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이용자의 의료전달체계 인식에 따른 진료의뢰 개선 방안
Improving Hospital Referral System based on Perception of Delivery of Healthcare by Enrolle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594 - 602  

정영권 (서울보라매병원) ,  서원식 (가천대학교 헬스케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이용자의 입장에서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인식에 따른 진료의뢰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민건강보험 이용자가 1단계 의료기관에서 진료의뢰서를 받아 서울에 소재한 S대학병원(소위 '빅 4병원'중 한곳)을 방문한 207명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가 0.7이상 이었고 연구방법은 인구학적인 특성은 pearson카이제곱과 Fisher's exact 검정을, 인식도와 개선요구도 간에는 pearson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원환자의 5.9%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뢰되어 상급간의 의뢰를 확인하였고, 병원선택요인은 의사의 명성과 신뢰($4.40{\pm}.92$)가 가장 높았다. 진료의뢰제도에 대해 서울의 대형 상급종합병원으로 쏠리는 현상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4.24{\pm}.97$) 서울의 대형 상급종합병원으로의 집중화현상이 최우선 개선과제로 나타났다($4.05{\pm}1.02$). 의료전달체계의 인식도와 개선요구도의 상관계수가 0.326으로 매우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의료전달체계 개선 시 공급자나 보험자가 아닌 이용자중심의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hospital referral system improvements based on health insurance subscriber perceptions of the delivery of healthcare. Health insurance subscriber outpatients (n = 207) referred from a stage 1 medical institution to the S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1단계 의료기관의 이용 행태에 대한 인구학적 특성과 2단계 의료기관 선택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인식도와 개선요구도를 조사·분석한다. 셋째, 국민건강보험의 보험자(국가)나 공급자(의료기관)중심이 아니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이용주체인 이용자(환자)중심의 개선 니즈(needs)를 반영한 환자중심의 의료전달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아울러 향후 진행되는 우리나라 의료전달체계 개편 시에도 보험자나 공급자 중심이 아닌 이용자중심의 의료전달체계 개선 방안을 수립하여 적정수가체계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이용자들이 진료의뢰제도를 통해 1단계 의료기관에서 의뢰되어 S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국민건강보험 이용자인 환자들의 인구학적인 특성, 1단계 의료기관 이용 시 의료기관 이용 행태, 상급종합병원 선택 요인,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Table 1).
  •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이용자인 환자 중심의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인식도와 개선요구도를 반영한 의료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국민건강보험의 의료체계에 있어서 보험자, 공급자 중심의 제도 운영이 아니라 이용자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할 시점이기 때문에 이용자인 환자가 의료전달체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어떻게 개선되기를 희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의 공급자, 보험자 중심이 아닌 이용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의료전달체계 개선 시 가장 큰 문제점인 서울의 대형 상급종합병원(빅4 병원)으로의 쏠림현상이 나타나는 S대학병원에서 진료의뢰기관의 유형에 따른 의료이용 및 개선니즈(Needs) 등을 파악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민건강보험 이용자가 서울의 대형 상급종합병원인 S대학병원으로의 진료의뢰실태 및 선택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1단계 의료기관의 이용 행태에 대한 인구학적 특성과 2단계 의료기관 선택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인식도와 개선요구도를 조사·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의료법과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의료기관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의료법과 국민건강보험법은 시설, 장비, 인력을 기준으로 의료기관을 종별로 구분하고 있을 뿐이다. 의료기관 표준업무규정에 의하면 의원은 외래기능, 병원, 종합병원은 입원기능,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희귀 난치환자의 치료로 기능을 규정하고 있지만 사실상 선언적 의미에 불과하다.
의료전달체계는 어떤 제도인가? 의료전달체계는 의료체계와 의료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국민 모두가 적시에 적정인에 의해 적소에서 적정의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이다〔1, 2〕. 우리나라 의료전달체계는 1989년 7월1일 전 국민건강보험제도와 함께 도입되었다.
지역화 모델방식의 의료전달체계가 폐지된 이유는? 당시 의료전달체계는 전국을 행정구역과 생활권을 중심으로 8개 대진료권과 140개 중진료권으로 나누고, 1차 진료는 중진료권 내에서, 2차진료는 대진료권 내에서, 3차 진료는 3차 의료기관으로 분류하여 ,의료기관간 기능도 분담하였다〔3, 4, 5〕. 그러나 1998년 국민건강보험 이용자들의 지역불균형에 따른 의료의 접근성과 형평성 문제로 인하여 1, 2, 3차로 이루어진 지역화 모델(regionalization model)인 진료권 제도가 폐지되었다. 각 단계별 환자의뢰를 체계적으로 규제함으로써 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통제를 했던 기전이 사라지면서 지역화 모델 방식의 의료전달체계는 사실상 붕괴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 E. Rakel, Textbook of Family Practice, Philadelphia, WB Saunder Co, pp 14, 1984. 

