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쌍태아 임부 산전 영양 교육자료 개발 및 예비평가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Based Nutrition Education Material for Twin Pregnanc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1 - 13  

김소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  김주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about nutrition during antepartum period for women pregnant with twins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Methods: A series of steps according to ADDIE model, including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re used to develop smartp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였다[2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점유율이 높은 안드로이드 기반 운영체계를 바탕으로 앱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출처로부터 제공되는 앱은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29].
  • 임신출산 시기와 관련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한 교육자료에 관한 최근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맞춤형 임신성 당뇨병 관리 스마트폰 앱 개발 및 평가[16],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를 위한 스마트폰 앱 입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17] 등 주로 단태아 중심의 연구뿐이고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하여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 영양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평가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쌍태아 임부의 건강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하여 ADDIE 모형의 단계를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쌍태아 임부의 산전 영양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스마트폰 앱의 개발과정에 따라 논의를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쌍태아 임부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산전 영양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처음으로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 영양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관리 중 영양관리에 관한 내용만을 교육 자료로 개발하였고,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앱 평가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수가 적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서 각 관리영역별 정상범위 설명 화면, 교육을 제공해 주는 화면, 알람 설정이나 해제를 하는 화면, 식이 관리, 혈당 관리, 케톤 관리, 운동 관리, 몸무게 관리를 하는 화면과 각 관리의 일주일간 입력률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화면을 설계하여 교육영역과 관리영역을 설계 하였다[16].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화면 외에 관리영역으로 체질 량지수(BMI)를 계산할 수 있는 화면을 설계하였다. 이는 쌍태 임신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의 정상화 및 임신 중 적절 한 체중 증가가 산모와 신생아의 예후를 향상시킨다[8,9]고 하였기 때문에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체중증가 기준표를 제시하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를 계산할 수 있는 화면을 설계하였다.
  •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의 현장에서 사용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단계이며 평가단계는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이다[18]. 본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 검증 후 수정하여 개발된 스마트폰 앱을 전 문가와 쌍태아 임부 또는 쌍둥이를 분만한 산모에게 시연해 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육 내용과 앱의 시스템 및 구조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실행단계에서 제공한 앱의 전문가평가와 대상자 평가를 실시하였고 스마트폰 앱을 최종 수정·보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쌍태아 임부의 산과적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쌍태아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 영양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쌍태아 임부의 산전 영양관리 앱의 전문가와 대상자 평가 결과는 컨텐츠 부분인 정확성, 이해성, 객관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으며 이는 컨텐츠 부분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쌍태아 임부의 산과적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쌍태아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쌍태아 임부를 위한 산전 영양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개발한 교육 자료의 항목을 바탕으로 고안하였다. 항목은 총 25항목으로 쌍둥이란 2항목, 식생활지침 12항목, 특수한 경우의 식사관리 3 항목, 주의해야 할 사항 2항목, 식품칼로리 6항목으로 구성하였다.
  • 건강과 관련된 교육용 스마트폰 앱 개발의 선행연구에서는 관상 동맥질환자를 위한 ‘튼튼심장’ 앱 개발의 콘텐츠 분석을 위해서 문헌고찰과 기존의 교육용 책자 분석을 하였고[23], 항암화학요법 받는 암 환자를 위한 ‘NoInfec’ 앱 개발에서는 문헌고 찰과 환자 5명을 대상으로 감염 예방 자가관리 관련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24].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쌍태아 임부에게 필요한 산전관리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위해서 문헌고찰 뿐 아니라 면담과 커뮤니티 검색을 하였다. 즉 커뮤니티 검색을 통해서 쌍태아 임부 다수의 산전영양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고 쌍태아 임부의 심층 면담을 통해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에게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사용하면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보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스마트폰은 뛰어난 접근성, 이동성 그리고 편의성으로 인해 새로운 시대의 교육적 필요에 부합하는 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13], 특히 체중증가가 많고 이동이 힘든 쌍태아 임부에게 스마트폰의 뛰어난 접근성과 이동성은 교육 매체로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 보고에 의하면 2015년 3월 기준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3% 정도이다[14]. 특히, 연령대별 스마트폰을 사용률을 살펴보면, 20대 99%, 30대 100%, 40대 99% 로 나타났고, ‘귀하는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십니까?’라는 질문에도 20대와 30대의 여성의 100%, 40대 여성의 99%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답하였다[15]. 즉 가임기 여성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임부에게 스마트폰 앱을 교육 매체로 사용한다면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쌍태임신이 무엇인가요? 이 와 같이 쌍태임신은 고령 임신의 증가와 보조생식술 증가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2], 고위험 임신을 한 쌍태 임부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쌍태임신은 한 번에 두 명의 태아를 임신한 것으로, 일란성과 이란성에 따라 그 위험성이 다르기는 하지만 단태아에 비해 태아와 임부 모두에게 위험성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3]. 즉, 태아의 경우 자궁 내 성장 지연, 저체중아, 신생아 질병 이환율, 신생아 사망 등의 위험성이 증가하고[2], 임부에게는 조산,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철 결핍성 빈혈,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등의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증가한다[3-6].
임부의 영양 상태가 태아에게 주는 영향은? 임부의 영양 상태는 태아의 성장과 발달, 임부의 합병증 감소, 저체중아 출산과 조산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6]. 특히, 쌍태임신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정상화 및 임신 중 적절한 체중 증가가 산모와 신생아의 예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고[8], 이는 쌍태아 임부의 적절한 체중증가를 위한 지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The 2015 birth statistics (confirmed)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August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5737 

