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기농경지 농업생산경관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A Survey of Expert's Perceptions about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land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4, 2016년, pp.681 - 698  

안필균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안난희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신재훈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ing public concer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ecological aspect of landscape management is of growing importanc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of 31 experts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eference of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거 농업생산 경관에 대한 연구가 일반 농업생산 경관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친환경농업이나 유기농경지의 경관적 특성에 대한 반영이 미흡하였던 점을 보완하고, 유기농업 및 경관 전문가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기농경지의 경관항목의 분류와 중요도, 경관요소에 대한 선호도와 중점관리 대상 경관에 대한 정보는 유기농업 실천지역의 농촌경관계획 수립과 유기농업 지원 정책의 대상 농가를 구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지역의 경제가 발전하게 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농촌경관 보전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유기농업생산경관을 평가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연과 조화로운 농촌의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경관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들 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였으며 도출 된 경관요소 중 중점적 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선별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수준이 낮은 경관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따라서, 정책적,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경관의 생태적 기능과 가치를 고양하고 향후 경관 개선의 방향설정을 위해서는 생태적, 기능적 측면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경관평가의 지표로 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점를 보완하기 위해 생태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이 공존하는 유기농경지를 대상으로 농경지를 구성하는 특정한 경관요소를 도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호도와 중요도를 측정하고, 경관수준 분석을 통해 현재 존재하고 있는 유기농경지의 경관 중 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지역에서의 환경 문제가 소홀히 다루어진 이유는? 지역경제 발전을 중심으로 한 농촌개발 정책으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의 환경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시설물을 중심으로 농촌지역의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농촌고유의 생태환경과 자연경관을 유지, 보전하여 농촌이 제공하는 환경적 편익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Lee et al.
현재 우리나라 농업생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현재 우리나라 농업생산은 대부분 농지의 규모화, 시설재배 등 효율성을 추구하는 관행 농업을 위해 조성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관행농업은 농산물의 대량생산이나 비용절감 측면에서 효율적이지만,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의 오염과 생태계 순환 시스템을 훼손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유기농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농촌의 경관의 예는? 즉, 유기농업은 관행농업과 농작물을 생산하는 과정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농촌의 경관도 관행농업에 비하여 더 다양하고 자연생태계의 모습과 잘 어우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풋거름작물(녹비작물)의 재배, 병해충 관리를 위한 기피식물이나 유인식물, 방목을 위한 초지, 생물다양성과 생태 시스템을 유지시키기 위한 완충지대, 주변 유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농장경계의 방풍림 식재 지역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농장의 생태적 건강성과 농업생산경관을 평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정책적 지원(경관보전직불제, 친환경농업직불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활동의 대상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e, H. S. and H. M. Kim. 200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Element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gricultural Landscape. Korean J. Soc Rural Plan. 11: 1-9. 

  2. Hendriks, K., D. J. Stobbelaar, and J. D. van Mansvelt. 2000. The appearance of agriculture A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andscape of both organic and conventional horticultural farms in West Friesland. Agric Ecosyst Environ. 77: 157-175. 

  3. Hong, J. M. 2011. An AHP Approach for the Importance Weight of Renewable Energy Investment Criterion in the Private Sector. Korean J. Energy Econ Rev. 3: 115-142. 

  4. Kang, H. J. 2012. A Study on the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Delphi Method. Hanyang University. 

  5. Kim, E. J.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Rural Ame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im, H. M. and B. H. Kang. 2006.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Character in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ed Land Based on Rural Amenity. Korean J. Soc Community Living Sci. 17: 16-20. 

  7. Kim, J. O. 2012.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Irrigation Pond (Dum-bung) in Paddy Field. Kangwon University. 

  8. Kim, S. B. and S. Y. Rhee. 2006. Key Landscape Elements in Constituent Spaces of Rural Village Area. Korea J. Soc Rural Plan. 12(3): 13-18. 

  9. Kim, S. B., B. H. Kang, and H. M. Kim. 2006. A Study on Preference and Importance of Rural Landscape Elements. Korean J. Soc Community Living Sci. 5: 136-136. 

  10. Kuiper, Juliteet. 2000. A Checklist approach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organic farms to landscape quality. Agric Ecosyst Environ. 77: 143-156. 

  11. Kwon, O. S. 2013. Aesthetic Quality Analysis and Landscape Planning based on Landscapetope Classification. Kyungpook university. 

  12. Lampkin, N. 1994. Organic Farming: Sustainable Agriculture in Practice in The Economics of Organic Farm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dited by Lampkin and Padel, CAB International: Oxford. 

  13. Lee, K. J., C. H. Park, B. H. Song, and S. B. Kim. 2009. A Study on Selection of Representative Landscape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Rural area. Korean J. Green Tourism Assoc. 12: 45-61. 

  14. Ra, J. H. 2005.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New Framework of Landscape Ecology. Korean J. I Landscape Archit. 33(4): 45-70. 

  15. Saaty, R. W. 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th Model. 9: 161-176. 

  16. Song, G. W. and Y. Lee. 2012. Reconstruct the Scale research to Improve Consistency of the AHP. Korean J. Assoc Local Gov. 2: 185-195. 

  17. Song, G. W. and Y. Lee. 2013. Re-scaling for Improving the Consistency of the AHP Method. Korean J. Kyungsung University. 29(2): 271-288. 

  18. Song, M. R. and J. C. Park. 2005. Policies for Rural Landscape Preservation : Trends and Lessons. Korea Rural Econ-I. 28(3): 121-137. 

  19. Song, M. R. and J. I. Seong. 2005.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Korean J. Region Dev Assoc. 17(4): 293-320. 

  20. Stobbelaar, D. J. J. Kuiper, J. D. van Mansvelt, and E. Kabourakis. 2000. Landscape quality on organic farms in the Messara valley, Crete Organic farms as components in the landscape. Agric Ecosyst Environ. 77: 79-93. 

  21. Yeo, H. S., J. H. Seo, and J. E. Lee, 2013. Research landsca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lor of the rural environment - A case of Icheon city, Gyeonggi-do. Korean J. Digit Des Council. 13(3): 393-402. 

  22. Yun, H. J. and H. M. Kim. 2006a.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landscape character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land.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1(2): 167-178. 

  23. Yun, H. J. and H. M. Kim. 2006b. Evaluating the valu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landscape using CR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37-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