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찰
Review of educa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desirable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561 - 571  

염현이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학부 간호교육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강화하기 위해 시도된 새로운 교육적 접근법을 고찰하고 국내 간호교육에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PubMed, CINAHL의 검색엔진을 사용해 미국 John A. Hartford 재단의 지원으로 노인간호교육을 위한 획기적인 전략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 간호대학의 연구 8편과 그 외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고찰한 논문 4편을 포함한 12편의 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간호에 대한 올바른 태도형성을 위해 제시된 교육적 접근법은 다음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노인간호에 대한 간호전공교과 간의 연계교육, 2) 지역사회 노인의 교육적 멘토 역할, 3) 시청각 매체의 활용, 4) 자기성찰을 통한 토론학습. 향후 응용: 국내 간호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연계교육을 위한 간호전공교과목 간의 긴밀한 협의 및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을 위한 교육행정부서의 협조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기관과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이 교육적 멘토로 참여하는 방안을 적용해 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간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자의 교육역량강화와 새로운 교수법 개발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innovativ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uccessfully in US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appropriate attitudes about caring for older adul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arch of PubMed and CINAHL us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국의 간호교육과정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실증적 교육사례의 구체적인 내용과 적용방안을 제시한 문헌을 고찰한 문헌조사연구이다.
  • 넷째, 노년의 삶의 질, 노화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사회문화적인 이슈에 대한 토론으로 노인간호에 대한 대중적 관점을 분석하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노인간호를 위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17][23][29]. 본 장에서는 이러한 적용된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국내 노인간호교육에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노인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뿐 아니라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만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간호교육에서 노인간호를 위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노인간호교육에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해 고안된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 국내 노인간호교육에서 적용하기 방안을 모색하였다.
  • 특히, 노인간호교육을 단독교과목 뿐 아니라 간호세부전공 과 연계하여 실시하거나, 지역사회 건강한 노인을 교육을 위한 인적자원으로 활용하여 노인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는 등 우리나라 간호교육에서 아직 활발히 시도된 바 없는 새로운 방안들을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학부 간호교육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의 효과를 거둔 교육내용과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노인간호교육에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효과적인 운영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사회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인구의 간호요구가 증대되면서 노인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효과적인 운영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 노인간호학이 단독교과목으로 개설된 후, 2007년까지 4년제 대학의 87.
노인간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노인멘토와의 경험이 긴밀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주제의 선정과 수업운영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는? 노인의 적극적 참여가 주축이 되어 운영되는 교육에서, 노인은 교육적 멘토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 및 관리행위에 대한 건강정보를 구두와 서면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지적역량과 의료서비스의 수혜경험을 학생과 솔직히 공유하려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교수자는 이러한 멘토로서의 역량을 지닌 노인을 섭외하고 교육과정에서 담당해야할 구체적인 역할과 수행지침을 마련해야 하는데[28],교수가 이러한 노인의 경험,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 학생의 내면적 성찰이 효과적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노인간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노인멘토와의 경험이 긴밀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주제의 선정과 수업운영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언제 노인간호학이 단독교과목으로 개설되었는가? 사회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인구의 간호요구가 증대되면서 노인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효과적인 운영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 노인간호학이 단독교과목으로 개설된 후, 2007년까지 4년제 대학의 87.3%가 노인간호학을 개설하고 5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E. Y. Yoon,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rontological nursing - baccalaureate degree programs(BS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4, No. 2, pp.188-194, 2008.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8.14.2.188 

  2. M. S. Song, E.S. Kong, G. B. Kim, et al., "Development of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3, pp.376-385, 2003. 

  3. M. So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5 pp. 2304-2314,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5.2304 

  4. S. Park, K. Park, Y. Kim, "The effects of geriatric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ttitude, perception toward dementia and dementia poli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467-447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467 

  5. M. Y. Gu,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nurses' attitude toward and nursing practice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14. 

