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의 명품 소비와 차이의 문화정치 한국 사회 30대 남성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Male Luxury Consumpti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Difference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s of Men in their 30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5, 2016년, pp.9 - 42  

류웅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박정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사회 남성들의 명품 소비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이며, 개인이 명품 제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또 이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과 실천을 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실천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들이 개인의 삶에 개입되는 방식과 이들의 총합으로서 한국 사회의 브랜드 소비와 물질문화를 둘러싼 다기한 지형과 문화정치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30대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명품 소비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기표현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위한 상징적 욕구의 충족과 정체성 및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의 연장선상에서 명품 제품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명품은 애착의 대상일 뿐 아니라, 새로운 관계와 자기 정체성의 형성 과정으로서 이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만족감이나 자기 효능감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준거 집단으로부터 브랜드 소비 양식을 학습하면서 명품과 명품이 아닌 제품을 혼용해 사용하는 포스트모던(postmodern)적 소비 행태와 전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명품소비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나 필요로 인식되며, 이에서 파생되는 기호들은 현대사회의 남성성이 경제적 자본과 연동되는 자기관리, 자기계발 등의 가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social and personal meanings that luxury consumption hav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experiences of men in their 30s. Interviews with nine male consumers who are committed to luxury brands, especially those that produce su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본주의 체제하 개인의 일상은 무엇을 기반으로 유지되는가? 현대사회, 특히 자본주의 체제하 개인의 일상은 소비를 기반으로 유지된다. 오늘날 개인은 삶의 필요를 자급자족하던 시대와는 달리 생존을 위한 필수재 외에 다양한 기능재를 소비하며 살아간다.
그루밍족의 의미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치나 경제뿐 아니라 개인의 일상에서 자신을 관리하고 계발하기 위한 통치술로서의 ‘외모 가꾸기’ 또한 현대의 능력 있는 남성의 특성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일명 그루밍족이라는 신조어는 패션과 미용에 시간과 비용을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남성을 일컫는 것으로, 럭셔리 상품을 즐겨 구매하는 젊은 도시남성 집단을 지칭하는 여미(Yummy: Young Urban Male의 줄임말)족, 자유로운 사고와 생활방식을 추구하는 중년 남성을 지칭하는 노무(No More Uncle)족 등으로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소비의 영역을 명품브랜드 제품으로 한정한 배경은? 개인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에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제품이나 자신을 잘 설명하는 브랜드를 선택하며, 특히 사회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특정 브랜드 제품의 경우 그 상징적, 기호학적 의미는 더욱 구조화된다. 이런 이유로 이 연구에서 다루는 소비의 영역을 명품브랜드 제품으로 한정하고자 하며, 특히 개인의 삶 속에 깊이 착근해 정체성을 반영하거나 구성하는 물건들에 초점을 두고 논의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난도 (2007). . 서울: 미래의 창. 

  2. 김덕영 (1999). 유행, 개인 그리고 사회: 이론적 논의 및 '이스트팩 현상사례연구. , 23권 3호, 55-70. 

  3. 김미라 (2014). TV 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 , 14권 1호, 88-96. 

  4. 노명우.김우진 (2014). 남성 사이버 패션 커뮤니티 '디젤매니아'를 통해 본 남성성 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 17권 3호, 181-201. 

  5. 류웅재 (2015). 물질문화를 통해 본 한국인, 그리고 한국 사회. in 류웅재.최은경.이영주 (2015). . 파주: 한울아카데미. 

  6. 문화일보 (2015. 08. 27). 백화점 올 가을 세일타깃은 '남성'… '뷰티 페어'등 집중 선보여. URL: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82701031303006001 

  7. 박승민(2006). 헤게모니 남성성의 위기: 한국 남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451-452. 

  8. 박정은.류웅재 (2015). 미디어로서의 명품 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2030세대의 소비경험을 중심으로. , 71호, 157-193. 

  9. 박희랑.한덕웅 (2006). 한국 여성의 명품 구매행동을 설명하는 통합모형. , 7권 2호, 195-226. 

  10. 송희영 (2011). 현대 '남성성'의 창조 - 광고에 나타난 '남성의 몸'. , 25집, 329-349. 

  11. 스포츠조선 (2015. 03. 04). 갤러리아 명품관, 남성고객 위한 맞춤 주문 제작 서비스 "드레싱 더 맨(Dressing the man)". URL: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503040100045970002799&servicedate20150304 

  12. 유현정 (2007). 남성패션지 광고분석을 통해 본 남성의 소비트렌드 변화. , 24권 1호, 299-313. 

  13. 윤조원 (2010). '꽃미남'과 '씩스팩': 대중문화 속 오늘의 남성성. , 28호, 278-302. 

  14. 이가나.신수연 (2012).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구매행동. , 14권 4호, 554-566. 

  15. 이경숙.김훈순 (2010). 소비주체로서 젠더 이미지와 사회문화적 함의. , 10권 3호, 362-399. 

  16. 이귀옥 (2012). '강한 남자'에서 '아름다운 남자'로. , 22호, 151-185. 

  17. 이령경.권수애.유정자 (2010). 청소년 소비자의 명품구매행동에 미치는 준거집단의 영향. , 10권 3호, 1-20. 

  18. 임인숙 (2007). 한국 신 남성성의 소비 트렌드화.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87-103. 

  19. 정지원.정순희.차경욱 (2003).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21권 5호, 181-192. 

  20. 주지혁 (2012). 성별에 따른 명품브랜드 구매행동의 차이. . 94호, 70-93. 

  21. 중앙일보 (2015. 06. 03). 명품관에 아저씨들. 경제 2면. 

  22. 채진미 (2005). 연령과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해외 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빈도. . 29권 6호, 885-895. 

  23. 현택수 (2003). 문화비평: 명품 소비에 관하여. , 52권 595호, 164-167. 

  24.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ummation. 이상률 (역) (1991). . 서울: 문예출판사. 

  25. Bauman, Z. (2013). Culture in a liquid modern world. 윤태준 (역) (2013). . 파주: 오월의 봄 

  26. Berger. A. A. (2010). The objects of affection: Semiotics and consumer culture. 엄창호(역) (2011).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7. Beynon, J. (2002). Masculinities and culture, Open University, 임인숙.김미영 (역) (2011). .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8. Campbell, C. (1997). Shopping, pleasure and the sex war. The shopping experience, 1, 166-176. 

  29. Edwards, T. (1997). Men in the Mirror. Men's Fashion, Masculinity and Consumer Society, Cassell. 

  30. Forrest, D. (1994). "We're here, we're queer, and we're not going shopping," Cornall, A. & Lindsfarne, N. Dislocating Masculinities, Routledge. 

  31. MacInnes, J. (1998). End Of Masculinity: The Confusion of Sexual Genesis and Sexual Difference in Modern Society. McGraw-Hill Education. UK. 

  32. Maheswaran, D., & Meyers-Levy, J. (1990).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1-367. 

  33. McLuhan. M. (2003).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김상호 (역) (2011).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4. Oswald, L. (2012). Marketing semiotics: Signs, strategies, and brand value. 엄창호 (역) (2013).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5. Othner, C., & Mcgrath, M. A. (2001). Perceptions and realities of male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77(1), 118-127. 

  36. Reeser, T. W. (2010). Social Masculinity and Triangulation. Masculinities in Theory: An Introduction, 55-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