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와 불평등의 변증법
The Dialectical Inquiry Media and Inequality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0, 2016년, pp.7 - 39  

김승수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본주의 생산방식은 상품경제, 이윤 극대화, 독점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재벌과 같은 괴물을 낳고 그 반대편에는 중소자본, 영세사업자가 대립하는 양극화 사회를 만든다. 이 때문에 불평등은 통제 불능상태에 빠진다. 그런데도 정부나 국회는 불평등 문제를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누군가 불평등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들의 비판과 저항을 차단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필자는 불평등과 미디어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필자는 경제적 국가적 이념적 불평등이 사회 성격을 좌우하며, 이것들이 미디어 불평등의 근원임을 설명하였다. 미디어 정치경제학분석 도구로 삼아 자본주의 불평등은 미디어와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하며, 미디어는 불평등을 재생산함으로써 자본주의를 정당화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ssay deals with the bulk of problems of media raised by social inequality. I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media/information. In adopting the method of political economy based on dialectical viewpoint, I argue that collaboration among Chaebol, media, power resul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 자본주의 사회의 폐해는 어떠한가? 이것이 미디어 자본주의 사회이며, 미디어 국가다. 이런 체제에서 운영되는 미디어는 지배복합체에 긍정적인 정보를 대량적으로 유통하고, 자신의 영향력을 자랑할 목적으로 권력이나 재벌을 혼내는 척하는 과시 보도를 한다. 수용자 대중은 정보 조작과 그 폐해를 충분히 경험했어도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그런지, 무리하게 많은 돈과 시간을 쓰면서 자신들에게 이롭지 않은 미디어와 정보에 온종일 자신을 노출한다.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없애는 데에 노력해야 할 미디어, 교육, 종교가 금권주의에 집착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런 결과 대중미디어는 민주적 여론 형성에 실패하고 말았다. 미디어의 실패는 국가의 정책 실패를 초래하여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할 뿐 아니라 민주주의도 크게 위축시킨다.
재벌사회주의는 어떤 현실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인가? 재벌사회주의라는 용어는 옛 사회주의 국가에서 공산당이 권력·자원·이념을 독점 하고 민주주의를 억압하다가 시민들의 저항,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해 여지없이 무너졌던 상황을 한국의 재벌 기업과 국가권력이 재현하는 듯 한 현실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국사회의 불평등이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이유는? 불평등의 발생 원인을 시장경제에서 찾는 것은 타당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국가권력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를 함께 살펴야 바른 진단이 나올 수 있다(김승수, 2004, 2007). 한국사회는 특별히 남북 분단, 이념적 대립, 유교적 잔재 등으로 인해 국가의 규모·예산·인력·권한 등이 너무 커져서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 국가적 요소는 경제적 요소 못지않게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구조와 생산물에 영향을 미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1)

  1. 강상현 (2015). . 컬처룩. 

  2. 강인규 (2016). . 서울: 오마이북. 

  3. 강준만 (2013). . 개마고원. 

  4. 강준만 (2015). 지방의 내부 식민지화를 고착시키는 일상적 기제. , 54집 2호. 113-147. 

  5. 강천석 (2015, 5, 9). [강천석 칼럼] 기적을 이룬 나라, 기적을 잊은 나라. , A26쪽. 

  6. 구둘레 (2015, 12, 20). 게임의 법칙...광고하는 자가 강하다. . 

  7. 권태호 (2016, 9, 30). [현장] "가까운 미래 편집국은 '영상' 다루는 기관 될 것". . 

  8. 김상조.이승희 (2015). . 경제개혁연구소. 

  9. 김승수 (2004). . 서울: 개마고원. 

  10. 김승수 (2007). . 파주: 한울. 

  11. 김승수 (2008). 문화제국주의 변동에 대한 고찰. , 22권 3호, 51-85. 

  12. 김승수 (2011). 광고자본주의 정치경제학, , 가을호, 9-36. 

