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Teaching Calculus for Engineer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1, 2016년, pp.47 - 65  

김성옥 (한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대학의 여러 분야에서 블렌디드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식에 의한 교육 효과를 비교한 연구 결과들이 나와 있으나 대학의 수학 분야 혹은 미적분학 과목에 관해서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여기서는 공학계열 전공을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미적분학 과목에서 블렌디드러닝과 면대면 수업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를 H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여 선행연구결과와 종합하여 고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effect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level in a Calculus course taught by two different teaching modes, blended 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The comparison analysis was made for Calculus 2 course in H university in South K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TM에서 제시한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에서는 무엇을 제시하는가? 우정호(2006) 등은 “수학을 가르칠 때 무엇을 가르치는가보다 어떻게 가르치는가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폴리야(George Polya)의 말을 인용한다. NCTM(2007)에서 2000년에 펴낸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에서는 “효과적으로 가르치려면 계속해서 개선을 추구해야한다”를 교수 원리의 하나라고 제시한다. 이는 대학 수학 교육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원리이다.
중·고등학교에서 컴퓨터 활용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아 무엇이 예상되는가? Schoenfeld)가 1988년에 출판한 한 논문에 쓴 “과학자들 중 수학자들이 컴퓨터 활용에 대한 가장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는 글을 인용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이러한 도구들의 활용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황혜정(1997)은 중·고등학교에서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현황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컴퓨터의 사용이 모든 교과목에 녹아들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몇몇 학자들은 컴퓨터가 학교 수학에 활용됨으로써 수학 교육의 초점이 문제해결과 수학적 모델링으로 바뀌어야 하고 이를 위해 수학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역설했다(이중권·노영순, 1997).
이러닝 부분을 위해 강의를 녹화하는 과정에서 판서수업과는 다른 어떤 장점이 있는가? 녹화를 하면서 판서나 설명을 수정하고 재녹화하는 것은 같은 강의를 강의실에서 두 번 혹은 세 번 되풀이하면서 수정해 나갈 때와는 다른 측면이 있다. 즉 수정되기 전의 부분이 학생들에게 제공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녹화를 할 때 교수자의 모습은 나오지 않고 음성과 판서만 보이게 하였기에 재녹화가 부담이 되지 않았다. 녹화된 강의는 학생들이 반복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교수자의 입장에서도 반복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권오남.김기연.박지연.김래영 (1997). 수학적 시각화를 위한 그래픽 계산기의 활용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연구발표대회 논문집, 293-318. (Kwon, O. N., Kim, K. Y., Park, J. Y. & Kim, R. Y. (1997). The Korean Soc. of Ed. in Math. , 293-318.) 

  2. 김덕선.박진영.이상구 (2008). 21세기 선진형 ICT 수학 교육 방법론 모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2(4), 533-543. (Kim, D.-S., Park, J.-Y & Lee, S.-G. (2008). The educational models using enhanced mathematics ICT in the Korean IT environment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2(4), 533-543.) 

  3. 김미영.안광식.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대한공학교육학회지, 30(1), 106-119. (Kim, M. Y., Ahn, K. S. & Choi, W-S. (2005).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in the Blended Class and Lonlin Class and Offline Clas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30(1), 106-119.) 

  4. 김성옥.안경모.이종원 (2009). 공학전공자를 위한 대학수학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4), 961-976. (Kim, S.-O., Ahn, K. M. & Lee, J. W. (2009).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courses of mathematics for engineering major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5. 김준호.김태석 (2010). 대학에서 블렌디드러닝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31, 111-127. (Kim, J. H. & Kim, T. S. (2010). The Effect of Blended Larning in Higher Education-focus on management accounting courses,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31, 111-127.) 

  6. 남승인 (1993). 수학교육에서 컴퓨터의 활용에 대한 고찰-국민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32(4), 345-359. (Nam, S. I. (1993). A Study on the Computer Usag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32(4), 345-359.) 

  7. 노혜란.최미나 (2011).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참여지속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4), 593-614. (Roh, H. L. & Choi, M. N. (2011). Logistic regressions analysis of the student's persistent intention in university e-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4), 593-614.) 

  8. 박성선 (2001).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C , 5(1), 13-20. (Park, S.-S. (2001).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mathematics learning using computer. J. Korea Soc. Math. Ed. Ser. C, 5(1), 13-20.) 

  9. 박준식.표용수 (2013). 대학 기초수학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1), 19-37. (Park, J. S. & Pyo, Y. S. (2013)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of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19-37.) 

  10.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 (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152-153. (Woo, J.-H. et al. (2006) Theory of Research Method on Mathematics Education, Kyungmoon Sa, 152-3.) 

  11. 우종정.김보나.이옥형 (2009).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 7(2), 219-225. (Woo, J., Kim, B. & Lee, O. (2009) 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of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KIIT:JKIIT, 7(2), 219-225.) 

  12. 이규봉 (1995). Computer Aided Mathematical Proof-in Finding the Inverse Matrix of a Special Matrix.,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34(1), 7-9. (Lee, G-B. (1995). Computer Aided Mathematical Proof-in Finding the Inverse Matrix of a Special Matrix, The Mathematical Education, 34(1), 7-9.) 

