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릉도-독도해역에서 질소, 인, 철 첨가실험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및 군집반응
Growth and community response of phytoplankton by N, P and Fe nutrient addition in around water of Ulleungdo and Dokdo in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186 - 195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김윤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울릉도-독도 2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 및 수직적 영양염분포 특성과 표층 현장수를 이용하여 N, P, NP, Fe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영양염소비 및 성장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에서 영양염류농도는 유광층 상부에서 낮았고, 100 m보다 깊은 수심에서 증가하였다. N:P비는 Redfield비(16)보다 표층에서 21-25로 높았고, 조사 최대심도인 400 m 층에서는 6 전후로 극히 낮게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총개체수는 St.UD3과 St.50에서 각각 $4.9{\times}10^5cells\;L^{-1}$$1.9{\times}10^5cells\;L^{-1}$로 관찰되었다. 주요 우점종은 St.UD3에서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 은편모조류 Crytomonas spp., 규조류 Leptocylindrus danicus로 파악되었고, St.50에서는 규조류 Chaetoceros socialis, H. akashiwo, L. danicus로 각각 관찰되었다. 영양염첨가실험의 +N과 +NP실험군에서 빠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을 보였고, +P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식물플랑크톤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아울러 Fe을 첨가한 대조군, +N, +P, +NP실험군에서 Fe을 첨가하지 않은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형광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Fe첨가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p>0.05). 결과적으로 현장에서 우점한 H. akashiwo 와 L. danicus는 영양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된 환경의 생물검증실험에서도 빠르게 반응하여 높은 개체수로 우점한 것을 파악하였고, 특히 +Fe 실험군에서 L. danicus의 빠른 성장이 두드려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phytoplankton and vertical inorganic nutrients at two stations around water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East Sea, Korea. Nutrient addition experiments (+N, +P, +NP and +Fe)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growth response and nutrient consumption of the phytoplankton assembl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소규모 지중해”이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작은 대양”이라고 불리는 이유도 수심이 깊고, 대기의 특성에 따라서 해양환경이 급변하는 양상이 상기에서 언급한 두 해역과 유사하다 점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동해 울릉도-독도로 연결되는 해역에서 춘계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St. UD3과 St.50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과 영양염류의 수직적 분포특성과 함께 표층 현장수를 이용하여 N, P, NP 영양염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영양 염소비 특성 및 성장반응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중국에서 기인된 황사에 의해 대기 중에 운반된 미량금속 철(Fe)이 동해역의 식물플랑크톤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실험을 디자인하였다.
  • akashiwo의 세포를 고정하게 되면, 세포가 부분적으로 손상을 입어 정확하게 동정을 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염 첨가실험에서 살아있는 세포를 상세하게 관찰하여 본 종이 극우점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실제 살아있는 세포를 고정한 후 어떻게 변형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현장 시료에서 본 종을 쉽게 동정할 수 있었다. H.
  • 50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과 영양염류의 수직적 분포특성과 함께 표층 현장수를 이용하여 N, P, NP 영양염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영양 염소비 특성 및 성장반응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중국에서 기인된 황사에 의해 대기 중에 운반된 미량금속 철(Fe)이 동해역의 식물플랑크톤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실험을 디자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의 원인은 무엇인가? 해양에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의 ‘방아쇠’ 역할을 하는 요인은 일반적으로 수온증가, 광량 및 일사량증가, 영양염공급 등으로 알려져 있다[1]. 그 중 수주 내 광량증대와 영양염류 공급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 및 세포 분열과 관련된 세포대사증진에 중요하다.
울릉도-독도로 연결되는 해역에서 조사선이 쉽게 운용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울릉도-독도 인근해역에서 물리적 혼합에 의한 영양염류 농도 및 구성 성분비의 차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및 성장반응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울릉도-독도로 연결되는 해역은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해영환경특성으로 조사선을 쉽게 운용할 수 없는 단점이 크게 작용된다.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소규모 지중해”이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작은 대양”이라고 불리는 이유도 수심이 깊고, 대기의 특성에 따라서 해양환경이 급변하는 양상이 상기에서 언급한 두 해역과 유사하다 점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내 영양염 재생산비율의 차이, 특정 미세조류의 종특이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식물 플랑크톤 군집내 영양염 재생산비율의 차이, 특정 미세조류의 종특이성 등을 고려하여 세포내 영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단일 분리 배양종을 대상으로 생리생태적인 특성을 규명하는데 적합하지만, 현장해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장수에 인위적으로 N과 P 영양염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 성장반응의 추이를 시계열로 평가하는 생물검정실험이 고려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 R. Dzialowski, S. -H. Wang, N. -C. Lim, W. W. Spotts, D. G. Huggins,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central plain reservoirs, USA," J. Plankton Res., 27, pp. 587-595, 2005. DOI: http://dx.doi.org/10.1093/plankt/fbi034 