  13. 김승수 (2012). 정보 권력의 소멸을 위한 이론적 실천. , 8권 3호, 145-178. 

  14. 김승수 (2014). . 파주: 한울. 

  15. 남경태 (2015). . 서울: 휴머니스트. 

  16. 노현웅 (2016, 9, 27). 김영란법 코앞인데...지난해 기업들 접대비 수조원 썼다. . 

  17. 문병호 (2011). 언론기관의 독립성과 표현의 자유. , 17권 4호, 228-266. 

  18. 문화부 (2015). . 

  19. 박노자 (2016). . 서울: 한겨레출판. 

  20. 박대한 (2016, 9, 4). 한국 상위 10% 소득집중도 미국 다음...증가폭은 최고. . 

  21. 박상기 (2016, 3, 19). 후퇴하는 민주주의. . 

  22. 박영균 (2009). . 책세상. 

  23. 박태견 (2011, 1, 22). 굶주린 언론이 가장 무섭다. . 

  24. 박홍원 (2014).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 겨울호, 101-150. 

  25. 백철 (2016, 7, 26). 부동산 불로소득 '1년에 400조원'. . 

  26. 비판사회학회 엮음 (2012). . 파주: 한울. 

  27. 성현석 (2011, 4, 11). "MB 정부 3년, 삼성 자산은 1.5배, 현대차는 1.7배 늘어". . 

  28. 손제민 (2016, 7, 4). [2016 미국의 선택] 민주당 정책 '왼쪽으로'...샌더스의 힘. , 14면. 

  29. 송진석 (2016, 8, 21). 10대 기업 사내유보금 550조 돌파 '사상 최대'. . URL: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code920100&artid201608212229025 

  30. 송진식 (2014, 7, 11). 유튜브 점유율 79%...국내 동영상 시장 통째 넘어가나. . 

  31. 신동흔 (2016, 8, 2). 인천상륙작전과 '국뽕'. . 

  32.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2015). . 

  33. 연합뉴스 (2016, 6, 15). 10대 그룹 총수들 5년간 받은 배당금 1조 4,600억 원. 

  34. 오세성 (2010). .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35. 이대순 (2013, 5, 29). 중정'에서 재벌로 넘어간 절대권력. . 

  36. 이동걸 (2012, 6, 4). 대한미국은 '재벌사회주의'국가다. . 

  37. 이재유 (2008). . 참세상. 

  38. 이정희 (2016). . 파주: 들녘. 

  39. 이주영.조형국 (2015, 6, 30). 10대 그룹 지배하는 총수들, 보유 주식은 1%도 안돼. . 

  40. 이호영.장미혜.박현주 (2006).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1. 임동욱 (2012).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2. 정용인 (2016, 7, 23). 성주 '불순세력' 개입 엄단하겠다는 정부...불신 자초하고 '외부세력 탓'. . 

  43. 정철운 (2016, 9, 5). 정부광고 역대 최고치, 지난해 5779억 '펑펑'. . 

  44. 정혁 (201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remium Report 14-11. 

  45. 조윤민 (2016). . 파주: 글항아리. 

  46. 조일준 (2016, 9, 29). 구글.MS...세계 IT 빅5 '인공지능 개발' 손 맞잡아. . 

  47. 채지은 (2012, 9, 8). 부산에선 지금... '골목 인문학'. . 

  48. 최경운 (2016, 6, 21). "새누리도 이제 분배 고민할 때". , A6면. 

  49. 최은경 (2015).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0. 최진봉 (2013).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1. 한국고전번역원 승정원일기 번역팀 (편) (2014). .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52. 한만수 (2012). . 서울: 개마고원. 

  53. EBS (2014, 10, 2). [TV다큐멘터리]. 서울: EBS. 

  54. 甘惜分 (1988). , 北京: 新華出版社. 

  55. ?旭 (2016.2.29.). 2016??媒????守?克思主?新??. URL: http://www.suibi8.com/baogao/123276-makesaizhuyi-jianshou.html 

  56. 陳力丹 (2008). . 北京: 人民大學出版社. 

