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
Effect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in Physical Examination and Practicu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81 - 90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학습동기를 파악하여, 플립러닝 적용 후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핵심역량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플립러닝교육 후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0.33, p=.006), 대학생 핵심역량(r=0.51, p<.001), 교수-학생 상호작용(r=0.72, p<.001), 학습만족도(r=0.7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든 다른 변수들 간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동기에 대한 설명력은 71.3% (F=80.66, p<.001)였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 전략의 마련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ducation method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for college students. Bo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were examine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교육의 특성상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실습과의 접목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에 플립러닝을 도입할 때 단점을 보완하여 도입하고자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론교육과 교내실습이 한 교과목 안에서 이루어지는 건강사정 및 실습이라는 교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교과목 운영 시 플립러닝에서 강조하는 핵심 요소인 학생중심 접근, 비동시적인 내용전달 및 정보기술이 결합된 학습방식에[2] 충실하면서도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사항에 대해 보완을 통해 플립러닝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호학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에 플립러닝을 도입할 때 단점을 보완하여 도입하고자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론교육과 교내실습이 한 교과목 안에서 이루어지는 건강사정 및 실습이라는 교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교과목 운영 시 플립러닝에서 강조하는 핵심 요소인 학생중심 접근, 비동시적인 내용전달 및 정보기술이 결합된 학습방식에[2] 충실하면서도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사항에 대해 보완을 통해 플립러닝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호학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플립러닝 학습방법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 역량, 학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사정 및 실습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비교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대학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일개 간호대학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간호학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로 이론과 실습이 접목된 교과목인 건강사정 및 실습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플립러닝에서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자 개별의 특성에 속하는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해 플립러닝을 시작하기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강조한 것이 학기를 시작할 때 본인의 목표를 스스로 세워보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계획을 세우도록 하였고, 이에 대해 온라인 게시판에 올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간에 관련 내용을 공유하도록 하였다. 교수자가 제시한 학습 목표를 학습자가 어떻게 지각하는지가 학습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므로[43], 교수자는 학습목표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목표 및 실천방안에 대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세워보도록 하였다.
  •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플립러닝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이므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전에 사전 학습과 수업 시간의 토론 및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하고 난 후 수업시간에 다룬 내용이나 해결되지 못한 궁금증에 대해 온라인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토론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학생에게 추가로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에게 개별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것이 플립러닝의 장점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되고, 교수자 역시 교수중심의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의 역할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따라서 플립러닝을 전략적으로 도입하여 학생들이 부담을 느끼고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개선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따라서 학습동기 또한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의 효과를 평가하고 간호교육에 최적화된 구체적인 절차와 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본 교과목 운영 시 플립러닝에서 강조하는 핵심 요소인 학생중심 접근, 비동시적인 내용전달 및 정보기술이 결합된 학습방식에[2] 충실하면서도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사항에 대해 보완을 통해 플립러닝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호학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플립러닝 학습방법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 역량, 학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립러닝을 도입하였을 때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핵심역량에 변화가 있는 지 알아보고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플립러닝의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교수자가 제시한 학습 목표를 학습자가 어떻게 지각하는지가 학습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므로[43], 교수자는 학습목표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목표 및 실천방안에 대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세워보도록 하였다. 플립러닝을 간호 교육에 적용하여 교과목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플립러닝 학습방법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 역량, 학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립러닝을 도입하였을 때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핵심역량에 변화가 있는 지 알아보고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플립러닝의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이란?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학습법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플립러닝은 학습자 중심이라는 특성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강조된 형태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매체를 통해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 플립러닝은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자율성이 강조되는 등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인해 간호교육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어떤 분석 기법들을 사용하였는가?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핵심역량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플립러닝의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플립러닝은 학습자 중심이라는 특성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강조된 형태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매체를 통해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 플립러닝은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자율성이 강조되는 등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인해 간호교육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 Goodwin, K. Miller, "Evidence on flipped classrooms is still coming in", Educational Leadership, vol. 70, no. 6, pp. 78-80, 2013. 

  2. J. Bergmann, A. Sams.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p.1-109,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3. V, Betihavas, H. Bridgman, R. Kornhaber, M. Cross, "The evidence for 'flipping out': A systematic review of the flipped classroom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38, pp. 15-21, 2016.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5.12.010 

  4. H. Greenberger, H. Reches, S. Riba, "Do new graduates of registered nursing programs in Israel perceive themselves as technically competent?",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vol. 36, no. 3, pp. 133-140, 2005. DOI: http://dx.doi.org/10.3928/0022-0124-20050501-11 

  5. D. Y. Lee, "Utilization of an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for Medical Education",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ol. 16, no. 10. pp. 1-6, 2014. DOI: https://doi.org/10.17496/kmer.2014.16.1.001 

  6. D. Y. Bai, "A case study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es at the university", The Journal of Urimal, vol. 41, no. 1, pp. 179-202, 2015. 

