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만 내측과 외측에서 계절적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성장 및 분포
Seasonal Phytoplankton Growth and Distribution Pattern by Environmental Factor Changes in Inner and Outer Bay of Ulsan,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1 no.1, 2016년, pp.24 - 35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김동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환경기반연구센터) ,  김영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손문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울산만 내, 외측 해역에서 해양환경의 계절 변화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울산만을 태화강 하구에 위치한 내측과 외양 영향을 강하게 받는 외측으로 나누어, 내측과 외측의 환경 차이를 t-test로 검증하였다. 수온은 동계(t = -5.833, p < 0.01)와 추계(p > 0.05)에는 외측이 높았고, 춘계(t = 4.247, p < 0.01)와 하계(t = 2.876, p < 0.05)에는 내측이 높았다. 염분은 추계를 제외한 모든 계절에 내측에서 외측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1). 동계에는 수층 혼합에 의해 전 수층에서 영양염 농도가 높았고, 하계에는 담수 유입으로 내측 표층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크기 분획된 Chl. a 양은 $20{\mu}m$보다 작은 크기의 nano, pico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았다. 극미소 식물플랑크톤은 영양염 농도가 낮은 외양 환경에서 적응력이 높은데 이러한 결과는 조사해역이 외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춘계와 하계에는 내측 정점을 중심으로 유글레나류 Eutreptiella gymnastica의 밀도가 특이적으로 높았다. 이는 강우 후 많은 담수가 유입되어 저염분 환경이 조성되고 DIN (nitrate+nitrite, ammonium)이 대량 공급되었기 때문이다. 하계에는 태화강으로부터 다량의 담수가 공급되어 담수미세 남조류 Oscillatoria sp., Microcystis sp.가 내측 정점(1-5)을 중심으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추계와 동계에는 규조류와 은편모류가 우점하였다. 높은 현존량을 보인 중심 규조류Chaetoceros 속은 성층 약화로 저층에서 공급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받아 빠르게 성장하였고, 은편모조류는 다른 식물플랑크톤의 상대적인 성장 둔화로 기회적으로 우점하였다. 결과적으로 울산만은 강우기인 춘계와 하계에 태화강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내측 정점을 중심으로 저염분, 고영양염 환경이 유지되었고, 추계와 동계에는 만 외측 외양수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크게 이 두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계절적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easonal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 investigated abiotic and biotic factors in Ulsan Bay, Korea. We divided the bay into two areas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the difference in each factor between inne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과 더불어 Kwon and Kang (2013)의 연구로 국한되어 있고, 영양염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 울산만의 내측과 외측해역에서 계절에 따른 환경요인의 변화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울산만의 지형 및 물리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변화될 환경요인의 차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공간적 차이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울산만 내측(1, 2, 3, 4, 5, 6, 10)과 외측(7, 8, 9, 11, 12, 13)을 나누어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내만에서 영양염류의 공급원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연안내만에서 영양염류의 공급원으로는 육상기원의 담수유입과 수계내에 있는 생물 증식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과 더불어 분해과정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Dortch and Whitledge(1992)에의하면, 해역의영양염류절대값농도가 N < 1 μM, P < 0.
식물플랑크톤의 특징은 무엇인가? 식물플랑크톤은 일차생산자로서 먹이흐름의 출발점에 있고, 그들의 성장은 수온, 염분, 광량, 광주기, 영양염류 등과 같은 무생물학적 환경요인과 더불어 종간 경쟁, 상위영양단계 생물의 포식, 박테리아의 감염 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Thompson et al., 2008; Guinder et al.
울산만의 내측과 외측해역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울산만의 내측 해양환경은 태화강과 함께 울산시, 온산시 인근지역에서 배출되는 막대한 양의 생활하수 및 공업폐수가 유입되어, 만 내측의 부영양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Cloern, 2001; Park et al., 2010). 반면, 만 외측환경은 남동쪽으로는 쿠로시오의 지류인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외해수가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빈영양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나, 내측의 높은 영양염류가 외측의 빈영양수괴와 혼합 희석되어 일정의 영양염 농도로 유지될 수 있는 해역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울산만의 지형 및 물리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변화될 환경요인의 차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공간적 차이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울산만 내측(1, 2, 3, 4, 5, 6, 10)과 외측(7, 8, 9, 11, 12, 13)을 나누어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erson, D.M., P.M. Glibert and J.M. Burkholder, 2002. Harmful algal blooms and eutrophication: nutrient sources, composition, and consequences. Estuaries, 25: 704-726. 

  2. Bae, S.W., D. Kim, Y.O. Kim, C.H. Moon and S.H. Baek, 2014. The influences of additional nutrients on phytoplankton growth and horizontal phyt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during the autumn season in Gwangyang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2: 35-48. 

  3. Baek, S.H., D. Kim, M. Son, S.M. Yun and Y.O. Kim, 2015.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nutrient-enriched bioassays as indicators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163: 265-278. 

