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의 항관절염 효과
Anti-Arthritic Effect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Atractylodes macrophala koidz.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1, 2020년, pp.102 - 113  

박미희 ((주)에스에프씨바이오) ,  김철진 ((주)에스에프씨바이오) ,  이진영 ((주)에스에프씨바이오) ,  금창엽 ((주)에스에프씨바이오) ,  김인선 ((주)에스에프씨바이오) ,  진창현 (한국원자력연구원) ,  지중구 (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김성규 ((주)에스에프씨바이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의 복합추출물의 항관절염 효능을 평가하였다.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서 MTT 기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을 5, 10, 25 ㎍/㎖ 농도로 처리한 후 ROS와 NO level,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염증성 인자인 NF-κB, COX-2, iNOS 등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또한 type II collagen으로 유도한 관절염 모델 동물실험에서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을 33.5, 66, 133 mg/kg/day로 처리한 후 항관절염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은 25 ㎍/㎖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ROS 생성 및 NO의 생성을 5, 10, 25 ㎍/㎖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고, NF-κB, COX-2, iNOS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세포 내에서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관절염 모델 동물실험에서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66.5, 133mg/kg 농도에서 관절염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뛰어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제시하며, 관절염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치료제의 원료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arthritic effect of the mixed extract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Atractylodes macrophala koidz was investigate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in RAW 264.7 cell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mixed extracts was determined through measu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식·의약 소재로 활용이 상대적으로 적합하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인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각각의 단독 추출물의 항염 증작용은 연구되었지만, 해당 종의 초임계 유체 추출을 통한 복합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작용은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 차조기의 초임계 유체추출물과 전통적인 의용 약초인 백출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복합물을 활용하여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다각도로 확인하고자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 확인을 과학적으로 진행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조기의 주요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crispa)는 꿀풀과 (Lamin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균, 항알레르기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차조기의 주요 성분으로는 rosmaric acid, luteolin, apiogenin, caffeic acid, egomaketone, isoegomaketone (IK), perillaketone 등이 있으며, 특히 IK는 essential oil계로서 차조기 특유의 향을 내는 방향성 성분으로 항염증, 항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4-7]. 본 연구에서 사용한 차조기는 200 Gy의 감마선 조사 후 방사선 육종을 진행함으로써 기존 차조기가 가지고 있는 항염증성 물질인 isoegomaketone 성분 함량을 10배 이상 높인 형질전환 품종이며, 이전 연구를 통해 메탄올 추출된 형질전환 차조기가 항염증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8-9].
관절염 모델 동물실험에서 관절염을 유의하게 억제시키는 효능을 나타내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의 복합추출물 농도는? 7 세포에서 ROS 생성 및 NO의 생성을 5, 10, 25 ㎍/㎖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고, NF-κB, COX-2, iNOS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세포 내에서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관절염 모델 동물실험에서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66.5, 133mg/kg 농도에서 관절염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뛰어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제시하며, 관절염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치료제의 원료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차조기는 계통 분류상 어느 과에 속하는 식물인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crispa)는 꿀풀과 (Lamin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균, 항알레르기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차조기의 주요 성분으로는 rosmaric acid, luteolin, apiogenin, caffeic acid, egomaketone, isoegomaketone (IK), perillaketone 등이 있으며, 특히 IK는 essential oil계로서 차조기 특유의 향을 내는 방향성 성분으로 항염증, 항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I, Jun, B. T. Kim, G.S Song, Y.S Kim.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from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ves". Food Chem, Vol.148, pp. 367-372, (2014). 

  2. Y. Peng, J. Ye, Y. J. Kong,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Agric Food Chem, Vol.53, No.21, pp. 8141-8147, (2005). 

  3. H. U. Son, J. C. Heo, M. S. Seo, S. H. Le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L.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Korean J Food Preserv, Vol.17, No.5. pp. 757-761, (2010). 

  4. J. H. Lee, K. H. Park, M. H. Lee, H. T. Kim, W. D. Seo, J. Y. Kim, I.Y. Beak, JD. S. Jang, T. J. Ha, "Identification, characteris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antioxidant activity-containing fraction from the seeds of Korean perilla (Perilla frutescens) cultivars", Food Chem, Vol.136, No.2, pp. 843-852, (2013). 

  5. X. J. Zhou, L. L Yan, P. P. Yin, L. L. Shi, J. H. Zhang, Y. J. Liu, C. Ma, "Structural characteris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cold-pressed Perilla frutescens var. arguta seed flour", Food Chem, Vol.164, pp. 150-157, (2014). 

  6. C. H. Jin, H. J. Lee, Y. D. Park, D. S. Choi, D. S. Kim, S. Y. Kang, I. Y. Jeong, "Isoegomaketone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the heme oxygenase-1 induction and inhibition of the interferon- ${\beta}$ -STAT-1 pathwa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8, No.2, pp. 860-867, (2009). 

  7. B. O. Cho, C. H. Jin, Y. D. Park, H. W. Ryu, M. W. Byun, K. I. Seo, I. Y. Jeong, "Isoegomaketone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dependent and caspase-independent pathways in human DLD1 cell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75, No.7, pp. 1306-1311, (2011). 

  8. Y. K. So, Y. H. Jo, B. M. Nam, S. Y. Lee, J. B. Kim, S. Y. Kang, C. H. Jin, "Anti-obesity effect of isoegomaketone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L.) Britt. cv. Leaves", Korean J. Pharmacogn, Vol.46, No.1, pp. 1-6, (2015). 

  9. Y. D. Park, Y. M. Lee, M. A. Kang, H. J. Lee, C. H. Jin, D. S. Choi, I. Y. Jeong, "Phytochemical profiles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Perilla frutescens cv. Chookyoupjaso mutants induced by mutagenesis with ${\gamma}$ -ray",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9, No.2, pp. 305-311, (2011). 