  13. 이상구.설한국.한신일 (2005). 기반수학강좌의 자기주도형 Blended-Learning PBL 수업모델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4), 769-785. (Lee, S.-G., Seol, H.-K. & Hahn, S.-I. (2005). A Research on a Model of BL-PBL Self-Directed Mathematics Lectures at College.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4), 769-785.) 

  14. 이상구.신준국.김경원 (2014).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과 미분적분학 단원에 관한 개발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8(1), 65-79. (Lee, S.-G., Shin, J., & Kim, K.-W. (2014). A Case Study of Perceptions on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s with Computer Algebra System.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1), 65-79.) 

  15. 이상구.장지은.김경원 (2013). Sage와 GeoGebra를 이용한 선형대수학 개념의 Visual-Dynamic 자료 개발과 활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1), 1-17. (Lee, S.-G., Jang, J.-E. & Kim, K.-W. (2013). Visualization of Linear Algebra concepts with Sage and GeoGebra.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1-17.) 

  16. 이상구.장지은.김경원.박경은 (2014). GeoGebra와 미분적분학 개념의 시각화.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8(4), 457-474. (Lee, S.-G., Jang, J.-E., Kim, K.-W. & Park, K.-E. (2014). Visualization of Calculus Concepts with GeoGebra.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4), 457-474.) 

  17. 이옥형 (2008). 블렌디드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1), 1-27. (Lee, O-H. (2008). A Study on Achievement of Blended Learning and Face-to Face Learn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1), 1-27.) 

  18. 이중권 (2001). Mathematics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 Based Learning.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 , 5(1), 13-24. (Lee, J. K. (2001). Mathematics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 Based Learning. J . Korea Soc. Math. Ed. Ser.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5(1), 13-24.) 

  19. 이중권 (2004). A Case Study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omputer Environments.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 , 8(2). 81-93. (Lee, J. K. (2004). A Case Study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omputer Environments. J . Korea Soc. Math. Ed. Ser.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8(2). 81-93.) 

  20. 이중권.김성훈 (2004). 맞춤 e-learning을 위한 컴퓨터 적응진단 및 수업체제 개발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3(3), 291-307. (Lee, J. K. & Kim, S. H. (2004). A study for developing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for tailored learning under e-learning environment. The Mathematical Education, 43(3), 291-307.) 

  21. 이중권.노영순 (1997). Teachers and Research Studies in Computer-Assisted Learning,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 , 1(1), 87-94. (Lee, J. K. & Ro, Y. S. (1997). Teachers and Research Studies in Computer-Assisted Learning, J . Korea Soc. Math. Ed. Ser.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1(1), 87-94.) 

  22. 이헌수.김영철.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2012년 M-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4), 369-379. (Lee, H. S., Kim, Y. C. & Park, Y. Y. (2013).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369-379.) 

  23. 이혜경.김향숙 (2006). Keris의 사이버 가정학습 시스템에 적합한 SCORM 기반 수학과 e-learning 컨텐츠 설계 및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0(3), 425-441. (Lee, H-G & Kim, H-S. (2006). Design and Development of SCORM based e-learning contents about mathematics for the KERIS' Cyber Home Education System,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3), 425-441.) 

  24. 이혜정.이성혜 (2007).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분석으로부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77-102. (Lee, H. J. & Lee, S. (2007). An Investigation of Professor's Needs to Activate Blended e-Learning System in a Conven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77-102.) 

  25. 전영국 (1997). WWW와 Mathematica를 이용한 CAI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 , 7(2), 281-292. (Jun, Y. (1997). Design and development of CAI program based on WWW and mathematica. The Korean Soc. of Ed. in Math. ,7(2), 281-292.) 

  26. 최미나 (2007). 동일교수자의 동일 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 효과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5-23. (Choi, M. N. (2007) Analysis of Learning Effect in Learning Environment in Online and Offline Lectures by the Same Teacher.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5-23.) 

  27. 최은미 (2009). 미적분학 개혁운동과 미적분강좌의 방향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8(1), 47-59. (Choi, E. M. (2009). Calculus Reform Movement and A Study on the College Calculu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1), 47-59.) 

  28. 최은정 (2009). 대학미적분학 수준별 교육 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8(3), 213-234. (Choi, E. J. (2009). A case study on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 university calculus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using the numerical software,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3), 213-234.) 

  29. 한지영.이은화 (2010).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S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6), 69-77. (Hahn, J. Y. & Lee, E. (2010).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6), 69-77.) 

  30. 황혜정 (1997).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Usage in Korean Schools,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 , 1(1), 61-74. (Hwang, H. J. (1997).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Usage in Korean Schools, J . Korea Soc. Math. Ed. Ser.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1(1), 61-74.) 

  31.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E-learning, 3(3), 54-56. 

  32. Kashefi, H., Ismail, Z. & Yosof, Y. M. (2012). Supporting Engineering Students'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Blended Learning, Procedia-Sodial and Behavirol Sciences, 56, 117-125. 

  33. NCTM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조원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21(원저 2000년 출판). 

  34. Tawil, N. M., Ismail, N. A., Asshaari, I., Osman, H., Nopiah, Z. M. & Zaharim, A. (2012). Comparing Lecture and E-Learning as Learning Process in Mathematics and Statistics Courses for Engineering Students in Universit Kebangsaan Malaysia, Procedia-Sodial and Behavirol Sciences, 60, 420-425. 

  35. Watkins, R., Leigh, D. & Triner, D. (2004). Assessing Readiness for E-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17(4), 66-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