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동료돌봄행위척도(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Korean Vers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431 - 442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공문연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희 (제주한라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 (PGCIS-K) that measures caring behaviors a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Methods: Translation of the PGCIS-K was validat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Survey data we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ughes [8,11]가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동료돌봄행위척도(PGCIS)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우리나라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돌봄이 간호학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학생 간 돌봄과 돌봄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탐구는 활발하지 않으며,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돌봄 및 배려 행위와 분위기 관련 척도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동료돌봄행위척도(PGCIS-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국내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 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PGCIS-K의 내용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인 간호교육 전문가 2인에 의한 S-CVI/Ave를 산출하였다. Polit와 Beck [21]은 S-CVI/Ave의 값이 .
  • 특히, 간호교육과정에서 돌봄을 실습하고 그 기술을 개발하는 매개로써 동료관계를 강조하거나 간호학과 학생들 간의 돌봄과 돌봄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탐구는 활발하지 않으며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돌봄 행위나 돌봄 분위기를 측정하는 도구 또한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동료돌봄행위척도(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 [PGCIS])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여 국내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돌봄행위척도의 하위 영역은? 동료돌봄행위척도(PGCIS)는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과 학생들이 동료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돌봄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8,11]. 이는 돌봄행위(caring behaviors) 영역과 도움제공(giving assistance) 영역의 2개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개발 당시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Hughes [11]가 개발당시 보고한 구성타당도 이외에는 그 구성타당도를 검토한 연구가 없으며,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한 후속 연구들[12,13]에서 Cronbach’s α를 .
동료돌봄행위척도의 목적은? 동료돌봄행위척도(PGCIS)는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과 학생들이 동료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돌봄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8,11]. 이는 돌봄행위(caring behaviors) 영역과 도움제공(giving assistance) 영역의 2개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개발 당시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돌봄 환경에서 개인들이 경험하는 것은? 지난 30여 년 동안 Coates [1], Watson [2], Turkel과 Ray [3], Boykin과 Schoenhofer [4]은 같은 많은 학자들은 간호의 본질을 돌봄(caring)으로 기술하여 왔으며, 간호전문직과 다른 전문직을 구별해 주는 것으로 돌봄을 강조하여 왔다. Boykin과 Schoenhofer[4,5]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은 돌봄을 주고받는 존재로 관계의 본질은 돌봄을 통해 변환되며, 돌봄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강화되고, 돌봄 환경에서 개인들은 타인으로부터 인식되어지고 존경받으며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돌봄은 돌봄의 대상자에 대한 감정적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관계 속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실천적 행위를 동반하게 되며, 간호사대상자와의 관계에서 간호사는 이러한 돌봄 행위를 통하여 대상자와 공감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수용하며 대상자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하게 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ates C. The evolution of measuring caring: Moving toward construct validity.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2. p. 215-241. 

  2. Watson J. Overview.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9. p. 3-23. 

  3. Turkel MC, Ray MA. Creating a caring practice environment through self-renewal.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4;28(4):249-254. 

  4. Boykin A, Schoenhofer SO. Nursing as caring: A model for transforming practice [Internet].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13 [cited 2015 October 18]. Available from: http://www.gutenberg.org/files/42988/42988-pdf.pdf?session_idbf87cac6a873e095e0f5c9100586355feca0bb1a. 

  5. Boykin A, Schoenhofer SO. The role of nursing leadership in creating caring environments in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1;25(3):1-7. 

  6. Beck CT.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30(1):24-32. 

  7. Coates C. The evolution of measuring caring: Moving toward construct validity.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9. p. 261-265. 

  8. Hughes L. Peer group interactions and the student-perceived climate for car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3;32(2):78-83. 

  9. Longo J. Acts of caring: Nurses caring for nurses.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1;25(1):8-16. http://dx.doi.org/10.1097/HNP.0b013e3181fe2627 

  10. Noddings N.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 moral educ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1. Hughes LC.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aring peer group interaction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8;37(5):202-207. 

  12. Hughes LC, Kosowski MM, Grams K, Wilson C. Caring interactions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comparison of 2 associate degree nursing programs. Nursing Outlook. 1998;46(4):176-181. 

  13. Hughes LC, Romick P, Sandor MK, Phillips CA, Glaister J, Levy K, et al. Evaluation of an informal peer group experience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emotional well-being and profess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3;19(1):38-48. http://dx.doi.org/10.1053/jpnu.2003.9 

  14. Longo J.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ager and peer caring to registered nurs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aring. 2009;13(2):26-33. 

  15. Pfeiffer JA, Wickline MA, Deetz J, Berry ES. Assessing RN-to-RN peer review on clinical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3):390-400.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321.x 

  16. Hughes LC.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 and organizational climate for caring questionnaire.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9. p. 149-161. 

  17. Hughes LC.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RN). The organizational climate for caring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date unknown]. 2 leaves. Availability located at: Author's individual collection. 

  18. Gabbert WL. Beyond online: Enhancing caring and professional practice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8;12(2):68-80. 

  19. Cossette S, Pepin J, Cote JK, de Courval FP. The multidimensionality of car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aring nurse-patient interaction shor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1(6):699-710.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566.x 

  20. Streiner DL, Norman GR, Cairney J.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p. 19-130. 

  21. Polit DF, Beck CT.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9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p. 200-485. 

  22. Tigges BB.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ocial comparison motives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9;17(1):29-44. 

  23. Terwee CB, Bot SD, de Boer MR, van der Windt DA.W.N, Knol DL, Dekker J, et al. Quality criteria were proposed for measurement properties of health status questionnair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7;60(1):34-42.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6.03.012 

  24. Kelley T, Ebel R, Lincare JM. Item discrimination indic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2002;16(3):883-884. 

  25. Ferketich S. Focus on psychometrics. Aspects of item analysi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91;14(2):165-168. 

  26. Rattray J, Jones MC. Essential elements of questionnaire design and developme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2):234-24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573.x 

  27. Hwang KJ. Sung confucian ethics and education of care-based on Noddings' view. In: Hwang KJ, Kim SH, Park WJ, Cho KR, Lee SI, Baek MJ, et al., editors. Korean cultural tradition and ethics of care.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ess; 2015. p. 19-52. 

  28. Cho GH. What is Korean collectivism? In: Kim MC, Ghang TJ, Kim GH, Kim GI, Kim WB, Kim JG, et al., editors. Korean, Who are you?. Paju: Book 21; 2013. p. 153-171. 

  29. Lee YJ. Multivariate analysis using SPSS/PC+. Seoul: Sukjungbooks; 1993. p. 39-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