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Self Care Mobile App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316 - 326  

노세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전문가와 사용자의 타당도 검증을 받고자 실시되었다. 문헌고찰과 대상자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ADDIE모형에 따라 분석-설계-개발-구현-평가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와 교육내용 선정 후 전문가 7명에게 내용타당도를 평가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콘텐츠는 교육, 측정, 자가간호 매일점검, 조회, 알람, 앱정보의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9명, 신장이식 환자 5명에게 개발된 수술 후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을 1주일간 사용 후 건강관리용 스마트폰 앱 평가설문지를 통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측정도구 신뢰도 Cronbach's alpha, 어플리케이션 평가지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4점 만점에 전문가 3.2점, 사용자 3.4점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 어플리케이션은 자가간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만족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추후 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가간호 지식 및 자가 간호 수행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elf-care application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and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evaluated the needs of patients. The research proceeded in ADDIE order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초점집단 면담

    면담내용 분석 결과, 대상자들은 운동의 종류, 실제적인 운동방법 등의 운동 영역과 실제적인 저염식이 방법, 식단, 약물 복용 시 주의 사항 등의 영양 및 약물관리 영역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하였다. 또한 채혈 후 혈액검사결과와 하루 전체 소변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등 측정 및 기록에 관심이 있었으며, 혈액검사 수치나 소변량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조회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장이식 수술 후 초기 3개월간의 자가간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전문가와 사용자의 평가를 받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부전환자들이 신장이식을 원하는 이유는? 이 중 신장이식 환자는 10,119명에 이르고 있고,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신장이식은 2002년 552건, 2008년 1,142건을 넘어 2014년 1,808건으로 증가하고 있다[2]. 성공적인 신장이식은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과 달리 장기적 측면에서 시간적․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며 사망 위험이 감소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어 많은 신부전환자들이 신장이식을 원하고 있다[3].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말기 신부전 환자의 증가 추이는?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말기 신부전 환자는 1986년 2,534명, 2007년 48,675명으로 20년 사이에 2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63,34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이 중 신장이식 환자는 10,119명에 이르고 있고,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신장이식은 2002년 552건, 2008년 1,142건을 넘어 2014년 1,808건으로 증가하고 있다[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장이식 환자의 자가간호를 실시하는 이유는? 스마트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수술후 환자 간호에 활용하면 편의성과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다[23]. 또한 앱의 특성상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므로[24]신장이식 수술 후 자기주도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자가간호와 잘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신장이식 수술 후 자가관리가 필요한 초기 시점에서 체계적으로 대상자의 수술 후 관리를 돕는 어플리케이션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Organ transplant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ited 2015 september20]. Available from: https://www.konos.go.kr/konosis/sub4/sub04_03_01_pop.jsp. 

  3. S.I. Kim, Y. S. Kim, M. S. Kim, E. C. Park, K. O. Jeon, S. Y. Son, M. I. Hahm, H. Y. Lee. A renal transplantation and hemodialysis cost-utility analysis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4, 3, pp. 173-181, 2010. DOI: http://dx.doi.org/10.4285/jkstn.2010.24.3.173 

  4.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Kidney transplantation and a new life, pp. 53-121, Seoul: Medical culture, 2008. 

  5. H. C. Kim, W. H. Cho. Kidney transplantation. p14-200, Seoul: Koonja, 2000. 

  6.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Clinical nephrology. pp. 825-869,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15. 

  7. G. B. Choi, S. H. Lee, L. Chan. Clinical manual of kidney transplantation. pp. 67-237, Seoul: Iljogak, 2000. 

  8. S. Greenstein, B. Siegal.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in patients with a functioning renal transplant: A multicenter study. Transplantation. 66, 12, pp. 1718-1726, 1998. DOI: https://doi.org/10.1097/00007890-199812270-00026 

  9. S. J. Bae. Self-care compliance by elapsed tim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4. 

  10. S. M. Jung. The relationalships of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self-care compliance among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4. 

  11. J. H. Jung, Y. H Kim, D. J. Han, K. S. Kim, S. H. Chu.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taking immunosuppressant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4, 4, pp. 289-297, 2010. DOI: https://doi.org/10.4285/jkstn.2010.24.4.289 

  12. M. K. Sim, S. Y. Son.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 1, pp. 9-17, 2012. 

  13. Y. H. Hwang. Evaluation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 before discharge and follow-up telephone consultation on self-efficacy for kidney transplant patient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3. 

  14. E. J. Gordon, T. Prohaska, L. A. Siminoff, P. J. Minich, A. R. Sehgal. Can focusing on self-care reduce disparities in kidney transplantation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5, 5, pp. 935-940, 2005. DOI: http://dx.doi.org/10.1053/j.ajkd.2005.02.011 

  15. S. Y. Kim. Predicting factors on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1. 

  16. S. H. Yoo.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s of kidney transplanted patients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patient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004. 

  17. B. R. Wang, J. Y. Park, I. Y. Choi.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10, pp. 396-404,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0.396 

  1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Mobile internet use survey summary report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5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itstat.go.kr/pub/pubDetailView.it?identifier02-008-131220-000001&pub_code&page1&keywords%eb%aa%a8%eb%b0%94%ec%9d%bc. 

  19. M. G. Cho, H. S. Choi, H. J. Kim, Integration of application program for dementia diagnosis using biometric sensor and oxygen chamb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11, pp. 5847-5855,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1.5847 

  20. M. J. Cho, J. L. Sim, S. Y. Hwang. Development of smartphone educational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 2, pp. 117-124, 2014. DOI: http://dx.doi.org/10.4258/hir.2014.20.2.117 

  21. S. R. Kang.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program for premature infant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2012. 

  22. S. L.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pp for the education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016. 

  23. P. K. Han, J. S. Park, B. H. Jun, B. G. Kang. A study on the factors of mobile applications adop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9, 3, pp. 65-82, 2010. 

  24. G. S. You. Smart-learning technology based on mixed reality.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9, 3, pp. 63-73, 2011. 

  25. K. S. Lee. A Study on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of development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99. 

  26. M. R. Ki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4. 

  27. J. S. Kim. Development and effect of a web-based child health care program for the staff at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 pp. 213-224, 2010. 

  28. J. H. Ryu. The interaction effect of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line length in comprehension of picture and tex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 1, pp. 1-27, 2012. 

  29. J. H. Je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5. 

  30. H. J. Wang, I. O. Kim. Effects of a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at an advanced maternal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337-346.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5.45.3.337 

  31. H. R. Cho, J. S. Choi. Smart times, Being smarter hospital, Samsung hospital. Communica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 1, pp. 93-96 2011. 

  32. J. S. Choi, D. S. Kim. Smartphone usage-based medical applications and issu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1, 22, pp. 54-61, 2011. 

  33. Y. K. Lee. The utilization and content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