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질비료 시용이 삽주의 생육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4 no.6, 2016년, pp.444 - 450  

김영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안태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용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은송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정찬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송범헌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안찬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roo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contain atractylone, which is used to suppress appetite and indigestion caused by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A. macroc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용작물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 종류에 따른 수량성을 검정하고 유효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유기재배의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의 적정 시비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종자, 식재시기, 재식밀도와 포장의 관행시비는 ‘유기질비료의 종류에 따른 삽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에 제시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용작물 삽주 재배 시 유기질 비료 종류에 따른 수량성을 검정하고 유효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유기재배의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종류를 달리한 유기질 비료의 시비가 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삽주 종자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 삽주의 주성분이자 유효성분은 무엇인가? 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는 뿌리줄기를 사용하는 한약재로 정유에 포함된 주성분인 atractylone에 의해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위장기능의 감퇴에 따른 식욕부진, 소화불량, 전신권태감, 만성하치, 자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ibata, 1957). 기원식물은 삽주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로 생약규격집에 수재 되어 있다.
삽주의 생리 활성은 무엇이 있는가? 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는 뿌리줄기를 사용하는 한약재로 정유에 포함된 주성분인 atractylone에 의해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위장기능의 감퇴에 따른 식욕부진, 소화불량, 전신권태감, 만성하치, 자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ibata, 1957). 기원식물은 삽주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로 생약규격집에 수재 되어 있다.
삽주 재배에 유기질 비료로 균배양체를 사용했을 때, 토양의 산성도는 어떠했는가? 1로 나타났다. 균배양체(GC) 시용 시에는 무처리구와 같은 수준인 pH 7.1로 조사되어 중성토양으로 조사되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식물성유박 (TG)을 제외한 모든 시비처리구에서 유기물함량이 무시비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 SM, Park BY, Shin YB and Choi J. (1990). The application effects fertilizer on the root yield and qual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3:44-48. 

  2. Cho JH, Kim YW, Park CG, Bang KH and Seong NS. (2001). Occurrence of phytophthora root rot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field contition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9:211-219. 

  3. Choi IS, Song IK, Kim JH, Cho JT, Hong YK, Park SK and Park JK. (1989).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tuber yield in Rehmannia glutinosa. Research report of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eongju, Korea. p.183-192. 

  4. Chung GY and Kim MS. (2001). Anatomical study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z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4:188-195. 

  5. Chung SH, Kim KJ, Suh DH, Lee KS and Choi BS. (1993).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Paeonia lactiflora. Research Report of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Daegu, Korea. p.200-209. 

  6. Ham SG, Lee JJ and Kim IS. (1993).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n Lawngrass(Zoysia matrella L. Merr.). Weed and Turfgrass Science. 7:61-66. 

  7. Jeon KS, Song KS, Yoon JH, Kim CH and Kim JJ. (2013).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environment controls on germination of Atracylodes japonica see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394-400. 

  8. Jeon SH, No IR, Kim YG and Cho YS. (2016).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4:511-524. 

  9. Kim MS, Chung BJ, Park GC, Park TD, Kim SC and Shim JH. (1998).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of Achyranthes japonica 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131-136. 

  10. Kim MS, Park GC, Chung BJ, Park TD, Kim HK, Kim HW, Park IJ, Kim CC and Sim JH. (1997).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application on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upleurum falcatum L.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10:175-182. 

  11. Kim SM, Lee CY, Kim YC, Choi IS, Min KK and Seong JD. (2007).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48-151. 

  12. Kim SY, Kwon OH and Cho JH. (2004). Growth and yield by the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cultivating root weight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7:183-188. 

  13. Kim SY, Kwon OH, Cho JH and Lim JH. (2001). Effects of flower removal on growth and content of essential oil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4:152-156. 

  14. Kuo S. (1996).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Phosphorus. in Sparks DL. (ed.). SSSA book series No. 5.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Fitchburg. WI, USA. p.869-919. 

  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5). The actual putout of special crop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12. 

  16. Schollenberger CJ. (1927). A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ence. 24:65-68. 

  17. Shibata K. (1957). A cyclopedia of useful plants and plant products. The Hokuryukan Co., Ltd., Tokyo, Japan. p.54. 

  18. Song KS, Jeon KS, Yoon JH, Kim CH, Park YB and Kim JJ. (2014). Growth and roo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seedlings by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154-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