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지수와 치과보철물 필요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Index and Dental Prosthesis Need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72 - 78  

이희성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김한곤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치과보철물 필요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경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인대상의 구강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자료는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 및 2차년도를 활용 구강검사까지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2,389명 중 검사가 미흡한 노인 116명을 제외한 2,27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가 적을수록, ST지수가 높을수록, FS-T 지수가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크라운 요구도가 낮을수록, 상 하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씹기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크라운 요구도가 낮을수록, 상 하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씹기 문제가 불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지수가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임플란트 요구도가 낮을수록, 상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말하기 문제가 불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구강건강상태와 치과보철물 필요도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을 위한 구강건강증진사업과 치과보철 사업이 필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ing the oral health index and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explored methods to improve the oral health statu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were analyz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지수와 치과보철물 필요도 등 다각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는 어디에 기인하는가? 한국은 지난 반세기동안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수준이 높아지고 평균수명이 괄목하게 성장되었다. 가파른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는 단기간의 그속한 출산율 감소에 따른 유소년인구의 감소와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에 기인되지만, 선진국의 인구고령화는 출산율 감소에 따른 유소년인구의 감소와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1].
노인의 구강건강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은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수행에서 기능적 일상생활까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노인의 구강건강문제는 치아상실, 구강통증과 같은 구강 내 문제뿐만 아니라 호흡기계 감염,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당뇨, 영양불량 등과 같은 전신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질과도 직결되어 있다[5].
본 연구가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1978년 Giddon에 의해 처음으로 구강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의 개념이 정립되어, Atchison and Dolan[11]이 개발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이용 되었고, Slade and Spencer[12]가 개발한 구강건강영향조사(Oral Health Impact Profile : OHIP)는 Locker의 구강건강에 관한 이론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대규모의 광범위 국가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향요인을 추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tructure of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in response to demographic changes", pp. 3-15, 2012. 

  2. Y. S. Won. "The relationship of oral state and dietary habit to health condition among elderly peopl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3. 

  3. D. Locker, M. Clarke, B. Payne,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n older adult population", J Dental Res, Vol.79, pp. 970-975, 2000. DOI: http://dx.doi.org/10.1177/00220345000790041301 

  4. D. Locker, D Matear, "Status and changes in masticatory ability in older Canadians over seven year". J Public Health Dent, Vol.62, No.2, pp. 70-77,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752-7325.2002.tb03425.x 

  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ral health in America: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pp. 25-30, 2010. 

  6. J. H. Park, H. K. Kwon, B. I. Kim, C. H. Choi, Y. H. Choi,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 asy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6, No.4, pp. 555-566, 2002. 

  7. D. Locker,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al health, Vol.5, pp. 5-13, 1998. 

  8. Y. M. Kim, H. R. Choi, D. Y. Park, J. B. Im, J.W. Won, B. S. Kim, Y. U. Park, "The comparisi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well-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and the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22, No.4, pp. 565-574, 2001. 

  9. B. K, Ahn, S. J. Lee, G. G. Nam Y. L. Jeong, S. H. Lee, "The Korean Version of Skindex-29".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 42, No.1, pp. 9-15, 2004. 

  10. DS. Brennan, AJ. Spencer, "Comparison of a generic and a specific measure of oral health related qualiyoif life", Community Dent Health, Vol.22, pp. 11-18, 2005. 

  11. KA. Atchison, TA. Dolan,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c, Vol.54, No.11, pp. 680-687, 1990. 

  12. GD. Slade, AJ Spence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Vol.11, pp. 3-11, 1994. 

  13. S. R. Woo,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e of the oral cavity and the health-caring act on the oral cavity on the life quality concerning the health of the oral cavity of the senior", docto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2013. 

  14. J. H. Park,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ngju",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8. 

  15. S. K. Kim, "A study for Raising the Quality of the Rural Old Aged Men's Lives", Korean socie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23, pp. 179-202, 2004. 

  16. D. H. Lee,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 No.1, pp. 93-108, 2010. 

  17. I. G. Hur, T. Y. Lee, J. K. Dong, S. H. Hong.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ol.48, No.2, pp. 101-110, 2010. DOI: http://dx.doi.org/10.4047/jkap.2010.48.2.101 

  18. G. R. Lee, "The impact of DMFT index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2, No.3, pp. 396-404, 2008. 

  19. C. McGrath, R. Bed, "Can dentur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nsiderable tooth loss", J Dent, Vol.29, pp. 243-256,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300-5712(00)00063-4 

  20. G. Heydecke, LA. Tedesco, C. Kowalski, MR. Inglehart, "Complete denture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32, pp. 297-306,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4.00169.x 

  21. M. H. Park, M. Y. Park, H. S. Lee, "The Effect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dex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10 pp. 4989-4995,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4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