  2. S. H. Baek, S. Shimode, H.C. Kim, M.S. Han, T. Kikuchi, "Strong bottom-.up effec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caused by a rainfa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Sagami Bay, Japan," J. Marine Syst., 75, pp. 253-564,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marsys.2008.10.005 

  3. S. H. Baek, D. S. Kim, M.H. Son, S.M. Yun, Y.O. Kim,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nutrient enriched bioassays as indicators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Korea," Estuarine, Coast. Shelf Sci. 163, pp. 265-278, 2015. DOI: http://dx.doi.org/10.1016/j.ecss.2014.12.035 

  4. D. M. Nelson, Q. Dortch, "Silicic acid depletion and silicon limitation in the plume of the Mississippi river:Evidence from kinetic studies in spring and summer," Mar. Ecol. Prog. Ser., 136, pp. 163-178, 1996. DOI: http://dx.doi.org/10.3354/meps136163 

  5. C. MacPhee, "Bioassay of algal production in chemically altered waters," Limnol. Oceanogr., 6, pp. 416-422, 1961. DOI: http://dx.doi.org/10.4319/lo.1961.6.4.0416 

  6. T. H. Chrzanowski, J. P. Grover, "Effects of mineral nutrients on the growth of bacterio-and phytoplankton in two southern reservoirs," Limnol. Oceanogr., 46, pp. 1319-1330. 2001. DOI: http://dx.doi.org/10.4319/lo.2001.46.6.1319 

  7. C. Labry, E. E. Denn, A. Chapelle, J. Fauchot, A Youenou, M. P. Crassous, J. LeGrand, B. Lorgeoux, "Competition for phosphorus between two dinoflagellates: A toxic Alexandrium minutum and a non-toxic Heterocapsa triquetra," J. Exp. Mar. Biol. Ecol., 358, pp. 124-13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embe.2008.01.025 

  8. K. I. Chang, W. J. Teague, S. J. Lyu, H. T. Perkins, D.-K. Lee, D. R. Watts, Y.-B. Kim, D. A. Mitchell, C. M. Lee, K. Kim,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ogr., 61, pp. 105-115, 2004. DOI: http://dx.doi.org/10.1016/j.pocean.2004.06.005 

  9. D. H. Choi, S. M. An, Y.R. Choi, H.S. Roh, J.H, Noh, " Seasonal variation of picocyano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awaters around Dokdo, Korea," The Sea, 20, pp. 192-198, 2015. DOI: http://dx.doi.org/10.7850/jkso.2015.20.4.192 

  10. T. R. Parsons, Y. Maita, C.M. Lalli,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p. 173, 1984. 

  11. A. C. Redfield, "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environment. Am. Sci. 46, 205-221, 1958. 

  12. T. S. Lee, T. K. Rho, " Seawater N/P ratio of the East Sea," The Sea, 20, pp. 199-205, 2015. DOI: http://dx.doi.org/10.7850/jkso.2015.20.4.199 

  13. H. J. Jeong, Y. D. Yoo, K. H. Lee, T. H.Kim, K. A. Seong, N. S. Kang, S. Y. Lee, J.S. Kim, S. Kim, W. H. Yih, "Red tides in Masan Bay, Korea in 2004-2005: I. Daily variations in the abundance of red-tide organism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rmful Algae 30S, pp. S75-S88, 2013. DOI: http://dx.doi.org/10.1016/j.hal.2013.10.008 

  14. H, Yamaguchi, M. Adachi. The utilization of organic phosphorus by eukaryotic phytoplankton in marine environments (Review). Bull. Plankton Soc. Japan, 57, pp. 1-1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