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제방을 이용한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연구
Availability test of eco-levee construction for presevation of bangudae petroglyph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1, 2016년, pp.931 - 939  

이승오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제갈선동 ((주)에이치투알) ,  조홍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보 285호인 반구대 암각화는 EL.53~57 m에 위치해 있으며, 하류에 설치된 사연댐의 만수위 EL.60 m로 인해 매년 5~6개월 동안 침수와 노출이 반복되어 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암각화를 보존하는 방안으로서, 암각화 전면에서 약 80 m 떨어진 곳에 약 440 m의 차수형 제방을 설치하고 기존 하폭에 준하는 수로를 개설하는 생태제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저수지와 하천의 흐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모형을 1:50축척으로 제작하여, 수로변경에 따른 신설 제방구간과 상 하류 대곡천의 수리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연댐 여수로를 EL. 60 m와 EL. 54 m로 고려한 생태제방 1안과 2안 모두 신설되는 수로에서 유속과 수심변화 등이 크지 않았으며, 허용유속과 소류력 기준으로 판단하면 흙과 돌 등 자연재료로 생태제방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면경사가 크게 되는 2안이 1안보다 수로 내에서의 유속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안은 유입부 좌안에서 와류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ngudae Petroglopys of the national treasure No. 285 located in elevation of 53 m to 57 m have been damaged by repetition of submergence and exposure due to the Sayeon-dam of EL.60 m constructed in down stream. In this study, as a preservation plan of the petroglyphs from the contact with wat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계획된 생태제방의 적절한 위치, 규모 및 안전성을 검토·분석하여 자연재료에 의한 축제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문화재청이 암각화의 유네스코등재 조건에 부합될 것으로 판단하고 암각화 보존방안으로 적극 추진하여 왔었던 ‘사연댐 수위조절안’이 암각화 주변의 유속증가로 인해 오히려 훼손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안으로 암각화를 물과 격리시키는 차수용 제방인 생태제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생태제방안은 암각화 주변 지형 및 환경변화를 최소화하고, 현 사연댐의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제안된 방안이다. Fig.
  •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모형실험을 통해 Table 1에 제시한 생태제방 설치 시, 신설되는 수로의 수위 및 유속분포 측정 및 홍수시 하천의 배수능력 분석 등 수리학적 현상을 검토하는데 있다. 또한 계획된 생태제방의 적절한 위치, 규모 및 안전성을 검토·분석하여 자연재료에 의한 축제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다.
  • 생태제방안의 흐름특성은 본 반구대암각화를 보존하기 위한 차수용 제방을 설치할 경우 신설된 생태제방과 생태제방 대안측의 산지부 절취로 수로변경시 생태제방구간 및 상하류 대곡천의 수리적인 특성변화를 검토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개수로의 지배력인 중력을 고려한 Froude상사를 택하여 제 2지배력인 점성력과 관련된 Reynolds수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형과 모형에서 Manning의 평균유속이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조도를 조정하여 점성력의 상사성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실제 모형에서 모형과 원형사이의 조도계수비를 맞도록 하는 것은 에너지선이 같게 될 때까지 조도를 조절하여 해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구대암각화의 위치와, 그림의 내용은 무엇인가? 국보 제 285호인 반구대암각화는 울산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변 절벽에 고래, 거북 등 바다동물과 사슴, 멧돼지 등 육지 동물 300여점이 새겨져 있는 바위그림이다. 반구대암각화는 많은 종류의 동물, 특히 고래를 주제로 한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포경유적으로 선사시대 해양문화를 담고 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반구대암각화가 갖는 역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국보 제 285호인 반구대암각화는 울산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변 절벽에 고래, 거북 등 바다동물과 사슴, 멧돼지 등 육지 동물 300여점이 새겨져 있는 바위그림이다. 반구대암각화는 많은 종류의 동물, 특히 고래를 주제로 한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포경유적으로 선사시대 해양문화를 담고 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1965년 울산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해 암각화 하류부에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수몰지대에 위치한 암각화는 연중 5~6개월 정도 침수와 노출을 반복하면서 훼손이 빨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공업단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사연댐이 축조된 후, 현재는 어떠한 댐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반구대암각화는 신석기시대 후기에서 청동기시대에 제작되어 수천 년 동안 잘 보존이 되어 왔으나, 1965년 암각화 하류에 울산공업단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사연댐이 축조되면서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크게 훼손이 진행된 상태이다. 사연댐은 십수년전 생활용수공급댐으로 전환되어 울산시 전체 생활용수의 약 40%인 하루 13만m3을 공급해 왔으며, 상류에 대곡댐이 추가로 건설된 후에는 두 댐의 연계 운영으로 하루 18만 m3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암각화는 울산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 상류인 두 댐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ngudae Petroglyph Institute, University of Ulsan (2011). Report of confirmation of phenomenon for National Treasure No. 285 Bangudae-Petroglyph in Daegok-ri, Ulsan. pp. 1-38. 

  2. Bangudae Petroglyph Institute, University of Ulsan (2014).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Worlds Petroglyph Sites 

  3. Chegal, S. D., Cho, H. J., Kang, H. S., and Lee, S. O. (2014). "An experimrnt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bangudae petroglyphs by changing management water level of Sa-Yeon Dam."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277-287. 

  4. Cho, H. J., and Moon, J. K. (2010). "An engineering survey and proposal on presevation of petrograms at daegok brook." Tunnel & Underground 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20, No. 3, pp. 194-206. 

  5. Fitzner, B., Heinrichs, K., and La Bouchardiere, D. (2004). "The bangudae petroglyph in Ulsan, Korea: Studies on weathering damage and risk prognosi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46, No. 3-4, pp. 504-526, 1866-6280. 

  6. Kim, H. Y., Kim, Y. T., Park, M. J., and Jeong, S. M. (2013). "Analysi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bangudae petroglyphs by water level declination of Sa-yeon Dam." Journal of Kosham, Vol. 13, No. 4, pp. 235-243. 

  7. Kim, Y. T. (2011). Analysis on Inundation Effect of Bangudae Petroglyphs by Water Level Variation of Sayeon-Dam, Kongju National University. 

  8.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5). A Report of Investigation Dam Sediment and Design of Topographic Map (Sa-yeondam). 

  9. Lee, C. H., Chun, Y. G., Jo, Y. H., and Suh, M. C. (2012).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and deterioration degree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ol. 28, No. 2, pp. 153-164. 

  10. Lee, J. S. (2005). A Study on the Velocity Profile in the Open-Channel Flow, Moyngji University. 

  11. Ministry of Construction (1994). Standardized Guide Specifications for River Construction. 

  12.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2000). A Study on the Analysis of Nature Disasters of Close-to-Nature River Works II. 

  13. Ulsan Metropolitan City (2003). Damage Diagnosis on the Bangudae Petroglyphs and Its Conservation Schem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