  10. C. H. Jin, H. C. Park, Y. So, B. Nam, S. N. Han, J. B. Kim,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versus Ethanol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Radiation Mutan", Molecules, Vol.22, No.2, pp. E311, (2017). 

  11. B. Nam, Y. So, H. Y. Kim, J. B. Kim, C. H. Jin, A. R. Han, "A New Monoterpene from the Leaves of a Radiation Mutant Cultivar of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with Inhibitory Activity on LPS-Induced NO Production", Molecules, Vol.22, No.9, pp. E1471, (2017). 

  12. C. H. Jin, Y. So, H. Y. Kim, S. N. Han, J. B. Kim, "Anti-Arthritic Activitie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Derived from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in Collagen Antibody-Induced Arthritis", Nutrients, Vol.11, No.12, pp. E2959, (2019). 

  13. B. R. Yun, J. B. Weon, B. Lee, J. Lee, M. R. Eom, J. M. Choong, "Quantitative Analysis of Atractylenolides I and III in Atractylodes japonica", Kor. J. Pharmacogn, Vol.44, No.1, pp. 53-59, (2013). 

  14. J. H. Han, J. H. Kim, S. G. Kim, S. H. Jung, D. H. Kim, G. E. Kim, W. K. Whang,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YAKHAK HOEJI, Vol.51, No.2, pp. 88-95, (2007). 

  15. S. O. Lee, J. H. Seo, J. W. Lee, M. Y. Yoo, "Inhibitory effects of the rhizome extract of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36, No.3, pp. 201-204, (2005). 

  16. J. H. Kim, "Volatile terpenesfrom genus Atractylodes rhizomes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Korean Herb Med Inf, Vol.6, No.1, pp. 1-17, (2018). 

  17. K. Junichi, K. Akane, I. Toru, T. Akihito, F. Tatsuo, I. Susumu, I. Yoshiteru, "Glycosides of Atractylodes japonica", Chem. Pharm. Bull, Vol. 51, pp. 152-157, (2003). 

  18. S. Xu, X. Qi, Y. Liu, Y. Liu, X. Lv, J. Sun, Q. Cai, "UPLC-MS/MS of Atractylenolide I, Atractylenolide II, Atractylenolide III, and Atractyloside A in Rat Plasma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Raw and Wheat Bran-Processed Atractylodis Rhizoma.", Molecules, Vol.23, No.12 pp. pii: E3234, (2018). 

  19. S. Hoang le , M. H. Tran, J. S. Lee, Q. M. Ngo, M. H. Woo, B. S. Min, "Inflammatory Inhibitory Activity of Sesquiterpenoids from Atractylodes macrocephala Rhizomes", Chem Pharm Bull, Vol.64, No.5, pp. 507-511, (2016). 

  20. H.L. Huang, T.W. Lin, Y.L. Huang, R.L. Huang, "Induction of apoptosis and differentiation by atractylenolide-1 isolated from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human leukemia cells", Bioorg Med Chem Lett, Vol. 26, No.8, pp. 1905-1909, (2016). 

  21. C.H. Jeon, "Adverse Events of Glucocorticoids and Their Prevention", J Korean Med Assoc, Vol.51, No.2, pp. 189-196, (2008). 

  22. T.P. Warrington, J.M. Bostwick, "Psychiatric adverse effects of corticosteroids", Mayo Clin Proc, Vol.81, pp. 1361-1367, (2006). 

  23. D.S. Kim, "The dupication of NSAIDs and management plan", HIRA Policy Trend, Vol.7, No.4, pp. 7-8, (2013). 

  24. S.C. Park, H.J. Chun, C.D. Kang, D. Sul,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induced small intestinal injury", World J Gastroenterol, Vol.17, pp. 4647-4653, (2011). 

  25. K. Takeuchi, H. Satoh, "NSAID-induced small intestinal damage--roles of various pathogenic factors", Digestion, Vol.91, pp. 218-232, (2015). 

  26. H. S. Jung, K. H. Noh, H. Y. Cho, J. Y. Park, C. Y. Choi, T. W. Kwon, Y. S. Song, "Effect of buchu (Allium tuberosum)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Life Sci, Vol.13, No.3, pp. 333-342, (2003). 

  27. I. P. Choi, "Oxygen free radical and Cancer", Hanyang Medical Reviews, Vol.33, No.2, pp. 118-122, (2013). 

  28. J. Furuzawa-Carballeda, M. I. Vargas-Rojas, A. R. Cabral, "Autoimmune inflammation from the Th17 perspective", Autoimmun Rev, Vol.6, No.3, pp. 169-175, (2007). 

  29. L. Koelman, O. Pivovarova-Ramich, A. F. H. Pfeiffer, T. Grune, K. Aleksandrova, "Cytokines for evalu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status in ageing research: reliability and phenotypic characterisation", Immun Ageing, Vol.16, pp. 11, (2019). 

  30. A. Mantovani, P. Allavena, A. Sica, F. Balkwill, Cancer-related inflammation. Nature, Vol.454, pp. 436-444, (2008). 

  31. S. J. Park, J. S. Shin, W. Cho, Y. W. Cho, E. M. Ahn, N. I. Baek, K. T. Lee, "Inhibition of LPS induced iNOS, COX-2 and cytokines expression by kaempferol-3-O- ${\beta}$ -D-sophoroside through the NF- ${\kappa}B$ inactivation in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39, No.2, pp. 95-103, (2008). 

  32. S. F. Liu, A. B. Malik, "NF- ${\kappa}B$ activation as a pathological mechanism of septic shock and inflamm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Lung Cellular and Molecular Physiology, Vol.290, No.4, pp. 622-64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