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역량 또는 돌봄 행위 측정도구를 통해서 살펴본 간호와 돌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in Nursing Competencies or Caring Behaviors Too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480 - 495  

박은준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혜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by nursing competencies or caring behaviors tools for general nurses working in acute care hospitals. Methods: Five major nursing literature databa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evant tool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바람직한 간호 또는 돌봄에 대해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면서 이론적, 경험적 접근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이들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간호와 돌봄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기 위하여 간호 분야에서 개발된 간호와 돌봄에 대한 양적 측정도구들의 문항을 체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간호 실무의 측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성기병원의 일반병동 간호 실무를 측정하는 간호 역량과 돌봄 행위 측정도구들의 문항을 비교 ․ 분석함으로써 간호와 돌봄 개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문헌 조사연구이다. 측정도구 문항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비교를 위해 ICN [6]의 간호 역량 체계를 기준으로 관련 도구들의 문항을 일차 분류하였다.
  • 예를 들어, Table 1의 N17 도구처럼 11개 역량 요소에 대해 다섯 단계 임상등급별로 진술했을 때 총 55개 문항이지만, 본 연구를 위해서는 11개 요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자 간 합의를 통해 최종 코딩을 마감한 후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 코딩 결과를 다시 한 번 검토하였고, ICN 역량 영역별로 문항을 정리하여 일관성 있고 정확한 코딩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등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과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과학은 현상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간호과학은 개개인의 주관성을 반영하여 간호 대상자가 기대하는 상황에 도달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규범적인 성격을 가짐으로써 여타 과학과 차이를 보인다[1]. 이는 간호가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에만 의존해서는 목표하는 성과를 얻기 어려운 이유일 수 있으며, 결국 환자를 만나는 간호사 개개인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타 과학과 차이를 보이는 간호과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과학은 현상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간호과학은 개개인의 주관성을 반영하여 간호 대상자가 기대하는 상황에 도달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규범적인 성격을 가짐으로써 여타 과학과 차이를 보인다[1]. 이는 간호가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에만 의존해서는 목표하는 성과를 얻기 어려운 이유일 수 있으며, 결국 환자를 만나는 간호사 개개인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호의 이러한 고유성을 바탕으로 전문직 간호의 나아갈 방향과 역할등을 결정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 중 하나가 ‘간호’와 ‘돌봄’ 개념에 대한 간호계의 충분한 이해라고 본다.
간호과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과학은 현상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간호과학은 개개인의 주관성을 반영하여 간호 대상자가 기대하는 상황에 도달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규범적인 성격을 가짐으로써 여타 과학과 차이를 보인다[1]. 이는 간호가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에만 의존해서는 목표하는 성과를 얻기 어려운 이유일 수 있으며, 결국 환자를 만나는 간호사 개개인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dwards SD. Philosophy of nursing: An introduction. New York: Palgrave; 2001. 

  2. Papastavrou E, Efstathiou G, Charalambous A.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caring behaviours: Quantitative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6):1191-120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80.x 

  3. Morse JM, Bottorff J, Neander W, Solberg S.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ualizations and theories of caring.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1;23(2):119-126. http://dx.doi.org/10.1111/j.1547-5069.1991.tb00655.x 

  4. Wilkin K, Slevin E. The meaning of caring to nurses: An investigation into the nature of caring work in a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4;13(1):50-5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4.00814.x 

  5. Phillips P. A deconstruction of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3;18(10):1554-1558.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3.18101554.x 

  6. Alexander MF, Runciman PJ.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s: Report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sultation. Geneva: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2003. 

  7. Roach MS. The human act of caring: A blueprint for the health professions. Ottawa: Canadian Hospital Association; 1987. 

  8. Roach MS. Caring: The human mode of being. In: Smith MC, Turkel MC, Wolf ZR, editors. Caring in nursing classics: An essential resource. New York: Springer; 2013. p.165-180. 

  9. Pusari ND. Eight 'Cs' of caring: A holistic framework for nursing terminally ill patients. Contemporary Nurse. 1998;7(3):156-160. http://dx.doi.org/10.5172/conu.1998.7.3.156 

  10. Schwirian PM.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1978;27(6):347-351. 

  11. Ekstrom DN. Gender and perceived nurse caring in nurse-patient dya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29(6):1393-1401.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9.01026.x 

  12. The NHS Constitution. Compassion in practice-nursing, midwifery and care staff our vision and strategy [Internet]. UK: NHS Commissioning Board. [updated December 2012: cited 2016 July 7]. Available from: https://www.england.nhs.uk/wp-content/uploads/2012/12/compassion-in-practice.pdf 

  13. Leininger M. Overview of the theory of culture care with the ethnonursing research method.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997;8(2):32-52. http://dx.doi.org/10.1177/104365969700800205 

  14. Surbone A. Information, truth, and communication. For an interpretation of truth-telling practices throughout the world.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7;809(1):7-16. http://dx.doi.org/10.1111/j.1749-6632.1997.tb48064.x 

  15. Caranto LC. Coalescing the theory of Roach and other truthsee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5;5(1):1-4. http://dx.doi.org/10.5923/j.nursing.20150501.01 

  16. Wu Y, Larrabee JH, Putman HP. Caring behaviors inventory: A reduction of the 42-item instrument. Nursing Research. 2006;55(1):18-25.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601000-00003 

  17. Hancock C. Unity with diversity: ICN's framework of competenc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7(2):11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4.03087.x 

  18. Leininger MM. Care, the essence of nursing and health. Thorofare, NJ: SLACK; 1984. 

  19. Levy-Malmberg R, Hilli Y. The enhancement of clinical competence through caring scien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4;28(4):861-866. http://dx.doi.org/10.1111/scs.12104 

  20. Finfgeld-Connett D. Meta-synthesis of caring in nurs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196-204.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824.x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