  6. K. Blais, E. Mikolaj, D. Jedlicka, J. Strayer, & S. Stanek, "Innovative strategies for incorporating gerontology into BSN curricula."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22, No. 2, pp.98-10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6.01.006 

  7. E. Souder, S.H. Kagan, L. Hansen, L. Macera, P. Mobily, D. White, "Innovations in geriatric nursing curricula: experiences from the John A. Hartford Foundation Centers of Geriatric Nursing Excellence", Nursing Outlook, Vol. 54, No. 4, pp. 219-22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6.05.004 

  8. D. Latimer, & D. Thornlow, "Incorporating geriatrics into baccalaureate nursing curricula: Laying the groundwork with faculty development",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2. No2, pp.79-83.2006. 

  9. Y. Kwon, H. Y. Lee, S. S. Hwan,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the nurses-towards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1 pp. 5785-5791,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1.5785 

  10. S. M. Kwon, M. S. Kwon, O. G. Kwag,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2 pp. 1129-1136,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1129 

  11. J. H. Kim, "Short-term effects of gerontololgical nursing lecture course on attitudes toward elder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0, No. 2, pp.173-181, 2008. 

  12. S. J. Jeon, E. S. Kong, K. B. Kim, et al., "A study of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1, No. 5, pp. 808-817, 2001. 

  13. Y. S., Bae, K. S. Lee, "Needs assessment of nurses and educator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3, No.2, pp.163-192, 1997. 

  14. K. A. Jeong, H. J. Jang, "Effects of elderly care voluntary program o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2, pp.200-207,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200 

  15. J. Y. Kim, N. R. Heo, H. J. Jeon, et al.,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approach based on an elderly with cognition disorder scenario",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21, No. 1, pp.54-64,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1.54 

  16. H. S. Oh, H. S. Jeo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consist of knowledge about nursing care for elderly and elderly simulation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pp.1654-1664, 2012. 

  17. M. S. Song, "A study of nursing student needs in a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0, No. 2, pp. 121-130, 2008. 

  18. Y. Y. Hwang, "A study o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elderly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No. 1, pp.73-81, 2005. 

  19. K. Lammers, "Factors in nursing education affecting the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care of the older adult",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2010. 

  20. P. M. Burbank, A. Dowling-Castronovo, M. R. Crowther, & E. A. Capezuti, "Improv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rough innovative educational strategie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2, No2, pp.91-97. 2006. DOI: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6.01.007 

  21. E. Fowles, L. Kennell, "Incorporating geriatric content into an undergraduate parent-child nursing course: an innovative approach"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 33, No. 3, pp.13-18. 2007 

  22. D. Hancock, M. J. Helfers, K. Cowen, S. Letvak, B. E. Barba, C. Herrick, et al. "Integration of gerontology content in nongeriatric undergraduate nursing courses." Geriatric Nursing, Vol. 27, No. 2, pp.103-111, 2006. DOI: http://dx.doi.org/10.1016/j.gerinurse.2006.02.002 

  23. K. N. Williams, J. Nowak, R L. Scobee, "Fostering student interest in geriatric nursing: impact of senior long-term care experienc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 27, No. 4, pp. 190-193, 2006. 

  24. J. Shellman, "'Making a connection': BS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reminiscence experiences with older adul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5, No. 12, pp. 497-503, 2006. 

  25. http://www.hartfordign.org/ 

  26. http://www.aacn.nche.edu/faculty/tool-kits 

  27. M. A. Aud, J. E. Bostick, K. D. Marek, R. W. McDaniel, "Introducing baccalaureate student nurses to gerontological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2, No.2, pp. 73-78, 2006. DOI: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6.01.005 

  28. R. L. Davis, C. Beel-Bates, & S. Jensen, "The longitudinal elder initiative: Helping students learn to care for older adul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7, No.4, pp.179-182.2008 

  29. L. A. Plowfield, J. E. Raymond, & E. R. Hayes, "An educational framework to support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at the baccalaureate level."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 22, No. .2, pp.103-106, 2006. 

  30. J. A. Oh, M. H. Im, "Analysis of research papers using movi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395-404,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395 

  31. J. A. Oh, "Review of literature and implication for nursing education: Cine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6, No.2, pp.194-201,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2.194 

  32. http://hartfordign.org/resources/try_this_series 

  33. http://www.hartfordign.org/education/clinical_teaching_module-s 

  34. http://www.aacn.nche.edu/faculty/curriculum-guidelines 

  35. R. W. Cozort, "Student nurses' attitudes regarding older adults: Strategies for fostering improvement through academia",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Vol. 3, pp. 21-25,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