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AP 인증·미인증 상추 및 오이 농가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between GAP and non-GAP Certified Farms of Lettuce and Cucumbe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6, 2016년, pp.414 - 419  

김정숙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정덕화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추와 오이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용수, 작물 (상추, 오이), 장갑, 포장재 (비닐)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 평가하고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GAP 인증 농가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상추 농장의 경우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 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하였고, 병원성미생물인 S. aureus와 B. cereus는 GAP 인증 농가의 토양과 용수에서 미인증 농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오이농장은 토양의 대장균군과 B. cereus, 장갑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가 GAP 미인증 농가보다 GAP 인증 농가에서 높았고, 그 외에는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가 유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결과를 비교했을 때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GAP를 인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서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보다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 모두 농업용수의 관리와 작업 시 사용되는 작업자의 장갑 관리에 있어서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GAP 인증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and to survey sanitation management betwee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and non-GAP farms of lettuce and cucumber. The samples (lettuce, cucumber, soil, agricultural water, gloves, and packing plastic bag) were tes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선 농산물 중 소비량이 많은 채소류인 상추와 오이를 대상으로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를 선정하여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E. coli와 국내 농산물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 결과 검출율이 높았던 S. aureus와 B. cereus를 대상으로 생산과정 중의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평가하고 미생물 오염발생 원인분석을 통해 농업인들이 보다 쉽게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를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P 인증농가에서 조차 관리가 되지 않는 이유는? GAP 제도는 잔류농약 등의 화학적 위해요소 뿐만 아니라 병원성 미생물 등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위해요소 등을 사전에 관리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 하는 제도로 11) , 초기에는 화학적 위해요소의 관리에만 집중된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고시의 개정을 통해 위해요소관리계획서의 작성 후 중요관리점을 파악하여 해당 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미생물을 포함한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관리도 한층 더 강화되었다 12) . 하지만 농산물 생산현장에서는 여전히 미생물 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미생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안전한 농산물 생산농가라고 인증 받은 GAP 인증농가에서 조차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GAP 제도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공급하기 위해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도입하여 2003년부터 2005년 까지 수박, 딸기 등 42개 품목에 대한 시범사업 거쳐 2006년에는 본격적으로 GAP 기준을 고시하여 제도를 시행하였다 10) . GAP 제도는 잔류농약 등의 화학적 위해요소 뿐만 아니라 병원성 미생물 등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위해요소 등을 사전에 관리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 하는 제도로 11) , 초기에는 화학적 위해요소의 관리에만 집중된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고시의 개정을 통해 위해요소관리계획서의 작성 후 중요관리점을 파악하여 해당 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미생물을 포함한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관리도 한층 더 강화되었다 12) . 하지만 농산물 생산현장에서는 여전히 미생물 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미생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안전한 농산물 생산농가라고 인증 받은 GAP 인증농가에서 조차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청결관리를 위해 농기구, 농자재 보관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농기구 및 농자재 보관은 GAP 인증농가에서는 농자재 용도별로 구분하여 정리정돈 하여 미생물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하고 있었으나, GAP 미인증 농가에서는 용도 구분 없이 흙바닥에 방치되어 있는 등 청결관리가 부재하고, 조리기구 등과 함께 방치되어 미생물의 교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농기구 및 농자재의 보관은 용도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되 바닥과는 이격하고, 조리기구 등과 같은 농자재가 아닌 것들과는 구분 보관하여 미생물 교차 오염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hk, G.J., Kim, Y.C., Lee, H.S., Rho, M.J., Cho, Y.H., Lee, Y.H., Lee, K.M., Rho, W.S., Yang, J.H., Kim, J.S. and Lee, S.P.: A study on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in korea. J. Fd Hyg. Safety, 14, 34-44 (1999). 

  2. Lee, J.Y. and Kim, K.D.: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reserv., 16, 999-1007 (2009). 

  3.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 Poisoning Stat.do, Accessed Oct. 14 (2016). 

  4. Available from http://www.naqs.go.kr/multiboard/board/detail.naqs?menuMN30511&groupno283&cate0&page1&seq48438&schType&schKeyword, Accessed Oct. 14 (2016). 

  5. Kim, S.R., Kim, J.B., Lee, H.S., Lee, E.S., Kim, W.I., Ryu, S.H., Ha, J.H., Kim, H.Y. and Ryu, J.G.: Effects of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J. Fd Hyg. Safety, 30, 249-257 (2015). 

  6. CDC: Update on multistate outbreak of E. coli O157:H7 infections from fresh spinach, October 6, 2006. Available from http://www.cdc.gov/ecoli/2006/ spinach-10-2006.html, Accessed Oct. 14 (2016). 

  7.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260&bbs_nobbs077&ntctxt_no11765&menu_grpMENU_GRP04, Accessed Oct. 14 (2016). 

  8. Patel J. and Sharma M.: Differences in attachment of Salmonella enteric serovars to cabbage and lettuce leaves. Int. J. Food Microbiol., 139, 41-47 (2010). 

  9.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259&bbs_nobbs076&ntctxt_no1049343&menu_grpMENU_GRP04, Accessed Oct. 14 (2016). 

  10. Shim, W.B., Kim, K.Y., Kim, J.S., Yoon, Y.H., Kim, J.E., Shim, S.I., Kim, Y.S. and Chung, D.H.: Hazard assessment of apple farms at the growing stage to establish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based on hazard control. Agri. Life Sci., 47, 177-186 (2013). 

  11. Park, S.G., Chio, Y.D., Lee, C.W., Jeong, M.J., Kim, J.S., Chung, D.H. and Shim, W.B.: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from Korean Leeks and cultivation area to establish the GAP model. J. Fd Hyg. Safety, 30, 28-34 (2015) 

  12. MAFRA: Law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es.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4636&efYd20160707#0000, Accessed Oct. 14 (2016). 

  13. MFDS. Korean Foods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won, Korea (2013). 

  14.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and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d Hyg. Safety, 26, 289-295 (2011) 

  15. Solomon, E.B., Potenski, C.J. and Mattews K.R.: Effedt of irrigation method on transmission to and persistence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J. Food Prot., 65, 673-676 (2002). 

  16. Shim, W.B., Kim, K.Y., Yoon, Y.H., Kim, J.E., Shim, S.I., Kim, Y.S.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strawberry farms at the harvest stage to establish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based on principle of HACCP.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04-110 (2013). 

  17. Shim, W.B., Kim, J.S., Kim, K.Y., Yun, J.C. and Chung, D.H.: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in peach farms to establish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based on hazard control. Agri. Life Sci., 47, 61-71 (2013). 

  18. Nam, M.J., Chung, D.Y., Shim, W.B. and Chung, D.H.: Hazard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on paprika during cultivation. J. Fd Hyg. Safety, 26, 273-28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