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TRI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ISA 분석을 통한 출연연 기술창업 성과 제고 정책 연구
Study of Startup Policy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ETRI Pre-Startup Support Program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5, 2016년, pp.45 - 56  

길운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심용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서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기술창업에 대한 높은 기대 속에 이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적/양적 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질적으로도 수준을 제고한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부의 계획 및 지원 방향이 창업 이후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창업 이전 시점에 포커스를 맞춘 정책과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업이 이뤄지기 앞 단계에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다중회귀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 도입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먼저, 갭 분석 및 중요도-만족도 간 검증을 수행한 뒤 각각을 사분면에 위치시켜 유형화하였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세부 프로그램이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 전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금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 프로그램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각 세부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종합하여 향후의 프로그램 강화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 도입은 창업 성공을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attended about startup, there are many policy and program for activating of startup. Government's policy and program was scale up and arrangements for high quality. Nevertheless, policies and programs are concentrated on ante-startup stage. And experts have questioned that effect. So,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창업 교육의 질적 평가에서 지적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창업 교육에 있어서 실무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있으며, 현재 실무적인 교육의 부재 및 부실을 지적하였다(한길석, 2007; 김혜선·박배진, 2009; 목영두·최명길, 2012; 정두식, 2012; 양영석 외, 2012; 정지호, 2014). 즉, 창업 교육이 예비창업자에게 단순한 창업 관련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을 뿐,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논문의 저자가 제안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으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는 바이다.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일정 기간 동안 창업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선행 학습하고, 실제 창업과 유사한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창업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창업자로서 가져야할 마음가짐과 경영학적 소양, 시장에 대한 눈 등을 학습할 수 있는 일종의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논문의 저저가 창업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거론한 것들은 무엇인가? 결국 창업에 도전한 기업가들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정상적인 기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가 보완되고, 그러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만 창업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으로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jan, R.(2005), Issue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cision of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Calcutta, 32(2), 73-84. 

  2. Bae, S. H. & Lee, K. I.(2008),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 via BizCool at Vocational High Schools, Business Education Review, 49(-), 65-92. 

  3. Cho, M. Y.(2015), 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EO'S preparation and the R&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Focus o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s modified effect,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4. Choi, J. I. & Hwangbo, Y.(2012), Development on Education for Entrepreneurship Progra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1), 207-214. 

  5. Han, K. S.(2007), The Systematization Pla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47(-), 379-405. 

  6. Han, S. R.(2012), Comparison to National Important- Satisfaction of K-POP utilizing ISA, Winning papers of 2012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 paper competition, Statistics Korea, 81-105. 

  7. Hyundai Research Institute(2015), Entrepreneurship-related Changes in Public Awareness and Implications, Issue Report, 15(36). 

  8. Hyundai Research Institute(2016), Start-up Status and Implications, VIP Report, 16(16). 

  9. Jeong, D. S.(2012), Empirical Study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eferences and Start-up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Business Education Review, 27(6), 373-394. 

  10. Jeong, J. H.(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Start-up Education Program on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Start-up and Management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11. Kang, Y. W. & Ha. G. S.(2012),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Start-Up and Effect of Preparation of Small Business Start-up on Business Performance-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9), 241-243. 

  12. Korea Creative Economy Research Network(KCERN, 2015), Performance and Task of Creative Economy, http://www.slideshare.net/K_CERN/22-62376160 

  13. Kim, D. E. & Sung, C. S.(2013),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Nascent Behavior and htten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Focus on Meister School Students,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5(1), 25-46. 

  14. Kim, H. S. & Park, B. J.(2009), The Demand Level for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Willingness of Starting a Busines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4(4), 139-165. 

  15. Kim, M. S. & Kim, K. S.(2002), The Relationships of Importance/Performance, Effectiveness and User's Satisfaction for Hotel Information System,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17(2), 199-214. 

  16. Kim, Y. B.(2005), Innovative Small-Medium Enterprises: Character, Technology Learning and Performance(2005-19), Seoul: STEPI. 

  17. Kim, Y. J. & Noh, B. S.(2012), A Stud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 on the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6), 23-31. 

  18. Lee, J. W. & Chang, J. S.(1999),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merica,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udies, 2(2), 57-90. 

  19. Lee, S. S.(2014), The study on the impacts of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nopolis start-ups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researche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1), 69-77. 

  20. Lee, S. W.(2015), (The)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training utilizing simulation strategy for business start-up volition, Master's degree, Chung-Ang University. 

  21. Lee, Y. H. & Park, S. H.(2014),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Ventur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231-244. 

  22. Martilla, J. &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13-17. 

  23. Matzler, K., Baliom, F., Hinterhuber H. H., Renzl, B. & Picher, J.(2003),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3(4), 271-277. 

  24. Mcmullan, W. E. & Long, W. A.(1987),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ninet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3), 261-275. 

  25. Min, Y. K.(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Research Librari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6. Mok, Y. D. & Choi, M. G.(2012),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 833-857. 

  27. Oh, J. W., Ko, B. S. & Kang, J. K.(2015),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s on Entrepreneurship-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he Business Start-up Preparation Period,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1), 129-141. 

  28. Park, J. H., Choi, M. G. & Kim, Y. T.(2010),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Short Program of Local Government,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1(3), 1085-1094. 

  29. Ronstadt, R.(1985), The Educated Entrepreneur: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Summer, 7-23. 

  30. Ryu, J. H.(2014), Meta-analysis about the study related with foundation: As the center from 1998 to 2013 treatis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1), 51-67. 

  31. Sim, Y. H., Gil, W. G. & Kim, S. K.(2015), Study on the Perception Gap between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s and Startup Facilitators about Success Factors for Startu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2), 43-57. 

  32.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2014), Plan of Activation for Technology Based Startup,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50630 

  33. Statistics Korea(2013), 2012 standards Statistics for the start-up and extinction of Companies results, Economic Statistics Bureau Economic Statistics Planing Division. 

  34. Timmons, J. A.(1994), New Venture Creation, IL-Irwin 

  35. Tonge, J. & Moore, S. A.(2007),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marine-park hinterlands: A Western Australian case study, Tourism Management, 28(3), 768-776. 

  36. Vesper, K. H. & Mcmullan, W. E.(1988), Entrepreneurship: Today Courses, Tomorrow Degre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3(1), 7-13. 

  37. Yang, Y. S., Choi, J. I. & Hwangbo, Y.(2012), A Conceptual Study for Creating "A Good Quality Startup" by Algorithm-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2), 141-150. 

  38. Yoo, T. W.(2010),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on Technology and Management Performances in INNO-BIZ Companies,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39. Yoon, J. Y. & Lee, E. J.(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and Entrepreneurship on Intention and Preparation Behavior for Venture Business: Implications for training potential CEO, The Journal of Professional Management, 16(4), 61-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