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모잘록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Bacillus 균의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ecies Hav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Ginseng Damping Off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4, 2016년, pp.380 - 387  

박경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박홍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성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승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명경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상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송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영탁 (농우바이오 종자검정팀) ,  박경수 (농우바이오 종자검정팀) ,  김영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생물적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인삼 근권 토양으로 부터 500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인삼모잘록병원균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 3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물질과 세포벽분해효소 생성능력을 조사하였으며, fengycin, bacillomycin D, surfactin, iturin A와 zwittermicin A와 같은 리포펩타이드 생합성 유전자 유무를 조사하였다. ES1과 ES3 균주에서 iturin A와 surfactin 생합성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세포벽 분해효소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선발한 모든 균주에서 cellulase, pectate lyase, protease를 생성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기반하여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ES1 균주와 ES3 균주는 Bacillus methylotrophucus로 확인되었으며, ES2는 B.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포장실험 결과 ES1, ES2, ES3 처리구에서 각각 32.4%, 46.8%, 36.7%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항균활성과 세포벽 분해 효소 생성능이 우수한 길항균주를 선발하였으며, 향후 포장실험과 제형화 개발 등을 통해 인삼모잘록병 방제를 위한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potentially available biological control agent from soil bacteria for prevention of ginseng damping off. More than five hundred strains were isolated from ginseng rhizosphere soil. By testing antifungal activity, we have selected three soil bacteria strains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생물농약이 토양전염성및 뿌리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왔으나(Fravel, 2005; Hass and Defago, 2005), 인삼모잘록병 방제에 관한 생물적 방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 예정지 및 근권토양으로부터 인삼모잘록병에 항균활성을 갖는 길항균을 분리하여 균주특성을 파악하고 생물 방제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잘록병이란? 모잘록병은 전 세계적으로 온실, 유묘장, 정원, 산림을 포함한 작물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토양전염성 병으로, 종자와 유묘 생산 등에 큰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otrytis cinerea, Fusarium spp.
인삼이 다양한 병원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인삼은 종자로 번식 하나 파종하기 전에 개갑과정이 필요하고, 개갑과정과 유묘 생장 중에 다양한 병원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Proctor and Bailey, 1987). 종자를 가을에 파종 할 경우, 6개월 동안 토양 속에 존재하다가 병원균에 노출되면 이듬해 봄에 모잘록 증상을 일으킨다(Proctor and Lauttit, 1995).
인삼의 모잘록병을 억제하기 위해 살균제를 사용 할때 문제점은? 인삼 모잘록병은 유묘출현이 저온에서 지연되거나, 과도한 볏짚멀칭으로 토양에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낮을 때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delson and Parke, 1995). 광범위한 약효를 갖는 살균제의 종자 처리는 모잘록병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나, 인축독성, 농약잔류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살균제의 장기간 사용은 약제저항성 균주 초래 및 토양내 근권 미생물상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Leisso et al., 2009). 또한 살균제와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농약잔류 문제 및 농산물 안전성 문제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증가시켜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bbasi, P. A., K. L. Conn and G. Lazarovitis (2004) Suppression of Rhizoctonia and Phythium damping off of radish and cucumber seedlings by addition of fish emulsion to peat mix or soil. Canadian J. Plant Pathol. 26:177-187. 

  2. Alvarez, F., M. Castro, A. Prncipe, G. Borioli, S. Fischer, G. Mori and F. Jofr (2012) The plant associate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s MEP218 and ARP23 capable of producing the cyclic lipopeptides iturin or surfactin and fengycin are effective in biocontrol of sclerotinia stem rot diseas. J. Appl. Microbiol. 112:159-174. 

  3. Asaka, O. and M. Shoda (1996) Bioconrol of Rhizoctonia solani damping off of tomato with Bacillus subtilis RB14.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2:4081-4085. 

  4. Athukorala, S. N., W. G. D. Fernando and K. Y. Rashid (2009)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antibiotics of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different microhabitat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MALDI-TOF mass spectrometer. Can. J. Microbiol. 55:1021-1032. 

  5. Bardin, S. D. and H. C. Huang (2001) Survey of damping off diseases of sugar beet in southern Albert in 2000. Can. Plant Dis. Surv. 81:136-137. 

  6. Bae, Y. S., B. Y. Park, T. J. An, B. Y. Yeon, S. W. Lee and N. S. Seong (2006) Selection of potential fungicides for control ofginseng seedling damping off and research on fungicide application for disease control in farms. Treat. of Crop Sci. 7:679-698. 

  7. Berendsen, R. L., C. M. Pieterse and P. A. Bakker (2012) The rhizosphere microbiome and plant health. Trends Plant Sci. 17:478-486. 

  8. Besson, F., F. Peypoux, G. Michel and L. Delcambe (1977) Structure of bacillomycin L, an antibiotic from Bacillus subtilis. Eur. J. Biochem. 77:61-67. 

  9. Cawoy, H., W. Bettiol, P. Fickers and M. Ongena (2011) Pesticides in the Modern World-Pestcides use and management. Bacillus based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 InTech, Croatia, pp. 273-302. 

  10. Cheng, Z., J. Li, Y. Niu, X. Zhang, O. Z. Woody, Y. Xiong, S. Djonovic, Y. Millet, J. Bush, B. J. McConkey, J. Sheen, and F. Ausubel (2015) Pathogen screted proteases activate a novel plant immune pathway. Nature. 521:213-216. 

