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Programming Learning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1, 2016년, pp.27 - 39  

김경규 (충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과학과) ,  이종연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정보시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융합적 사고력 등이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내에서 이러한 사고력을 향상시키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단편적이고 제한적인 컴퓨터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능력을 신장시키고 컴퓨터 과학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 시범학교로 선정된 W중학교 1,2학년 학생 22명,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12주간에 걸쳐 총 24차시 동안 적용한 결과,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향후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for us to be equipped with problem-solv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in the digital information age. To have these abilities,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should be educated to develop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에서 2009년 2월과 2010년 2월에 열린 두 차례의 워크숍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었다. 관련 논의는 CT의 핵심적 개념에 대한 논의, CT의 구조 및 개인의 CT 능력의 측정, CT 교육 방안 등에 대해 진행되었다. 이 워크숍에서 논의된 CT의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며 이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향후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그리고 동일한 소재를 갖고 동일 컴퓨터 과학 내용을 지도하더라도 CT세부요소가 무엇인지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 발문의 빈도와 형태, 소재의 투입시간, 설명 방법 등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세부 구성요소들은 교육 프로그램에 반드시 나열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거나, 모든 하위 요소가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컴퓨팅 사고력 하위 요소들 간의 고른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논리적 사고력과 컴퓨팅 사고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내용 투입기간과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신갑천(2010)은 스크래치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을 1차시부터 15차시까지 수행한 결과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통해 비례논리 확률논리 조합논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중심 소프트웨어 교육을 현장 적용을 통해 일선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공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 후 개선점과 운영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교육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 넷째, 완성된 교육내용은 자신의 컴퓨팅 기기에서 직접 실행하여 시뮬레이션 해 본다. 실행한 결과에 대해 스스로 평가해 보고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현해 보도록 한다.
  • 이에 개발한 프로그래밍교육 프로그램 교육내용에서는 단순히 컴퓨터과학 내용을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서 효과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컴퓨팅 사고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동일한 소재를 갖고 동일 컴퓨터 과학 내용을 지도하더라도 CT세부요소가 무엇인지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 발문의 빈도와 형태, 소재의 투입시간, 설명 방법 등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이렇게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성급하게 컴퓨팅 사고력을 도입하게 된다면 컴퓨팅 사고력의 필요성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컴퓨팅 사고력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컴퓨터 소양과 컴퓨터 활용 중심의 컴퓨터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일선 현장에 적용 가능한 CT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내용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 선택교과 교육과정(2011),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2009), 프로그래밍 교육 및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향후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도입할 소프트웨어 교육과정도 컴퓨터 소양과 컴퓨터 활용 중심 교육이 아닌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문제의 발견 및 표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알고리즘의 제작, 사고의 수정 등의 고등한 사고 능력 계발 중심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내용을 더욱 강화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셋째, 다양한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 개념의 활용력이다. 넷째,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다. 다섯째, 사회적 협동심 함양이다.
  • 첫째, 추상적 기능의 내면화이다. 둘째, 자기 표현력과 세계에 대한 컴퓨팅 사고적 이해력이다. 셋째, 다양한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 개념의 활용력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CT)란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이다[1]. 이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을 강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코딩(Coding) 즉, 컴퓨터 작업의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의 명령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을 하면 자연스럽게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기르게 된다는 점에 있다[2].
디지털 정보시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 디지털 정보시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융합적 사고력 등이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해야 한다.
컴퓨팅 사고력이란? 이에 의료, 산업, 학문 등전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력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는바 정보과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CT)란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이다[1]. 이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을 강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코딩(Coding) 즉, 컴퓨터 작업의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의 명령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을 하면 자연스럽게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기르게 된다는 점에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문교식(2013). Computational Thinking의 초등교육 활용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13(6), 518-526. 

  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창의적 문제 해결방법론. 서울. 이한미디어. 

  3. Grover, S., & Pea, R. (2013).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Review of the State of the field. Educational Researcher, 42(1), 38-43.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개정안). 

  6.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09 초등개정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Vol. 366, No. 1881, pp3717-3725. 

  8.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the National Academies, USA, Report of a Workshop on the Scope and Nature of Computational Thinking, 2010. 

  9. 이영준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0. 이좌택 (2004). 문제기반학습에 터한 로봇 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1. 유중현.김종혜 (2008).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 정보창의교육논문지. 2(2), 23-32. 

  12. 양창모 (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2) 

  13. 김수환 (2011). Computational Literacy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 향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4. 진영학.김영식 (2011).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3), 25-36.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the National Academies, USA(2011), Report of a Workshop of Pedagog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Thinking, 2011. 

  16. Tucker, A., Seehorn, D., Carey, S., Moix, D., Fuschetto, B., Lee, I., O'Grady-Cuniff, D., Stephenson, C., & Verno, A.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CSTA Standards Task Force. Retrieved from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 /CSTA_K-12_CSS.pdf 

  17. 신갑천 (2010). 스크래치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8. 김태미 (2014). STEAM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중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변화 분석.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Inhelder, B., & Piaget, J. (1958). The early growth of logic in the child: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In H. E. Gruber & J. J. Voneche (Eds.). (1977), The Essential Piaget, N.Y.: Basic Books. 

  20. 이좌택.이상봉 (2004).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논리적 사고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7(4), 15-25. 

  21. 김종혜 (2009).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중등 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