  7. H. S. Lee, C. S. Kim, "Poster :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9, no. 1, pp. 143-147, 2015. DOI: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143 

  8. M. Kathy, R. Fountain, L. Summers, K. Gosselin, "Flipping the classroom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3.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30919-03 

  9. M. J. Geist, D. Larimore, H. Rawiszer, AW. Al, "Flipped versus traditional instruction and achievement in a baccalaureate nursing pharmacology cours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 36, no. 2, pp. 114-115, 2015. DOI: http://dx.doi.org/10.5480/13-1292. 

  10. J. Y. Lee, S. H. Park, H. J. Kang, S. Y.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9, pp. 313-323,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9.313 

  11. C. M Critz, D. Knight, "Using the flipped classroom in 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vol. 38, no. 5, pp. 210-213, 2013. 

  12. V. Simpson, E. Richards, "Flipping the classroom to teach population health: increasing the releva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15, no. 3, pp. 162-167, 2015. DOI: https://doi.org/10.1016/j.nepr.2014.12.001 

  13. H. J. Han, C. L. Lim, S. L. Han, J. W. Park,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 31, no. 1, pp. 1-38. 2015. 

  14. A. Butt, "Student views on the use of a flipped classroom approach: Evidence from Australia", Business Education & Accreditation, vol. 6, no. 1, pp. 33-43, 2014. 

  15. J. F. Strayer,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vol. 15, no. 2, pp. 171-193,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0984-012-9108-4 

  16.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7. H. J Park, Self-directed learning: The nevigation of my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2011, Available From: http://hatbit.kg.kr/user/saveDir/board/www24/76_1385021346_0.pdf(accessed Nov, 2016) 

  18.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1978. 

  19. K. J. Kim, K. S. Kim, G. O. Yu, G. H. Yu,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lan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2, no. 1, pp. 1-25, 1996. 

  20. M. S. Jin, Y. M. Sohn, H. J. Chu,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461-486, 2011. 

  21. M. H. Kang, H. O. Heo, L. H. Jo, J. H. Shin, J. H. Seo, "Developing an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 for new millennium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 43, no. 2, pp. 157-170, 2010. DOI : http://dx.doi.org/10.1080/15391523.2010.10782567 

  22. E. H. Kim. Read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r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p.1-75, Master' 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2014. 

  23. M. G Moore,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p.1-273,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24. Fisher, G. Laura. Comparing writing with interviews and exams as assessment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sept of the derivativ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2001. 

  25. S. Y. Han. The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Dance Ability Achievement. p.1-59,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Jukjeon. 2009. 

  26. K. H. Pak, Y. M. Kim, "A Study on Smart Phone based e-Learning and its Impact on Learner's Satisfaction", The e-Business Studies vol. 14, no. 2, pp. 25-45, 2013. 

  27. J. J. Stein.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Ph.D thesis, Wayne State University, 1997. 

  28. K. Y. Lim.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 Participation, Achievement,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p. 1-159,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9. 

  29. J. Brophy.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2nd ed.), Mahwah,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2004. 

  30. J. M. Keller. The ARCS Model for Developing Motivationally-Adap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p. 513-530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1999. 

  31. J. C. Jeon. The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Reflec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2012. 

  32. CJ Brame. Flipping the classroom. Retrieved, 2013, Available From: https://cft.vanderbilt.edu/guides-sub-pages/flipping-the-classroom/(accessed Oct., 30, 2016) 

  33. P. G. Baek,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nd Undergraduates' Individual Vari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7, no. 3, pp. 349-387, 2013. 

  34. J. I. Lee, J. H.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1, no. 2, pp. 227-246, 2012. 

  35. J. Visser, J. M. Keller, "The clinical use of motivational messages: An inquiry into the validity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Instructional Science, vol. 19, no. 6, pp. 467-500, 1990. DOI: http://dx.doi.org/10.1007/BF00119391 

  36. S. Roh,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web-based distance Learners-the case of capital region's undergraduate distance learn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 13, no. 1, pp. 99-130, 2007. 

  37. S. G. KIM,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High-risk neonatal Care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6807-6815,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6807 

  38. Y. H. Kim,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pp. 6176-18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0.6176 

  39. Y. Le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inquiry-bas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3. 

  40. H. Y. Le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attitude toward distance educ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chieveme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distanc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41. M. Kim, M. W. Choi, K. Lee,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leaners affecting the success of learning under e-learning circumstances for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vol. 8, pp. 221-236, 2007. 

  42. H. Park, M. Choi, "Relationships between e-learning effectiveness and its related factors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4, no. 1, pp. 27-53, 2008. 

  43. S. A. Karabenick, "Perceived achievement goal structure and college student help seek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6, no. 3, pp. 569-581, 2004. DOI: http://dx.doi.org/10.1037/0022-0663.96.3.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