  2. Fly J. Primary care.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ondon, pp. 63-83, 1980. 

  3.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The research on the universal coverage system. Seoul: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1985. 

  4. Peters GN. Referral in primary care: in the family physician a ""Gatekeeper"". Can Fam physician 35, pp. 1776-1778, 1989. 

  5. Froom J. Risks of referral.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18(4), pp. 623-626, 1984. 

  6. C. R. Kang, Improvement suggestion of healthcare medical service system on local residence's healthcare medical behaviour,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Symposium published paper, pp. 174-176, 2000. 

  7. Dongil O, "Enhancement of Korea medical delivery system",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4, pp. 340-350,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340 

  8. K. H. Kim, J. C. Lee. H. N. Lee, "A study on systemic improvement suggestion for reestablishing the functions of medical institutions,"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25(4), pp. 161-178, 2011. 

  9. YoungHo Oh, "Improvement Ways fo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 49-69, 2012. 

  10. Jae-Ho Lee, Byung-Su Ko, Jong-Han Leem, Sang-Il Lee, "Standard model and quality appraisal framework for the organization of primary care", J. Korean Med Assoc 56(10): 866-880, 2013.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3.56.10.866 

  11. K. J. Lee, etc., "How to reform Healthcare system of Korea, KMA Health policy research Center, 2010. 

  12.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nouncement for the current situation for Korean Primary Care, 2015.9. DOI: https://doi.org/10.5124/jkma.2013.56.10.866 

  13. Leiyu Shi, "The Impact of Primary Care: A Focused Review", Scientifical, vol. (2002). Article ID 432892, pp. 22, 2002. 

  14. S. H. Kim, "A study on governance change in determining medical insurance fee," Journal of Parliamentary Research, 10(1), pp. 269-296, 2015. DOI: https://doi.org/10.18808/jopr.2015.1.10. 

  15. Y. H. Park, "Strategy for discussion of new medical delivery system and suggestions on the governanc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4(4), pp. 301-303, 201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4.24.4.301 

  16. H. O. Lee, K. S. Kim, "Use of medical care service and quality of life among members of healthcare insurance and recip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44(-), pp. 187-210, 2015. 

  17. Stevens, R. American Medicine and Public Interest. Yale University Press, 1971. 

  18. Hutchison, B., "A Long Time Coming: Primary Healthcare Renewal in Canada", Healthcare Papers 8(2), pp. 10-224, 2008. DOI: https://doi.org/10.12927/hcpap.2008.19704 

  19. Starfield B, Shi L, Macinko J.,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systems and health", Milbank Quarterly" 83(3), pp. 457-502, 2005. DOI: https://doi.org/10.1111/j.1468-0009.2005.00409.x 

  20. G. H. Wang, "A study on medical delivery system in Incheon,"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Administration Graduation, 2003. 

  21. S. J. Yoon, "Private public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Medical Center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2006. 

  22. G. J. YIM, S. M. YIM, U. C. Shin,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medical delivery system: focusing on comparative between Korea and Germany,"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31(3), pp. 1-20, 2013. 

  23. K. J. YOON, "Trend and problems of medical delivery system improvement plan," Sejong,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4. C. R. Jeong, H. C. Kwon, J. W. Nam, "A study on the equity of Korean healthcare cost burden," The journal of social security research, 30(2), pp. 317-344, 2014. 

  25. B. G. Kim, J. H. Yang, D. M. Chang "A Study on the Medical Services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in Busan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 pp. 236-24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36 

  26. Moon-Hee Nam et. al., "A Study on Utilization of non-residential areal in Operation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6, pp. 2078-2087,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6.20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