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을 위한 간격제어와 차상중심 분산형 연동 알고리즘
Train interval control and train-centric distributed interlocking algorithm for autonomous train driving control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1 - 9  

오세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능형신호통신연구팀) ,  김경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능형신호통신연구팀) ,  최현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능형신호통신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차제어시스템은 지상 전기 중심에서 차상 통신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신의 열차제어시스템인 CBTC 시스템은 차상과 지상시스템 간 양방향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높은 간격제어 효율을 가진다. 하지만 지상이 제어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상시스템이 허용할 수 있는 열차 투입 대수가 제한되고 차상과 지상제어시스템 간 cyclic-path 제어흐름으로 인해 운전시격 단축에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을 위한 간격제어와 차상중심 분산형 연동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은 차상에서 간격제어와 함께 분기제어를 수행하므로 선로와 분기기는 공유자원인 동시에 세마포어 요소이다. 제안된 열차자율주행기반 간격제어는 지상 제어시스템의 제어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열차와 열차 또는 선로변 설비와의 직접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열차 간격제어를 수행한다. 제안된 연동 알고리즘은 공유자원인 선로전환기가 동시에 두 대 이상의 열차가 점유하지 못하도록 선로전환기 고유 key를 이용한 세마포어 기법을 새롭게 정의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의 향상된 간격제어 성능을 확인하며, 차상중심 분산형 연동알고리즘과 기존의 연동장치에서 수행하던 여러 연동논리를 비교함으로써 단순화된 연동알고리즘으로 안전한 열차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in control systems have changed from wayside electricity-centric to onboard communications-centric. The latest train control system, the CBTC system, has high efficiency for interval control based on two-way radio communications between the onboard and wayside systems. However, since the waysi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ATDCS: Autonomous Train Driving Control System)을 위한 간격제어와 차상 중심 분산형 연동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ATDCS 는 지상 제어시스템의 제어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열차와 열차 또는 선로변 설비와의 직접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열차간 간격제어를 수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차제어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열차제어시스템은 정시성을 보장하는 운영시스템이면서 동시에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안전시스템으로서 선행열차와 후행열차 간 안전한 간격을 제어하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CBTC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최근 제어 및 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열차제어 시스템은 점차 지상·전기 중심에서 차상·통신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가장 최신의 열차제어시스템인 CBTC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시스템은 차상과 지상제어시스템 간 양방향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높은 간격제어 효율을 가진다[1-5]. 하지만 지상제어시스템이제어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상제어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투입 열차 수가 제한되고 차상과 지상제어시스템 간의 cyclic-path 제어흐름으로 인해 설비의 절감 및 운전시격 단축에 한계가 발생된다[1].
CBTC시스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가장 최신의 열차제어시스템인 CBTC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시스템은 차상과 지상제어시스템 간 양방향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높은 간격제어 효율을 가진다[1-5]. 하지만 지상제어시스템이제어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상제어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투입 열차 수가 제한되고 차상과 지상제어시스템 간의 cyclic-path 제어흐름으로 인해 설비의 절감 및 운전시격 단축에 한계가 발생된다[1].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EEE Std. 1474.1, IEEE Standard for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CBTC) Performance and Functional Requirements, 2004. DOI: http://dx.doi.org/10.1109/IEEESTD.1999.90611 

  2. IEEE Std. 1474.3,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CBTC) System Design and Functional Allocations, 2008. DOI: http://dx.doi.org/10.1109/IEEESTD.2008.4618623 

  3. Oh, Sehchan, et al., "Design of ATP functions and communication interface specifications for Korean Radio-based Train Control System,"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CCAS), 2013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3. DOI: http://dx.doi.org/10.1109/iccas.2013.6704161 

  4. Oh, Sehchan, Kyunghee Kim, and Minsoo Kim. "Preprocessing-based speed profile calculation algorithm for radio-based train contr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9, pp. 6274-6281,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274 

  5. Oh, Sehchan, Yongki Yoon, and Jonghyen Baek.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Train Separation Control Simulato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1. 

  6. Oh, Sehchan, et al. "Headway Calculation and Train Control Algorith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Radio based Train Contr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6949-6958,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6949 

  7. Parkinson, Tom, and Ian Fisher. Rail transit capacity. Vol. 1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96. 

  8. Oh, Sehchan, et al. "ATP functional allocation for Korean radio based train control system,"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CCAS), 2012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2. 

  9. Ryou, Sungkyun, et al.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Switch Machine and Axle Counter and Switch Locking for Operation of Driverless Train Safety Protection in Shinbundang Lin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3. 

  10. Seungho Chang, et al., "Automation Program for Drawing and Examination of Locking Sheet,"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08. 

  11. Kim Hyunghoon, Yang Chanseok, Cho Yonggee, "A Study on the Mixed Usage of Logical Block and Moving Block in CBTC System,"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1. 

  12. Chen, Rong-wu, and Jin Guo. "Development of the new CBTC system simul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ystem Design and Operation in Railways and Other Transit Systems, 2010. 

  13. HE, Chengcai, and Tao YANG, "Comparison of Headways in Moving Block and Fallback Modes for CBTC System," Journal of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3, 014, 2012. 

  14. Dongsheng, Liang, and Xu Yi, "Analysis of Train Minimum Headway and Realization of Simulation Algorithm under CBTC Train Control Mode [J]," Modern Urban Transit 4, 00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