., Kim, Y. J., & Ko, H. K. (2013). Development of Meterial for Middle School Geometry using Storytell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235-249.) 

  7. 임청환 (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35-249.(Lim, C. H. (2003). Natur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235-249.) 

  8.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S/TIMSS) : TIMSS 2011 본검사 시행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1-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Cho, J. M., Kim, S. J., Lee, S. H., Kim, M. Y., Ok, H. J., & Lim, H. M. (2011). The 2011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s Tests (PISS/TIMSS): An Administration Report of the 2011 TIMSS. Report, RRE 2011-4-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9. Ball, D. (1990). Prospectiv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divis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 132-144. 

  10.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29, 14-22, 43-46. 

  11.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2. Barlow, A. T., & Cates, J. M. (2006). The impact of problem posing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2), 64-73. 

  13. Baroody,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n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ha,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Chapman, O. (2006). Classroom practices for context of mathematics word problem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2, 211-230. 

  15. Cobb, P., T. Wood, & E. Yackel(1993). Discourse mathematical thinking and classroom practice. In E. A. Forman, N. Minick, & C. A. Stone, (Eds.), Contexts for learn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Cobb, P., T. Wood, T., Yackel E., Nicholls, J., Wheatley, G., Trigatti, B., & Perlwitz, M.(1991). Assessment of a Problem-Centered Second-Grade Mathematics Projec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 3-29. 

  17. Crespo, S. (2003). Learning to pose mathematical problems: Exploring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racti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2(3), 243-270. 

  18. Lee, S., Brown, R. E., & Orrill, C. H. (2011) Mathematics Teachers' Reasoning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Using Drawn Representation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3(3), 198-220. 

  19.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understanding s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Erlbaum. 

  20. McAllister, C., & Beaver, C. (2012). Identification of error types in preservice teachers' attempts to create fraction story problems for specified operations. School Science & Mathematics 112(2), 88-98. 

  21. Natio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 (2008). Foun dations for success: The final report of the Natio 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 Washington, D C: U.S. Department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ed.gov/about/bdscomm/list/mathpanel/report/final-report.pdf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ur.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4. Rittle-Johnson, B., & Koedinger, K. R. (2005). Designing knowledge scaffolds to suppor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3), 313-349. 

  25.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26. Smith, J. P., diSessa, A. A., & Roschelle, J. (1993). Misconceptions reconceived: A constructivist analysis of knowledge in transi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3(2), 115-163. 

  27. Thompson, P. W., & Saldanha, L. A. (2003). Fractions and multiplicative reasoning.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pp. 95-113) . Reston, VA: NCTM. 

  28. Tirosh, D. (2000). Enhancing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conceptions: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5-25. 

  29. Toluk-Ucar, Z. (2009).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fractions through problem pos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1), 166-175. 

  30. Vygotsky(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1. Whitin, D. J. (2004). Building a mathematical community through problem posing. In R. N. Rubenstein (Ed.),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of mathematics: Sixty-sixth yearbook (pp. 129-140). Reston, VA: NC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