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4, 2016년, pp.523 - 538  

강순자 (전남대학교) ,  장미라 (상일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geometry classes which they had experienced during last 1 year, 2015.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PACK framework in secondary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 또는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Schmidt et al(2009)를 비롯한 여러 선행연구에서 예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TPACK 수준은 설문을 통하거나 실제 수업관찰을 통한 TPACK 수준이 서로 유사한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Abbitt, 201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PACK 자기평가를 위한 설문을 개발하고 타당화한 후 이를 이용하여 TPACK 수준을 측정하였다.
  • TPACK은 복잡하고 상황 맥락적이며 다양한 경로의 영향력이 존재하는 교사의 지식체계로서 수업 상황과 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전 학년에 걸쳐 배우고 있으며 특히 테크놀로지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 기하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중학교 교사의 TPACK은 다른 단원 수업에서 나타나는 TPACK과 다를 수 있으나 기하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TPACK이 수학적반에 걸친 교사 TPACK의 한 단면을 보여주리라고 생각하여 기하단원 수업에 대한 TPACK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하수업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통합 자기 효능감을 조사한 것이다. 그러나 연구 상황이나 연구 대상자 그리고 수학교과의 단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 본 연구에서의 설문개발은 기하단원 교수를 경험한 중등 수학교사의 기하단원 수업에의 테크놀로지 통합 자기효능감 측정에 초점을 맞췄다. 분석한 대부분의 설문에서는 학생의 이해와 평가의 부분은 강조하고 있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기하학습에서의 어려움, 오류, 선지식 등 학생에 대한 이해의 지식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하단원 수업을 경험한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TPACK 자기평가를 통하여 기하수업에서 인지되는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TPACK 자기평가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타당화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수학교사의 기하단원 지도에 있어서 테크놀로지 통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론적 틀로서 TPACK 모델을 사용하였고 TPACK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설문을 개발한 후 이를 타당화하였다.
  • 교육경력에 따라 TPACK 모델의 5개의 각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방법은 예측변인인 교육경력이 종속변인인 TPACK의 5 요인 각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선형성, 등분산성을 검토한 결과 회귀분석의 기본가정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수업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은 어떻다고 언급되는가? 2015 개정 수학교육과정의 주요 이슈는 수학교과 핵심역량 강조,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강조, 교수 학습의 변화, 평가의 변화, 학습 부담 경감 실현 그리고 공학적 도구의 활용이다(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특히 수학수업에서의 공학적 도구의 활용은 제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수학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권장되어 왔으며, 미국수학교사 협의회(NCTM, 2000)에서도 테크놀로지의 원리를 제시하면서 수학교수학습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의 필요성을 명시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특히 수학수업에서의 효율적인 테크놀로지 활용은 학생 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개념에 대한 의미 있는 이해를 하도록 도우며, 기계적 활동에서 벗어나 수학적 사고활동을 강화하는 데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권장되고 있다.
교사들이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교사의 전문성개발 기관에서는 교사들이 학습에 테크놀로지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는 확신과 이해를 갖도록 실질적인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의 방향을제시해 주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서 테크놀로지 통합 프로그램으로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소개되긴 하지만, 교사가 시험 출제를 하는데 활용 하거나 또는 시각화를 통해 기하 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교수자료를 만드는 데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더 나아가 역동적 기하탐구소프트웨어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탐구활동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실천에 옮길 수 있으려면 교사 또한 자신이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정보화 사회의 학생들과 교사들 간에 테크놀로지 인식 차는 어떠한가? 현대정보화 사회의 학생들은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의 접근이 매우 용이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고 공유하는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반면 이들을 가르치는 많은 교사들은 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 경험이 거의 없었던 이전의 자신들이 교육받은 교수학습방식에 익숙하고 테크놀로지에 친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상당수의 교사가 새로운 테크놀로지 지식 획득을 위한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사용할 지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류현아, 장경윤 (2009).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 과정, 수학교육학연구 19(1), 143-161. 

