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활성, 활성산소종 생성과 세포독성 조절작용
Antioxidant activities,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aerial par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6, 2016년, pp.574 - 581  

강스미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응용시스템학부) ,  홍정일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를 7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에 대해 용매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 5분획의 산화방지 효과, ROS 생성효과, 세포독성 효과 및 관련 기작에 대한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r.B가 이어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Fr.EA는 DPPH와 ABTS 라디칼 및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있어서도 다른 분획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리놀레산 지질과산화 시스템에서는 Fr.EA와 Fr.B가 강한 산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라디칼 소거능은 물론 $Fe^{2+}$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가 지방질산화에 대한 억제기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r.EA 및 Fr.E가 HCT-116 대장암 세포 및 INT-407 정상장관계 세포에 대해 높은 세포독성을 유발하였으며, 특히 Fr.EA는 HCT-116 대장암 세포에 대해 정상 장관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들은 세포 내에서는 ROS를 감소시키는 산화방지효과를 나타낸 반면 배양액 중에서는 $H_2O_2$를 생성하는 산화촉진 효과도 나타내었으며, Fr.EA와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및 N-acetylcysteine 을 같이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및 산화촉진 효과와 세포독성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소재로서의 퉁퉁마디의 이용성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is an edible halophyte that grows in salt marshes. In the present study, anti- and pro-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 properties of glasswort were investigated. Solvent fractions, including fractions of hexane, ethylether (Fr.E), ethylacetate (Fr.EA), butano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퉁퉁마디 추출물에 대한 극성별 분획의 항산화적 특성,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폴리페놀성 물질이 가지는 산화촉진 효과 및 이러한 활성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의 70% 메탄올추출물로부터 극성에 따른 분획을 얻은 후, 각 추출물 분획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 지방질 과산화 억제 효과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통한 산화촉진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상장관계 세포와 대장암 세포에 대한 각 분획의 독성을 평가하고 이에 미치는 산화촉진 활성의 영향을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퉁퉁마디의 식품기능성 소재로서 이용가능성 확대를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퉁퉁마디에 함유된 지방산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염생식물인 퉁퉁마디는 다른 식물에 비해 다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요오드, 칼륨 등 90여종의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다량의 칼슘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7). 퉁퉁마디가 함유하고 있는 전체 지방산의 50% 가량이 필수 지방 산인 리놀렌산이며, 총 아미노산 중 필수 아미노산이 40% 이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줄기는 알긴산 등의 식이섬유소를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퉁퉁마디 추출물에서 분리된 폴리페놀성 물질은? 퉁퉁마디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성 물질인 isorhamnetin-3-O-β-Dglucopyranoside와 3-caffeoyl-4-dihydrocaffeoyl quinic acid은 지방질 과산화를 억제하고 자유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간암 및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도 보고되었다(10-12). 동물 실험을 통한 보고에 의하면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당뇨유발 쥐 모델에서 퉁퉁마디의 투여에 의해 혈당이 강하되고 당뇨에 의한 체중 감소현상을 억제 되는 등 항당뇨 효과와 당뇨에 의한 합병증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맥경화와 고지혈증을 예방하는데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3-15).
퉁퉁마디의 다른 이름은? 명아주과에 속하는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는 함초라고도 불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 지역의 염전 주변과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갯벌이 주 서식지이며, 제주도, 울릉도 등 도서지역에서도 발견된다(5). 퉁퉁마디는 식용뿐만 아니라 각종 민간치료요법에도 사용되어 왔으며, 이의 잠재적인 가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유용 기능성 성분 및 생리활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Rhee, MH, Park HJ, Cho JY. Salicornia herbacea: Botan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f halophyte marsh plant. J. Med. Plants Res. 3: 548-555 (2009) 

  2. Lim CW, Park HY, Kim YK, Lee DS, Song KC. Contents of inorganic metals from halophyte and shellfish living in the beach sedi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21-126 (2007) 

