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4, 2016년, pp.373 - 383  

최미선 (인천재능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and test its effects. Methods: A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design was used with 56 participating nurses (28 nur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nurses i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간호사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고,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적응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긍정적 정서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유연성은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는가 이러한 개인의 차이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중재하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적응유연성(resilience)으로 설명될 수 있다[1]. 적응유연성은 개인이 신체, 심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나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적으로 대처하며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으로 평정, 인내, 자기신뢰, 의미부여, 그리고 유일한 존재로 구성되어 있다[7]. 적응유연성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잘 대처하여 적응을 유지할 수 있다 [1,3].
적응유연성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개인의 차이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중재하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적응유연성(resilience)으로 설명될 수 있다[1]. 적응유연성은 개인이 신체, 심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나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적으로 대처하며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으로 평정, 인내, 자기신뢰, 의미부여, 그리고 유일한 존재로 구성되어 있다[7]. 적응유연성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잘 대처하여 적응을 유지할 수 있다 [1,3].
우리나라 적응유연성훈련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반면, 국내의 연구로는 만성질환아동에게 유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행동문제와 적응유연성 증진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연구[12]와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의미요법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삶의 의미와 희망 및 적응유연성이 증가한 연구 등이 제시되었다[13].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적응 유연성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주로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연구에 국한 되었으므로 스트레스가 심한 직업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적응 유연성 중재를 적용해 봄으로써 적응유연성 개발이 가능함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ackson D, Firtko A, Edenborough M.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60(1):1-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2. Peters L, Cant R, Sellick K, O'Connor M, Lee S, Burney S, et al. Is work stress in palliative care nurses a cause for concern?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2012;18(11):561-567. http://dx.doi.org/10.12968/ijpn.2012.18.11.561 

  3. Grafton E, Gillespie B, Henderson S. Resilience: The power within. Oncology Nursing Forum. 2010;37(6):698-705. http://dx.doi.org/10.1188/10.ONF.698-705 

  4. Statistics Korea. Employment rate statistics in 2012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3 February 10]. Available from: http://laborstat.molab.go.kr:8081/OLAP/Analysis/stat_OL AP.jsp?org_id118&tbl_idDT_118N_MON036&pathx 

  5.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employment survey. Seoul: Author; 2013[cited 2013 Febr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6. Pipe TB, Buchda VL, Launder S, Hudak B, Hulvey l, Karns KE, et al. Build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resources of resilience and agility in the healthcare workplace. Stress and Health. 2012;28(1):11-22. http://dx.doi.org/10.1002/smi.1396 

  7.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178. 

  8. Tugade MM, Fredrickson BL.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4;86(2):320-333. http://dx.doi.org/10.1037/0022-3514.86.2.320 

  9. Cohn MA, Fredrickson BL, Brown SL, Mikels JA, Conway AM. Happiness unpacked: Positive emotions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building resilience. Emotion. 2009;9(3):361-368. http://dx.doi.org/10.1037/a0015952 

  10. Hjemdal O, Vogel PA, Solem S, Hagen K, Stiles TC.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adolescent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2011;18(4):314-321. http://dx.doi.org/10.1002/cpp.719 

  11. McDonald G, Jackson D, Wilkes L, Vickers MH. A work-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al resilience in nurses and midwives. Nurse Education Today. 2012;32(4):378-384. http://dx.doi.org/10.1016/j.nedt.2011.04.012 

  12. Sim I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umor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hronic illness children and its effect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13. Koo BJ.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logotherapy-based resilience promo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14. Hospital Nurses Association. Education program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3 Nov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edu/program.php 

  15.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16. Watson D, Clark LA, Tellegen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8;54:1063-1070. 

  17. Lee HH, Kim EJ, Lee MK.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4):935-946. 

  18.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3;24(4):385-396. 

  19. Park JN, Seo YS.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0;29(3):611-629. 

  20. Oh IK, Choi JI. Method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programs. Seoul: Hakjisa; 2005. p. 12-26. 

  21. Sood A, Prasad K, Schroeder D, Varkey P.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1;26(8):858-861. http://dx.doi.org/10.1007/s11606-011-1640-x 

  22. Steinhardt M, Dolbier C. Evaluation of a resilience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strategies and protective factors and decrease symptomatolog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8;56(4):445-453. http://dx.doi.org/10.3200/JACH.56.44.445-454 

  23. Bradshaw BG, Richardson G, Kumpfer K, Carlson J, Stanchfield J, Overall J, et al. Determining the efficacy of a resiliency training approach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2007;33(4);650-659. http://dx.doi.org/10.1177/0145721707303809 

  24. Wagnild GM. A review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9;17(2):105-113. 

  25. Matos PS, Neushotz LA, Quinn Griffin MT, Fitzpatrick JJ. An exploratory study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inpatient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0;19(5):307-312. http://dx.doi.org/10.1111/j.1447-0349.2010.00690.x 

  26. Gillespie BM, Chaboyer W, Wallis M.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silience of operating room nurses: A predictor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7):968-97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7.08.006 

  27.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14-23. 

  28. Burton NW, Pakenham KI, Brown WJ.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resilience training: A pilot study of the READY program.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10;15(3):266-277. http://dx.doi.org/10.1080/13548501003758710 

  29. Millear P, Liossis P, Shochet IM, Biggs H, Donald M. Being on PAR: Outcomes of a pilot trial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in the workplace with the Promoting Adult Resilience (PAR) Program. Behavior Change. 2008;25(4);215-228 

  30. Kwon DS, Cho AM.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Gyeonggido: Kyoyookbook; 2004. p. 187-2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