  2. Luke B. The rise in multiple births in the United States: who, what, when, where, and why.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47(1):118-133. 

  3. Lee GR, Park KH, Park JS, Lee WM, Cha JY, Kim HH, et al. Statistical analysis of twin pregnancy for 10 years (1993-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3;46(10):1957-1964. 

  4. Sibai MD, Baha M. Hypertensive disorders in twin versus singleton gestation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0;182(4):938-942. https://doi.org/10.1016/S0002-9378(00)70350-4 

  5. Rauh-Hain J, Rana S, Tamez H, Wang A, Cohen B, Cohen A, et al. Risk for developing gestational diabetes in women with twin pregnancies. Journal of Maternal-Fetal and Neonatal Medicine. 2009;22(4):293-299. https://doi.org/10.1080/14767050802663194 

  6. Goodnight W, Newman R. Optimal nutrition for improved twin pregnancy outcome.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 114(5):1128-1134. https://doi.org/10.1097/AOG.0b013e3181bb14c8 

  7. Kullima AA. Outcome of twin deliveries at the University of Maiduguri Teaching Hospital: a 5-year review. Nigerian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11;14(3):345-348. 

  8. Lee EJ, Kim YH, Kwon JY, Park YW. Pregnancy outcome according to gestati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on the basis of the 2009 Institute of Medicine (IOM) recommendations. Korean Journal of Obstetric and Gynecology. 2010;53(8):687-693. https://doi.org/10.5468/kjog.2010.53.8.687 

  9. Kim MJ, Na ED, Lee KJ, Cha DH, Shin JS, Lee HY. Pregnancy prognosis according to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 and Gynecology. 2012;55(5):300-308. https://doi.org/10.5468/KJOG.2012.55.5.300 

  10. Luke B. Nutrition for multiples.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5;58(3):585-610. 

  11. Shinagawa S1, Suzuki S, Chihara H, Otsubo Y, Takeshita T, Araki T. Maternal basal metabolic rate in twin pregnancy. Gynecol Obstet Invest. 2005;60(3):145-148. 

  12. Rosello-Soberon ME, Fuentes-Chaparro L, Casanueva E. Twin pregnancies: Eating for three? maternal nutrition update. Nutrition Reviews. 2005;63(9):295-302. 

  13. Cho SK. Smartphones used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09;12(3):211-228. 

  14. Digieco. Mobile trend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2015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July 6]. Available from: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10349&board_idissue_trend# 

  15. Korea gallup. 2012-2017 Research for smartphone use and experience of the game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2017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813 

  16. Jo S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manag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16;22(1):11-21. 

  17. Han HM.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in hospital admission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on the high risk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6. 70 p. 

  18. Chung JS. Program evaluation. 1st ed. Seoul: Kyoyookbook; 2004. 61 p. 

  19.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20. Kim M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65 p. 

  2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utrition guide for mothers-to-be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1 September 21]. Available from: http://mfds.go.kr/index.do?mid700&seq11675 

  2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ix food groups [internet]. Seoul: Author;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food/sub02.php?idx3 

  23. Cho MJ. Development of smartphone educational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3. 41 p. 

  24. Park SW, Park J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ection prevention self-care application for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 Asian Oncol Nurs. 2016;16(4):197-207. 

  25. Ryu JW. New pregnancy, delivery, infant care. 1st ed. Seoul: Cheongrimlife; 2017. 83 p. 

  26. Luke B. Improving multiple pregnancy outcomes with nutritional interventions.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 47(1):146-162. 

  27. Luke B. Nutrition and multiple gestation. Seminars in Perinatology. 2005;29(5):349-354. https://doi.org/10.1053/j.semperi.2005.08.004 

  28. KISA. Results of the research for actual state of national internet use environment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February 12]. Available from: http://www.kisa.or.kr/notice/press_View.jsp?modeview&p_No8&b_No8&d_No1347 

  29. Dutta BM. Trusted online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differences in demographics, health beliefs, and health-information orientation.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03;5(3):e21. https://doi.org/10.2196/jmir.5.3.e21 

  30. Noh SH, Park JS.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self care mobile app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2):316-32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