  57. Dwyer, P. (2015). Theorizing media production. Media, Culture & Society, 37(7), 988-1004. 

  58. Faulkner, N. (2013). A Marxist history of the world: From Neanderthals to Neoliberals. 이윤정 (역) (2016). . 김천: 엑스오북스. 

  59. Fuchs, C. (2014). Social media. Routledge. 

  60. Garnham, N. (1979). Contribution to a political economy of mass communication. Media, Culture & Society, 1(2), 123-146. 

  61. Greenburg, Z. O. (2016, 7, 26). Bigbang theory: How K-pop's top act earned $44 million in Year. Forbes. 

  62. Harvey, D.(2014). Seventeen contradictions and the end of capitalism. 황성원 (역). . 파주: 동녘. 

  63. Hesmondhalgh, D. (2006). Media production. 김영한 (역) (2010). .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64. Hesmondhalgh, D. (2013). The Cultural Industries. SAGE 

  65. Kangal, K. (2016). The Karl Marx problem in contemporary new media economy. Television & New Media, 17(5), 416-428. 

  66. Lanier J. (2014). Who owns the future?. 노승영 (역) (2016). . 파주: 열린책들. 

  67. Lebowitz, M.A. (1986). Too many blindspots on the media.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21(Autumn), 165-172. 

  68. Lordon. F. (2014). 기업은 고용을 창출하지 않는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엮음, . 파주: 휴먼큐브. 

  69. Marinko, G. I. (1989). What i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홍종도 (역) (1990) . 서울: 백산서당. 

  70. Marx, K. (1867).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Oeconomie. 김수행 (역) (2015). I권 상. 비봉출판사. 

  71. Marx, K., & Engels, F. (1932). Die Deutsche Ideologie. 김대웅 (역) (2015). . 파주: 한울. 

  72. McChesney, R. (2014). Digital disconnect. 전규찬 (역)(2014). . 서울: 삼천리. 

  73. McQuail, D. (2010). McQuail's mass communication theory, SAGE. 

  74. Mosco, V. (2009).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SAGE. 

  75. Perelman, M. (2005). Manufacturing discontent. 오종석 (역)(2009). . 서울: 난장이. 

  76. Royce, E. (2009). Poverty and power. 배충효 (역) (2015). . 서울: 명태. 

  77. Sanders, B. (2015). The speech. 이영 (역) (2015). . 서울: 북로그 컴퍼니. 

  78. Schiller, D. (2007). How to think about information. Univ. of Illinois Press. 

  79. Schiller, H. (1976). Communication and cultural domination. M.E. Sharpe. 

  80. Schiller, H. (1996). Information inequality. NY & London: Routledge. 

  81. Sparks, C. (2006). Contradictions in capitalist media practices. In L. Artz et al (eds.), Marx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NY: PETER LANG. 

  82. Stigliz, J. (2012). The Price of Inequality: How Today's Divided Society Endangers Our Future. 이순희 (역) (2013). . 파주: 열린책들. 

  83. The Economist (2016, 7, 16). The dividing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www.economist.com/news/leaders/21702188-donald-trumps-nomination-cleveland-will-put-thriving-country-risk-great 

  84. The Economist (2016, 9, 17). Why giants thrive. Retrieved from http://www.economist.com/news/special-report/21707049-power-technology-globalisation-and-regulation-why-giants-thrive 

  85. Wayne, M. (2003). Marxism and media studies: Key concepts and contemporary trends. 

  86. 류웅재.김수철.이희은 (역) (2013). . 파주: 한울. 

  87. Webster, F. (2014). 조동기 (역) (2016). . 파주: 나남. 

  88. Wikipedia, 'Injustice'.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njustice 

  89. Wikipedia, 'Social inequality'.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inequality 

  90. Wikipedia, 'Social justice'.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justice 

  91. Williams, R. (1980). Problems in materialism and culture. London, UK: Vers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