  4. Barone, R. and L. Naselli-Flores, 2003. Distribution and seasonal dynamics of cryptomonads in Sicilian water bodies. Hydrobiologia, 502: 325-329. 

  5. Cho, K.-D. and Y.-K. Choe, 1988. Seasonal variation of the water type in the Tsushima Current. Korea. Fish. Aquatic. Sci., 21: 331-340. 

  6. Cloern, J.E., 2001. Our evolving conceptual model of the coastal eutrophication problem.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10: 223-253. 

  7. Cushing, D.H., 1989. A difference in structure between ecosystems in strongly stratified waters and in those that are only weakly stratified. J. Plankton Res., 11: 1-13. 

  8. Dortch, Q. and T.E. Whitledge, 1992. Does nitrogen or silicon limit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Mississippi River plume and nearby regions? Cont. Shelf Res., 12: 1293-1309. 

  9. Fisher, T., 1992.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Mar. Ecol. Prog. Ser., 82: 51-63. 

  10. Goldman, J.C., J.J. McCarthy and D.G. Peavey, 1979. Growth rate influenc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oceanic waters. Nature, 279: 210-215. 

  11. Guinder, V.A., C.A. Popovich, J.C. Molinero and J. Marcovecchio, 2013. Phytoplankton summer bloom dynamic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in relation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Cont. Shelf Res., 52: 150-158. 

  12. Iriarte, A. and D.A. Purdie, 1994. Size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n a temperate estuary (Southampton water) - the contribution of photosynthetic picoplankton. Mar. Ecol. Prog. Ser., 115: 283-297. 

  13. Joo, H.M., J.H. Lee and S.W. Jung 2011. Correlations between cell abundance, bio-volume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of Incheon, Tongyeong and Ulsan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9: 312-320. 

  14. Kattner, G., 1999. Storage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poisoning with mercuric chloride. Mar. Chem., 67: 61-66. 

  15. Kim, D., H.-W. Choi, K.H. Kim, J H. Jeong, S.H. Baek and Y.-O. Kim, 2011. Statistical analysis on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in Jinhae Bay during winter and spring. Ocean Polar Res., 33: 291-301. 

  16. Kim, J.T. and S.M. Boo, 2001.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ensity of Euglena viridis (Euglenophyceae)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urban drainages. Korean J. Limnol., 34: 185-191. 

  17. Kim, J.T., S.M. Boo and B. Zakrys, 1998. Floristic and taxonomic accounts of the genus Euglena (Euglenophyceae) from Korean fresh waters. Algae, 13: 173-197. 

  18. Klaveness, D., 1989. Biology and ecology of the Cryptophyceae: status and challenges. Biol. Oceanogr., 6: 257-270. 

  19. Koh, C.H., J.S. Khim, D.L. Villeneuve, K. Kannan and J.P. Giesy, 2002. Analysis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pore water, and water samples from Onsan Bay, Korea: instrumental analysis and in vitro gene expression assay. Environ. Toxicol. Chem., 21: 1796-1803. 

  20. Kwon, O.Y. and J.-H. Kang, 2013. Seasonal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at Ulsan seaport of East Sea in Korea.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4: 6008-6014. 

  21. Lee, S., Y. Sin, S. Yang and C. Park, 200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Asan Bay. Ocean Polar Res., 27: 149-159. 

  22. Marshall, H.G. and R. Lacouture, 1986. Seasonal patterns of growth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lower Chesapeake Bay and vicinity. Cont. Shelf Res., 23: 115-130. 

  23. Oh, S.J., J.S. Lee, J.S. Park, I.H. Noh and Y.H. Yoon, 2008. Environmental factor on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Jinju Bay, Korea. Korean Soc. Mar. Environ Eng., 11: 98-104. 

  24. Ohwada, M. and F. Ogawa, 1966. Plankton in the Japan Sea. Oceanogr. Mag., 18: 39-42. 

  25. Palmer, C.M., 1969. A composite rating of algae tolerating organic pollution2. J. Phycol., 5: 78-82. 

  26. Park, J.S., Y.H. Yoon and S.J. Oh, 2009.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 205-215. 

  27. Park, S.-E., S.-J. Hong, W.-C. Lee, R.-H. Jung, Y.-S. Cho, H.-C. Kim and D.-M. Kim, 2010. Summer water quality management by ecological modelling in Ulsan Bay. Korean Soc. Mar. Environ. Saf., 16: 1-9. 

  28.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Biological and Chem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ubl. Pergamon Press, Oxford: pp. 184. 

  29. Riley, G.A., 1942. The relationship of vertical turbulence and spring diatom flowerings. J. mar. Res., 5: 67-87. 

  30. Sommer, U., 1985. Comparison between steady-state and non-steady state competition - experiments with natural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30: 335-346. 

  31. Thompson, P.A., P.I. Bonham and K.M. Swadling, 2008. Phytoplankton blooms in the Huon Estuary, Tasmania: top-down or bottom-up control?. J. Plankton Res., 30: 735-7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