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고삼저수지의 환경유량 영향평가
Assessment of Environmental Flow Impacts for the Gosam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6, 2016년, pp.93 - 100  

윤태형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강호영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김종석 (Urban Flood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  문영일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ssessment on the environmental flow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in the Gosam Reservoir, Korea. The application of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has found that the peak value of High Flow Pulses has increased by 36.0 % on average compared to historical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평가는 치수와 이수적 관점의 단순한 변동특성만을 평가하여 왔으며, 건강한 생태환경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환경영향지표를 통한 정량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물 환경 및 수 생태시스템에 미치는 지역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문변화지표법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IHA)을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환경유량지표를 통해 고삼저수지 유역의 수문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환경 및 생태학적 측면에서의 영향을 평가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2010)은 환경유량을 평가하기 위한 수문변동에 대한 생태학적 경계 (Ecological Limits Of Hydrologic Alteration, ELOHA)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유량변동과 이에 따라 나타나는 생태학적 반응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여 종합적인 환경유량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평가는 치수와 이수적 관점의 단순한 변동특성만을 평가하여 왔으며, 건강한 생태환경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환경영향지표를 통한 정량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에서 발표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전망하는 것은 무엇인가? 고삼저수지 유역의 기후변화 전망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거 자료 (1976 ~ 2010) 대비 21세기 말(2071 ~ 2099)의 기온과 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의 경우, 기온은 5.67 °C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강수량은 약28.7 %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가뭄 및 홍수, 해수면 상승, 육상 및 해상 생태 종의 개체 수 변화, 작물 수확량의 감소 등 인간과 자연시스템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IPCC, 2014).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과거대비 홍수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의 발생지역은 지역규모에서 전국단위로 확대되어 가는 양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KMA, 2009; ME・NIER, 2015).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 일어나는 변화는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가뭄 및 홍수, 해수면 상승, 육상 및 해상 생태 종의 개체 수 변화, 작물 수확량의 감소 등 인간과 자연시스템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IPCC, 2014).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과거대비 홍수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의 발생지역은 지역규모에서 전국단위로 확대되어 가는 양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KMA, 2009; ME・NIER, 2015).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증가된 중호우 사상에 대비한 설계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nnon, A. J., S. R. Sobie, and T. Q. Murdock, 2015. Bias Correction of GCM Precipitation by Quantile Mapping: How Well Do Methods Preserve Changes in Quantiles and Extremes?. Journal of Climate 28(17): 6938-6959. 

  2. Choo, T. H., H. S. Ko, H. C. Yoon, H. S. Noh, and H. S. Son, 2015. The Estimation and Analysis of Miryang Dam Inflow based on RCP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5): 3469-3476 (in Korean). 

  3. Eum, H. I., A. J. Cannon, and T. Q. Murdock. Intercomparison of Multiple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s: Multi-Criteria Model Selection for South Kore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1-21. 

  4. Gao, Y., R. M. Vogel, C. N. Kroll, N. L. Poff, and J. D. Olden, 2009.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Journal of Hydrology 374(1): 136-147. 

  5.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p. 

  6. Joen, B. S., 2009. Hydrometeorologic Policy Directio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Meteorological Technology & Policy 2(2): 1-2 (in Korean). 

  7. Jung, I. W., B. J. Lee, T. H. Jun, and D. H. Bae, 2008. Hydrological Model Response to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s on Water Resour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9): 907-917 (in Korean). 

  8. Kim, B. S., B. K. Kim, and H. H. Kwon, 2011.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Flow Regime of the Han River Basin using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25(5): 691-704. 

  9. Lee, J. K., 2013. The Research Report on Safety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Method in Small Dams and Reservoirs, 14-15. RD-13-R6-081. Korea Infrastructure Safety & Technology Corporation (in Korean).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14, 31-34. Incheon, Korea (in Korean). 

  11. Moon, S. J., J. J. Kim, and B. S. Kang, 2012. Future Dam Inflow and water Quality in Hapcheon Dam Reservoir Projected using Downscaled RCM Model Output. 38th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vention 581-584 (in Korean). 

  12. Nam, W. H., E. M. Hong, T. Kim, and J. Y. Choi, 2014. Projection of Future Water Supply Sustainabi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4): 59-68 (in Korean). 

  13.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3. Report: Levee Failure of the Sandae Reservoir in Gyeongju City, 2-6 (in Korean). 

  14. Okkan, U. and G. Inan, 2015. Statistical Downscaling of Monthly Reservoir Inflows for Kemer Watershed in Turkey: Use of Machine Learning Methods, Multiple GCMs and Emission Scenario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5(11): 3274-3295. 

  15. Park, K. B., K. S. Kim, S. H. Cha, and S. S. Ahn, 2015. Assessment on Flood Control Ability of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due to Climate Change. 2015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Conference 278-278 (in Korean). 

  16. Park, J. Y., H. K. Joh, I. K. Jung et al., 2010. Modeling Downstream Flood Damage Prediction Followed by Dam-break of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6): 63-73 (in Korean). 

  17. Poff, N. L., J. D. Allan, M. B. Bain et al., 1997. The Natural Flow Regime, BioScience 47(11): 769-784. 

  18. Poff, N. L., B. D. Richter, A. H. Arthington et al., 2010. The Ecological Limits of Hydrologic Alteration (ELOHA): A New Framework for Developing Regional Environmental Flow Standards, Freshwater Biology 55(1): 147-170. 

  19. Richter, B. D., J. V. Baumgartner, J. Powell, and D. P. Braun, 1996. A Method for Assessing Hydrologic Alteration within Ecosystems, Conservation Biology 10(4): 1163-1174. 

  20. The Nature Conservancy (TNC), 2009. Indicators of Hydrological Alteration, Version 7.1. User's Manual. 

  21. Wikipedia, Environmental flow. https://en.wikipedia.org/wiki/Environmental_flow#cite_note-16. Accessed 12 Sep.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