  3. Lee JT, Jeong YS, An BJ.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n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 J. Herbol. 17: 51-60 (2002) 

  4. Kim JB, Choe SM, Choe KH, Lim SH, Chai SJ. Funtional components of halophyte: Antioxidant substances in Salicornia herbacea L. J. Fish. Mar. Sci. Edu. 19: 197-205 (2007) 

  5.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2002) 

  6.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JS, Kim JS, Lee YS.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2006) 

  7. Im SA, Kim GW, Lee CK.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 components. Nat. Prod. Sci. 9: 273-277 (2003) 

  8. Min JG, Lee DS, Kim TJ, Park DI.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7: 105-107 (2002) 

  9. Han SK, Kim SM.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2003) 

  10. Park SH, Kim K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2004) 

  11. Chung YC, Chun HK, Yang JY, Kim JY, Han EH, Kho YH. Tungtungmadic acid, a novel antioxidant, from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8: 1122-1126 (2005) 

  12. Ryu DS, Kim SH, Lee DS. Anti-proliferative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Salicornia herbacea on inductions of G2/M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J. Microbiol. Biotech. 19: 1482-1489 (2009) 

  13. Bang MA, Kim HA, Cho YJ.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40-846 (2002) 

  14. Cha JY, Jeon BS, Kim BK, Kang HY, Cho YS. Physiological effect of hamcho yogu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15: 619-625 (2005) 

  15. Park SH, Ko SK, Choi JG, Chung SH. Salicornia herbacea prevents high fat diet-induced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ICR mice. Arch. Pharm. Res. 29: 256-264 (2006) 

  16. Ryu DS, Kim SH, Lee DS.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135-141 (2008) 

  17. Choi YM, Kang S, Hong J. Modulation of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interaction of THP-1 monocytes with intestinal epithelial cells by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378-383 (2016) 

  18. Kang S, Kim DR, Lee BH, Kim MR, Chiang MH, Hong J. Antioxidant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fraction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seed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cells. Food Sci. Biotechnol. 20: 115-122 (2011) 

  19. Kang S, Kim MR, Chiang MH, Hong J.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freshwater-cultiva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with naturally-grown glasswort. Food Sci. Biotechnol. 24: 2245-2250 (2015) 

  20. Park KA, Choi YM, Kang S, Kim MR, Hong J. Effects of proteins on the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99-305 (2015) 

  21. Lee NH, Hong J, Kim JY, Chang MH. Antioxidant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am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87-92 (2009) 

  2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3 (1958) 

  23. Jara PJ, Fulgencio SC. Effect of solvent and certain food constituents on different antioxidant capacity assays. Food Res. Int. 39: 791-800 (2006) 

  24. Gray JI, Dugan L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975) 

  25. Ambati RR, Ravi S, Vallikannan B, Gokare AR. Antioxidant activity of Botrycoccus braunii extract elucidated in vitro models. J. Agr. Food Chem. 54: 4593-4599 (2006) 

  26. Oktay M, Gulcin I, Kufrevioglu OI. Determin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seed extracts. Lebensm.-Wiss. Technol. 36: 263-271 (2003) 

  27. Wang H, Joseph JA.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r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Radical Bio. Med. 27: 612-616 (1999) 

  28. Winterbourn CC, Metodiewa D. Reactivity of biologically important thiol compounds with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Free Radical Bio. Med. 27: 322-328 (1999) 

  2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4) 

  30.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illa MC.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 230-235 (2007) 

  31. Graf E, Eaton JW. Antioxidant funtions of phytic acid. Free Radical Bio. Med. 8: 61-69 (1990) 

  32. Roos B, Duthie GG. Role of dietary pro-oxidants in the maintenance of health and resilience to oxidative stress. Mol. Nutr. Food Res. 59: 1229-1248 (2015) 

  33. Boonstra J, Post JA. Molecular events associated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mammalian cells. Gene 337: 1-1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