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로서의 명품 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2030세대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Luxury Bag Consumption as Media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s of the 2030 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1, 2015년, pp.157 - 193  

박정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류웅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이 연구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여성들의 명품 가방 소비를 통해 이들 세대가 경험하는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자 하였다. 그간 명품 소비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왔던 요소들은 기호와 상징으로서 명품의 가치와 소비자의 특성, 계급적 정체성, 혹은 이상적인 자기 이미지 구성 차원의 표현적 행위 등에 관한 분석에 국한된 측면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다루면서, 동시에 일상을 영위하고 구성해 나가는 삶의 양식과 실천, 기회와 한계란 측면에서 이들의 소비를 고찰함으로써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개인적 소비 이면의 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자들의 삶에서 명품 가방이 미디어로 재현되는 방식에 주목해, 그것이 다시 소비로 순환되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적 일상과 주체, 그리고 사회에 관해 성찰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terpret generational trends in contemporary Korea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sumer experiences of luxury bag purchases of women in their late 20s and early 30s. Previous studies on luxury consumption tend to focus on an analysis of the value of luxury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0초백’이나 ‘3초백’이라는 은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명품 중에서 특히 가방은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지니는데, 가령 결혼을 위해 연인에게 건네는 청혼을 위한 선물이면서, 자녀를 출산한 아내 혹은 며느리를 격려하는 기호로 활용되기도 한다. 흔히 명품의 본고장으로 불리는 프랑스나 이탈리아에서도 일상적으로 이토록 다양한 명품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데 반해, ‘10초백’이나 ‘3초백’이라는 은어는 ‘누구나 하나쯤은 소유하고 있는 가방’이라는 의미로 한국 사회의 명품의 인기와 대중화를 잘 보여 준다. 또 해외 여행 시, 면세점에서 명품백을 구매하는 것이 의례적인 코스가 되었고, 명품백을 구매하기 위해 유럽여행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국 사회에서 명품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한국 사회에서 언제부터인가 명품은 그것이 지닌 본연의 효용이나 사용가치 이외의 각별한 기호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흔히 물건의 교환가치나 전시가치라 명명할 수 있는 이러한 상징적 가치는 어느 곳 어느 때에나 존재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이에 대한 선호와 실천은 그 획일성과 정도로 인해 이례적이라 할 만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