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질평가지원금 평가기준 개선방안: 공공성영역을 중심으로
A new proposal for the incentive scheme for quality evaluation of hospital services focusing on publicness area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1 no.4, 2016년, pp.63 - 70  

김현주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은상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이진용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공공의료사업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공공성 영역에서">공공성영역에서 2015년 좋은 평가를 받았던 의료기관이 2016년 평가기준에서는 나쁜 평가를 받았다면 또는 이와 정반대의 경우가 발생했다면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평가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의 목적은 의료질평가지원금의 평가영역공공성분야의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개선방안에는 향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질향상분담금의 명칭은 언제부터 의료질평가지원금으로 변경되었는가? 2015년에는 개별 의료기관의 수준에 따라 우수한 의료기관이 더 많은 수가 인상분을 가져갈 수 있도록 의료질향상분담금 신설, 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수가 신설, 특수병상 입원료 수가 현실화 등이 이루어졌다[1]. 이 중 의료질향상분담금의 명칭이 2015년 9월부터 의료질평가지원금으로 변경되어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의료질평가지원금이 설계될 당시 공공성 영역이 포함된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질평가지원금이 설계될 당시 공공성 영역이 포함된 이유는 취약계층 의료이용의 형평성 및 필수의료서비스의 접근성 보장을 장려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민간의료기관이 공급을 주도하는 국내 현실을 고려했을 때 의료서비스의 공적 속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의료질평가지원금제도가 시행된 현실적인 이유는? 의료질평가지원금제도는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을 측정하여 질이 우수한 의료기관에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로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1-3]. 하지만 이 제도가 시행된 현실적 이유는 보건복지부에서 천명한 단계적 선택진료비 축소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기관의 손실분을 보전해 주기 위한 제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즉, 박근혜 정부는 의료보장성 강화를 보건의료분야의 주요 국정과제로 삼고 4대 중증질환 및 3대 비급여에 대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3대 비급여 중 선택진료비를 단계적으로 축소하여 2017년에는 폐지할 예정이기 때문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ee SH. Evaluation on the Validity of Reimbursement for Quality Improvement for Hospitals,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5;20(4): 72-77. 

  2. Chae YM. Eval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for Hospitals and Patinet Safety issues.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Policy 2016;5(2):6-1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2016-218(Apr 1, 2016). 

  4. Kim YE. Seontaekjinryoje gaepyeone ttareun yeonghyanggwa jeongchaekgwaje.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15. 

  5. Yang BH. This Year Eval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for Hospitals increased by 400 bilion won[Internet]. Seoul: MPress; 2015 [cited 2016 Apr 7]. Available from http://www.m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5008. 

  6. Shin Y, Kang H, Shin H, Kim Y, Joe M, Yun Y. Seontaekjinryoryo gaepyeone ttareun uiryojilhyangsangbundamgeum jedo sihaengbangan gaebalyeongu.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7. Kim Y, Joe M, Oh M, Lee C, Ok M. Eval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for Hospitals 2-step mode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area of medical quality. Health Insurance Review&Assessment Servi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ve Group; 201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Medical Center. 2015 Public Health and Medical Statistics; 2015. 

  9. Park S, Kim J, Jeong J, Lee J, Chin D, Chung C, et 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in Korea: Nationwide Epidemiological Study Focusing on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Status. Spine 2016;41(4):328-386. 

  10. Betancourt JR, Green AR, King RR, Tan-McGrory A, Cervantes M, Renfrew M. Improving Quality and Achieving Equity: A Guide for Hospital Leaders. The Disparities Solutions Center,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2008. 

  11. Institute of Medicine (US) Committee on Understanding and Eliminating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Editors: Smedley BD, Stith AY, Nelson AR. Unequal Treatment: Confronting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03. 

  12. Weinick RM, Flaherty K, Bristol SJ. Creating Equity Reports: A Guide for Hospitals. The Disparities Solutions Center,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2008. 

  13. Linda CC, Bernice AB, Amy EB, Edward LM. Assuring Healthcare Equity: A Healthcare Equity Blueprint. National Peblic Health and Hospital Institute; 2008. 

  14. Do Y, Kim J, Lee J, Lee H, Joe M, Kim E, et al. hwanjajungsimsung pyeonggamohyeong gaebalyeongu. Health Insurance Review&Assessment Servi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ve Group;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