  2. Ryu, H. & Chang, K. (2009). Process of Visualization in 2D-Geometric Problem Solving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1), 143-161. 

  3. 신태섭 (2013). 예비 초등 교사의 고정신념과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간의 관계연구, 교육과학연구 44(2), 21-45. 

  4. Shin, T. (2013). A 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ixed Mindsets Regarding their Abilities to Teach with echnology and their Perceived TPACK,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2), 21-45. 

  5. 심상길, 이강섭 (2015).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수학교육 54(4), 351-363. 

  6. Sim, S & Lee, K. (2015). Effect of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eacher's knowledge, The Mathematical Education 54(4), 351-363. 

  7. 이광호 (2007).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학습지식(TPCK) 개발,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0(2), 247-262. 

  8. Lee, K. (2007). Mathematics Teacher's Development of TPCK, Journal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0(2), 247-262. 

  9. 이민희 (2014).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 함양과정 분석 및 모델 구축,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Lee, M. (2007). An analysis of the TPACK cultivation process and model building of middle school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11. 임해미 (2009)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4), 545-564. 

  12. Rim, H. (2009).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4), 545-564. 

  13.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14.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raft proposal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5. Abbitt, Jason T. (2011). Measur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teacher educarion: A review of current methods and instrument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3(4), 281-300. 

  16. Angeli, C. & Valanides, N. (2009).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mputers & Education 52(1), 154-168. 

  17. Aykut B. (2012). Investigating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on on thei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regarding Geometry, Master's thesise. 

  18. Banas, J.R., York, C.S. (2014). Authentic learning exercises as a means to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and intentions to integrate technolog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6), 728-746. 

  19. Chai, C.S., Koh, J. H.L, & Tsai, C.C. (2013). A Review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6(2), 31-51. 

  20. Drijvers, P., Boon, P. & Van Reeuwijk (2010). Algebra and technology, in Secondary Algebra Education. Revisiting Topics and Themes and Exploring The Unknown, Sense, 179-202. 

  21. Graham, C.R., Burgoyne, N., Cantrell, P., Smith, L., Clair, L.S. & Harris, R. (2009). TPACK development in science teaching: Measuring the TPACK confidence of inservice science teachers. TechTrends 53(5), 70-79. 

  22. Hoyles, C., & Lagrange, J.-B. (2010).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Rethinking the terrain. New York/Berlin: Springer. 

  23. Jang, Syh-Jong & Tsai, Meng-Fang (2012). Exploring the TPACK of Taiwanese elementary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with respect to use of interactive whiteboards. Computers & Education 59, 327?338 

  24. Jang, Syh-Jong & Tsai, Meng-Fang (2013). Exploring the TPACK of Taiwanes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sing a new contextualized TPACK model,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4), 566-580 

  25. Koehler, M.J. & Mishra, P. (2008). Introducing TPCK. 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Ed.), The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for educators, NY: Routledge. 3-29 

  26. Koh, J.L., Chai, C.S. & Tsai, C.C. (2010). Examining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ingapore preservice teachers with a large-scale surve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6(6), 563-573. 

  27. Landry, Geri A. (2010). Creating and Validating an Instrument to measure Middle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Doctorial Dissertations, University of Tennessee-Knoxville. 

  28. Mishra, P. & Koehler, M.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29. Moersch, C. (2002). Measure of success: Six instruments to asses teachers use of technology,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30(3), 10-24. 

  3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31. Sandholtz, J.H., Ringstaff, C. & Dwyer, D.C. (1997). Teaching with technology: Creating student-entered classroo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2. Schmidt, D.A., Baran, E., Thompson, A.D., Misha, P., Koehler, M.J. & Shin, T.S. (2009).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on Terchnology in Education 42(2), 123-149 

  33. Shulman, L.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4. Thompson, A. & Mishra, P. (2007). Breaking News: TPCK becomes TPACK! Journal of Computing in Teacher Education 24(2). 

  35. Wang, L., Ertmer, P.A. & Newby, T.J. (2004), Increasing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for Technology Integration, J.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6(3), 23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