  11. Chi, W. J., D. Y. Park, U. Temuujin, J. Y. Lee, Y. K. Chang and S. K. Hong (2011) Identification of a cellulase producing marine Bacillus sp. GC-1 and GC-4 isolated form coastal seawater of Jeju islan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97-103. 

  12. Cho, D. H., H. S. Cho, J. S. Shin and D. W. Park (2007) Control of damping-off and ginseng seedlings incited by Rhizoctonia solani. Korean J. Ginseng Res. 13:114-118. 

  13. Fravel, D. R. (2005) Commerci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iocontrol.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43:337-359. 

  14. Gerhardt, P., R. G. E. Murray, R. N. Costilow, E. W. Nester, W. A. Wood, N. R. Krieg and G. B. Phillips (1981) General Characterization of Lipid Inclusions Using Sudan Black B. In: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Smibert, R. M. and N. R. Krieg (Ed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pp: 409-433. 

  15. Haas, D. and G. Defago (2005) Biological control of soil borne pathology by fluorescent pseudomonas. Nature Reviews Microbiol. 3:307-319. 

  16. He, H., L. A. Silo-Suh and J. Handelsman (1994) Zwittermicin A, an antifungal and plant protection agent from Bacillus cereus. Tetrahedron Lett. 35:2499-2502. 

  17. Horowitz, S. and W. M. Griffin (1991) Structural analysis of Bacillus licheniformis 86 surfactant. J. Ind. Microbiol. Biotechnol. 7:45-52. 

  18. Hudelson, B. D. and J. L. Parke (1995) Etiology of a seedling root rot of American ginseng in Wisconsin. Simon Fraser University Press. pp. 133-140. 

  19. Khabbaz, S. E., L. Zhang, L. A. Caceres, M. Sumarah, A. Wang and P. A. Abbasi (2015) Characterization of antagonistic Bacillus and Pseudomonas strains for biocontrol potential and suppression of damping off and root rot disease. Ann Appl. Biol. 166:456-471. 

  20. Kim, B. Y., T. D. Zucci, H. P. Fiedler and M. Goodfellow (2012) Streptomyces cocklensis sp. nov. dioxamycin producting actinomyces. Int. J. Sys. Evol. Microbiol. 62(2) : 279-283. 

  21. Kim, B. Y., J. H. Ahn, H. Y. Weon, J. K. Song, S. I. Kim and W. G. Kim (201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ecies possess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root rot pathogens. Korean J. Pestic. Sci. 16:357-363. 

  22. Kim, P. I., H. Bai, D. Bai, H. Chae, S. Chung, Y. Kim, R. Park and Y. T. Chi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ipopeptide produced by Bacillus thuringiensis CMB26. J. Appl. Microbiol. 97:942-949. 

  23. Kim, P. I., J. Rye, Y. H. Kim and Y. T. Chi (2010) Production of biosurfactant lipopeptide iturin A, fengycin and surfactin A from Bacillus subtilis CMB32 for control of Colletorichum gloeosporioides. J Microbiol Biotechnol. 20:138-145. 

  24. Leisso, R., P. Miller and M. Burrows (2009) The influence of biological and fungicidal seed treatment on chickpea damping off. Canadian J. Plant Pathol. 31:38-46. 

  25. Madhaiyan, M., S. Poonguzhali and T. M. Sa (2010) Bacillus methylotrophucus sp. nov., a methanol-utilizing, plant growth promoting baterium isolated from rice rhizosphere soil. Int J Syst Bacteriol. 60:2490-2495. 

  26. Pant, G., A. Prakash, J. V. P. Pavani, S. Bera, G. V. N. S. Deviram, A. Kumar, M. Panchpuri and R. G. Prasuna (2015) Production, optimiza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J Taibah Univ. Sci. 9:50-55. 

  27. Proctor, J. T. A. and W. G. Bailey (1987) Ginsen : industry, botany, and culture. Hortic. Rev. 9:188-236. 

  28. Proctor, J. T. A. and D. Louttit (1995) Stratification of American ginseng seed. embryo growth and temperature. Korean J. Ginseng Sci. 19:171-174. 

  29. Stephens, C. T., L. J. Herr and A. F. Schmitthenner (1982) Characterization of Rhizoctonia isolates associated with damping off of bedding plants. Plant Dis. 66:700-703. 

  30. Tainyu, Z. and C. Weiqun (1992) A preliminary study of seed pathology of Panax quinquefolius. Korean J. Ginseng Sci. 16:244-245. 

  31. Tamura, K., J. Dudley, M. Nei and S. Kumar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MEGA) software version4.0. Mol Bio Evol. 24:1596-1599. 

  32. Yang, H. J., S. J. Jeong, S. Y. Jeong and D. Y. Jeong (2014) Screening of antagonistic bacteria hav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s. Kor. J. Mycol. 42:333-340. 

  33. Yu, G. Y., J. B. Sinclair, G. L. Hartman and B. L. Bertagnolli (2002) Production of Iturin A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ppressing Rhizoctonia solani.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955-963. 

  34. Yu, Y. H., D. H. Cho and S. H. Ohh (1989) Effect of tolcofosmethyl on damping-off ginseng seedlings incited by Rhizoctonia solani. Korean J. Ginseng Res. 13:114-118. 

  35. Yu, Y. H., D. H. Cho, I. H. Lee and S. H. Ohh (1990) Effect of seedling depth on severity of damping-off ginseng seedling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orean J. Ginseng Res. 14:432-436. 

  36. Xia, Y. (2004) Proteases in pathogenesis and plant defense. Celluar Microbio. 6:905-9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