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 설정을 위한 GIS 분석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GIS Analysis Techniques for Finding an Catchment Area by Public Transport at Railway Stations Using Transport Cards Big Data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6 no.6, 2016년, pp.1093 - 1099  

진상규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첨단교통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의 수도권 전철역이 499개가 있지만 철도역과 연계수단간의 연계영향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대부분 진행된 연구들은 연계영향권보다는 접근영향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연계영향권의 연구들은 설문조사와 기초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연계영향권의 설정에 대한 이론적기반과 분석기법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연계영향권을 설정 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빅데이터인 교통카드 이용자들의 철도역 이용 공간자료와 GIS 기반 연계영향권 분석 기법을 접목하여 수단별 네트워크 통행시간기반 연계영향권 설정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 마을버스 15분이내, 지선버스 20분이내, 간선버스 25분 이상 등의 연계영향권이 네트워크 접근시간의 차이에 따라 명확히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re are 499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in Korea,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influence zone of linkage between railway station and public transport. Existing studies have been studied almost in terms of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influence z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GIS 분석 기법을 통한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을 설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기존연구들에서는 철도 및 대중교통의 연계영향권 설정과 관련하여 분석 시 통계 및 설문조사 자료들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고 있다. 또한 연계영향권의 설정보다는 연계서비스수준(LOS)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또한 GIS분석을 통하여 버스를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으로 분류하지 않고 각각의 교통수단으로 마을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로 분류하여 연계영향권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계영향권의 연계서비스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한 연계영향권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을 설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확한 연계영향권 설정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GIS 분석 기법을 개발하는데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자료로 연계영향권을 분석할 경우 응답자의 성향에 따라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로 변환해 GIS 분석기법으로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을 설정하는 새로운 방법론 제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대중교통의 연계영향권 설정 대한 기존연구들을 고찰하고 본 논문과 차별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 연계영향권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말하는 대중교통 연계영향권은 출발지(출발정류장)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철도역까지 접근이 가능한 지역의 범위를 연계영향권이라고 말한다.
Cost Distance 분석은 무엇을 고려하는가? Cost Distance 분석은 거리와 연계 도로의 속도를 고려하여 통행시간으로 산출하는 분석 방법이다. 사용된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본 논문에서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 설정을 위해 교통카드 빅 데이터 중 어떤 카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로 구축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통카드 빅 데이터 중 스마트카드와 EB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로 구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raig Towsend (2014). Spatial Measurement of Transit Service Frequency in Canada, JOURNEYS. pp. 33-43. 

  2. Kim, H. B. (2012). "A study of mode choice analysis of blind spot areas for public transportation in four metropolitan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6D, pp. 565-569 (in Korean). 

  3. Kim, H. B., Jang, K. U., Kim, Y. S. and O, J. H. (2011). "A study of blind spot analysis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level of service (LOS) in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3, pp. 383-389. 

  4. Kim, S. G.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OS (Level of Service) for accessibility to railway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1, pp. 115-120. 

  5. Transport for London (2015). Assessing transport connectivity in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