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8 no.1, 2012년, pp.9 - 17  

심미경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손선영 (강남세브란스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ethods: The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transplanta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장이식환자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개별교육을 실시한 후 지식수준의 증가와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측정해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환자에 대해 개별교육을 적용한 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2011년 1월 30일까지 6개월이었으며 교육중재는 2010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4개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수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신장이식 환자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우리나라 신장이식 환자의 교육은 이식 수술 후 환자가 퇴원 시 병동간호사나 코디네이터에 의해 약 1시간 정도 퇴원교육을 받는 것이 대부분인 실정이며 추후관리로 내원할 때도 충분한 시간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식수술 후 급격한 상태 변화를 겪게 되는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환자와 가족이 수용하기에는 엄청난 부담이 되는 많은 양의 교육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므로 지식의 습득이 충분히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말기 상태의 신부전 환자가 신장이식을 받은 후에 직면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말기 상태의 신부전 환자가 신장이식을 받는다고 모든 문제가 일시에 해결되는 것은 아니고 신장이식 후에도 끊임없는 추후 관리가 필요하다. 계속적인 엄격한 약물 복용, 거부반응의 위험성, 감염의 위험을 포함해 심혈관계 질환과 간기능 부전, 신체상 변화 등의 부작용 위험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Fallon, Gould, & Wainwright, 1997). 또한 식이요법, 체중조절, 활동영역에 대한 처방을 이행해야 하는 자가간호에 대한 부담을 가지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신장이식수술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가? 신장이식은 말기신부전 환자에 대한 가장 이상적인 치료방법으로 전세계적으로 500,000명 이상이 신장이식을 받았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 12월까지 10,698건이 시행되었으며 매년 약 800-900예의 신장이식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신장이식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전망인데 이는 신장이식을 요구하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가 매년 증가하여 2010년 12월까지 9,622명이 신장이식 대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나 장기의 부족으로 투석 환자 중의 약15%만이 신장이식술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KONOS,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H. (2000). The effect of the self efficacy promotion and exercise training program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181-1194. 

  2. Bae, G. U. (2005).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on stress and self-car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3. Baek, H. J. (199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self-care and self-care behavior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o received hemodialysis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4. Bond, M. A. (1998).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Transplant Coordination, 8, 221-224. 

  5. Cho, Y. S. (1999). A stud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 215-226. 

  6. Cox, C. L. (1985). The health self-determinism index. Nursing Research, 34, 177-183. 

  7. Degeest, S., Borgermans, L., Gemoets, H., Abragam, I., Vlaminck, H., Evers, G., et al. (1995). Incidenc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subclinical noncompliance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Transplantation, 59, 340-347. 

  8. Fallon, M., Gould, D., & Wainwright, S. P. (1997).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562-570. 

  9. Faul, F., Erdfelder, E., Lang, A.,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0. Hong, E. J.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perceived by the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Hur, J., & Kim, A. J. (2010). Effect of self-efficacy and yangsaeng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76- 83. 

  12. Jeong, S. M. (2004).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self-care compliance among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ley, D., Lam, C., & Pollak, R. (1993). A study of treatment compliance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55, 51. 

  14. Kim, H. S. (2007). A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5. Kim, M. S. (1995). A study of the knowledge and treatment complia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Kim, S. Y. (2011). Predicting factors on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7. Korean Network for Organic Sharing (KONOS). Organ transplant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2011, from the Web site: http://www.konos.go.kr 

  18. Levin, L. S., & Iuer, E. L. (1983). Self-care in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4, 181-201. 

  19. Liefeldt, L., & Budde, K. (2010).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nd strategies to minimize risk. Transplant International, 23, 1191-1204. 

  20. Lim, H. R. (2007).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CD-ROM for renal transplant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McQuarrie, E. P., Fellstrom, B. C., Holdaas, H., & Jardine, A. G. (2010). Cardiovascular disease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 Journal of Renal Care, 36(Supple 1), 136-145. 

  22. Messina, C. J., Russell, C. L., Ewigman, A., & Mefrakis, L. (2000). Teaching patients about kidney transplantation: Documentation. Progress Transplantation, 10, 169-176. 

  23. Park, M. R. (2002). Survey on symptom experience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Randolph, S., & Scholz, K. (1999). Self-care guidelines: finding common ground. Journal of Transplant Coordination, 9, 156-160. 

  25. Rice, M., Hathaway, D., Martin, J., & Tolley, E. (2001). Racial and gender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s after transplantation. Program and abstracts of the international Transplant Nurses Society 10th Anniversary Symposium; August 29-September 1;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26. Ryu, J. H., Kim, M. H., & Kang, I. S. (2003). A study on the compliance and educational demand of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 226-238. 

  27. Schafer-Keller, P., Dickenmann, M., Berry, D., Steiger, J., Bock, A., & De-Geest, S. (2009). Computerized patient education in kidney transplantation: testing the content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organ transplant information system.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4, 110-117. 

  28. Weng, L. C., Dai, Y. T., Wang, Y. W., Huang, H. L., & Chiang, Y. J. (2008). Effects of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urs on depressive symptom of Taiwanes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1786-1794. 

  29. Yi, M. S. (1998). Psychosocial adjustmen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291-302. 

  30. Yoo, S. H. (2004).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s of kidney transplanted patients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