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도시의 연간 최소 확률강우량 추정
Estimation of Annual Minimal Probable Precipitation Under Climate Change in Major Citie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no.1, 2016년, pp.51 - 58  

박규홍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유순유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뱜바도지 엘베자르갈 (울란바타르 하수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account of the increase in water demand and climate change, droughts are in great concern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rainfall characteristics with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perspectives were analyzed using Weibull distribution model with 40-year records of 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주요도시(서울, 강릉, 인천, 원주, 대전, 대구, 울산, 광주, 부산)의 40년(1972∼2011) 강우자료(hourly rainfall data)를 대상으로 지속시간별 강우량을 분석을 통해 비정상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비정상 계열 분석에 있어 매개변수 모두를 시간의 함수로 볼 수 있으나 가능한 최소의 매개변수의 수로 관측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므로 식 (1)에서 함수의 최댓값의 위치와 관계되어 강우량 증감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α만을 다음과 같이 시간의 1차 함수로 가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최근 40년동안 가뭄의 주기는? 우리나라는 최근 40년 동안 5∼6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고 있으며, 가뭄에 의한 피해금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K-Water, 2005; 2006; 2007). 2008년 우리나라에 내린 비의 양이 예년의 70% 수준에 불과하여 경남지역의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이 30%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2009년 초에 태백과 정선 등 강원 남부권의 극심한 식수난을 유발했던 가뭄의 경우 태백에서만 75일간 발생한 가뭄에 따른 고통 비용이 450억 원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홍수의 특징은? 가뭄은 홍수와 함께 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되풀이되어 왔으며, 미래에도 가뭄에 대한 문제는 불가피하다. 홍수는 단기간동안 좁은 지역에서 피해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 가뭄은 장기간동안 매우 넓은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는 등 상반된 특징을 나타낸다. 홍수는 기상에 대한 단기예측 성과를 이용하여 발생지역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나, 가뭄은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으로 인해 즉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우며 특히 장기 기상전망의 불확실성으로 장래 예측이 매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Meterological Society (2004). Statement on meteorological drought, Bull. Am. Meteorol. Soc., 85, 771-773. 

  2. Byeon, S., Choi, G., Kim, J., Koo, B., and Kim, S. (2009).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drought in water deficit zone,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May, 2009. 

  3. Coles, G.S.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of Extreme Values. Springer. 

  4. Edwards, D.C. and McKee, T.B.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Scales, Atmospheric Science Paper No. 634, May 1-30. 

  5. Gumbel, E.J. (1963). Statistical forecast of droughts. Bull. Int. Assoc. Sci. Hydrol. 8(1), 5-23. 

  6. Kim, Y. (2013). Policy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ccording to Drought Types, Working Paper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7. K-Water (2005). Establishing Monitoring System for Drought Management. Report. 

  8. K-Water (2006), Establishing Information System for Drought Management. Report. 

  9. K-Water (2007). Report on Test Opera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Drought Management. Report.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Report on Climate Change Scenarios 2011.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Recent Drought, Press Material. 

  12. Lee, J. (2012)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n Agricultural Drought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Working Paper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3. Lee, J. and Kim, C. (2011). Review of recent studies on extreme drought considering climate change, Special Issue on Impact and Prospects on Hydrological Impact Under Climate Change, Water & Future, 36-40. 

  14. Lehner, B., Doll, P., Alcamo, J., Henrichs, T., and Kaspar, F. (2006). Estimating the impact of global change on flood and drought risks in Europe: a continental, integrated analysis. Climatic Change, 75(3), 273- 299. 

  15. Linsely, Jr., R.K., Kohler, M.A., and Paulhus, J.L.H. (1959). Applied Hydrology, McGraw Hill, New York. 

  16. Lloyd-Hughes, B. and Saunders, M.A. (2002). A drought climatology for Europe, Int. J. Climatol., 22, 1571-1592. 

  17. Madsen, H., Mikkelsen, P.S., and Rosbjerg, D., and Harremoes, P. (1998). Estimation of regiona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for extreme precipitation, Water Sci. Technol., 37(11), 29-36. 

  18.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aper Presented at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naheim, CA. 

  19. Mishra, A.K. and Singh, V.P. (2009). Analysis of drought severity-area frequency curves using a general circulation model and scenario uncertain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D06120. 

  20. Mishra, A.K. and Singh, V.P. (2010). A review of drought concepts. Journal of Hydrology, 391, 202-216. 

  21. Palmer, W.C. (1965). Meterologic Drought.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Research Paper No. 45, 58. 

  22. Palmer, W.C. (1968). Keeping the track of crop moisture conditions, nationwide: the new crop moisture index, Weatherwise, 21, 156-161. 

  23. Park, K., Yu, S., Byambadorj, E.(to be published). Prediction of Return Periods of Sewer Flooding Due to Climate Change in Major Cities. 

  24. Todorovic, P. and Woolhiser, D.A. (1976). Stochastic structure of the local pattern of precipitation. In: Shen, H.W. (Ed.), Stochastic Approaches to Water Resources, Vol. 2,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 

  25. UN Secritariat General (1994).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rought and Desertification in Countries Experiencing Serious Droughts and/or Desertification, Particularly in Africa. Paris. 

  26. van Roy, M.P. (1965). A rainfall anomaly index independent of time and space., Notos, 14, 43. 

  27.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In: Wilhite, D.A. (Ed.), Drought: A Global Assessment. Routledge, New York. 

  28. Wilhite, D.A. and Glantz, M.H. (1987).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a: the role of definitions. In: Donald, A., Wilhite, Easterling William, E., Deobarah, A., (Eds.), Planning of Drought: Towards a Redu ction of Societal Vulnerability, Westview Press, Wood, Boulder, CO, 11-27. 

  29. World Meterological Organization (1986). Report on Drought and Countries Affected by Drought During 1974-1985, WMO, Geneva, 118. 

  30. Wu, H., Svoboda, M.D.l, Hayes, M.J., Wilhite, D.A., and Wen, F. (2007).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in and locations and dry seasons, Int. J. Climatol., 27, 65-79. 

  31. Yevje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 Hydrology Paper No. 23. Colorado State Univ., Fort Collins, Colorado,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