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암컷의 출산시기 행동 특성에 따른 분석 및 관리 방안
Analysis of Home Range Change of Female Goral (Naemorhedus caudatus) during the Period of Birth and Management Plan for their Protection in the Natural Habita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5, 2016년, pp.857 - 864  

조재운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김규철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김기윤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이용학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손장익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정승준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정대호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산양 암컷(n=6)의 출산시기 행동권 분석을 위해 2007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월악산국립공원 2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연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시기에 따라 행동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MCP 95%에서 봄 $1.00{\pm}1.00km^2$ > 가을 $0.66{\pm}0.30km^2$ > 여름 $0.61{\pm}0.40km^2$ > 겨울 $0.50{\pm}0.10km^2$(F=4.240, p<0.05)로 분석되었으며, 월별분석은 5, 6, 7월에 급격이 행동권이 작아지는 특징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F=24.261, p<0.01). 이렇듯 행동권의 급격한 변화를 보인개체들은 새끼를 출산한 개체로 확인 되었고, 행동권이 급격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평균 이용고도는 $615.77{\pm}173.508m$이며 출산개체와 비출산 개체 모두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출산 시기 등을 고려한 개체관리 및 복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endangered species female gorals (n=6) during the period of birth, using GPS collar attached on their necks, we carried out this study in two areas (Seoraksan and Woraksan National park) from March 2007 to May 2014.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r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양 출산관련 연구는 Yang(2002)의 연구가 유일하며 새끼는 분만 후 1주일 후부터 어미를 따라다닌다고 하였으나, 아직 야생에서의 한국 산양의 출산시기에 관한 행동권, 서식지 이용 생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멸종위기에 처한 한국 산양의 출산시기 행동특성 및 서식지 이용특성을 연구하여 복원 및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양의 감소 원인은? , 2014). 산양의 감소 원인을 폭설, 급격한 기후변화, 산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및 밀렵에 의한 개체수 감소로 보고하였다(IUCN, 2014; 국립생물자원관 NIBR, 2012). 멸종위기종인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서식지는 기암절 벽과 산림지대이며, 겨울철에는 폭설로 다소 낮은 산림지역 으로 이동하고, 주 서식지를 떠나지 않는다(Won, 1967;Yoon et al.
암컷 산양 중 출산 개체가 급격한 행동권 변화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이러한 행동적인 변화는 비출산 개체는 먹이활동과 행동 적인 제한을 받지 않으며 서식하는 반면 출산 개체는 어린 새끼 개체와 행동하며 공간적 지리적인 제한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어 가을철에도 행동권이 급격히 넓어지는 현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행동권 특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출산개체의 자료가 있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산양의 4개의 종은? 전 세계 산양은 Naemorhedus caudatus, N. baileyi, N.griseus, N. goral 4개의 종으로 분류 되고 있으며(Wilson and Reeder, 2005), 한국 산양의 경우 안정된 개체군을 유지 하는 4곳(설악산, 비무장지대, 양구·화천, 울진·삼척)을 제외하고는 소규모의 개체군만이 산재해 있어, 인간의 인위적인 도움이 없을 경우 근친교배 등으로 인해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Yang, 2002).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종보존위원회(SSC)는 산양의 종 보호의 필요성을 주지하여 보호등급 Ⅰ의 Vulnerable(취약)종으로 등재하였고, CITES 에서도 Appendices(부속서) Ⅰ에 등재하였으며, 우리나라 에서는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1982년) 및 천연기념물 217 호(1968년)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ger, A.A., B.K. Johnson, J.W. Kern and J.G. Kie. (2003) Daily and seasonal movements and habitat use by female Rocky mountain elk and mule deer. Journal of Mammalogy 84(3):1076-1088. 

  2. Aldridge, H.D. J.N and R.M. Brigham.(1988) Load carrying and maneuverability in an insectivorous bat: a test of the 5% "rule" of radio-telemetry. Journal of Mammalogy 69(2):379-382. 

  3. Anderson, D.P., J.D. Forester, M.G. Turner, J.L Frair, E.H. Merrill, D. Fortin, J.S. Mao and M.S. Boyce.(2005) Factors influencing female home range size in elk(Cervus elaphus) in north american landscapes. Journal of Landscape Ecology 20:257-271. 

  4. Chaiyarat, R., W. Laohajinda and U. Kutintara.(1999) Ecology of the Goral(Naemorhedus goral) in Om Koi Wildlife Sanctuary, Thailand. The Journal of the Natural History Society of Siam 47:191-205. 

  5. Choi, T.Y. and C.H. Park.(2005) Establishing a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Heude) Reserve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Model, Habitat Capability Model, and the Concept of Minimum Viable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2 no.6, pp.23-3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C.U.(2013) Systematic study on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with ecology and conservation plan.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72-11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 C.U., K.C. Kim, G.H. Gyun, J.J. Yang, B.K. Lee, C.H. Gyun.(2014) Activity characteristics of female gorals (Naemorhedus caudatus) introduced into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650-65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 C.U., K.Y. Kim, K.C. Kim, H.M. Kim, J.Y. An, B.K. Lee, J.G. Park.(2015A) Home Range Analysis of a Pair of Gorals (Naemorhedus caudatus) Using GPS Collar According to the Elevation Change,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Uljin)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135-14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 C.U., K.C. Kim. G.H. Kwon.(2015B) Habitat altitude and home range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seasonal and monthly home range and altitude change. Mammalia. DOI: 10.1515/mammalia-2015-0024 

  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 3.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20 January 2015. 

  11. Jass, C.N. and J.I. Mead.(2004)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NO.750, pp.1-10. 

  12. Kim, E.M., J.O. Kwon, C.W. Kang, K.M. Song and D.W. Min. (2013)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 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using GPS-CDMA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65-7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NPS. 2011.(2010) Annual monitoring report of Amur goral.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7-9.(in Korean) 

  14. KNPS. 2016.(2015) Annual repor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64-73.(in Korean) 

  15. Kufeld, R.C., D.C. Bowden and D.L. Schrupp.(1988) Habitat selection and activity patterns of female mule deer in the front range, Colorado. Journal of Range Management 41(6):515-522. 

  16. Lovari, S. and M. Apollonio.(1994) On the Rutting Behaviour of the Himalayan Goral Namorehaedus goral(hardwicke, 1825). Jounal of Ethol.ogy 12(1):25-34. 

  17. Licoppe, A.M. and J. Lievens.(2001) The first tracking results from a female free-ranging red deer(Cervus elaphus L) fitted with GPS collar in Ardenne, Belgium. Tracing Animals with GPS. pp.25-27. 

  18. Mohr, C.O.(1947) Table of equivalent populations of North American small mammal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37(1):233-249. 

  19. Mead, J.I.(1989) Nemorhaedus-Goral.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35: 1-5. 

  20. Mishra, C. and A. J. T. Johnsingh.(1996) On habitat selection by the Goral, Nemorhaedus Goral Bedfordi (Bovidae, Artiodactyla). Journal of Zoology (London) 240:573-580. 

  21. Myslenkov, A. I. and V. Voloshina.(1998) Sexual behaviour of Amur goral. Proc. 2nd World Conf. Mt. Ungulates, pp.75-80. 

  22. Myslenkov, A. I. and V. Voloshina.(2012) Ecology and Behaviour of Amur Goral.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pp.159-195. 

  23. Nasimovich, A. A.(1955) Role of snow cover conditions in the life of ungulates within USSR territory. Lzd. AN SSSR. Moscow. 371pp. 

  24. Nicholson, M.C., R.T. Bowyer and J.G. Kie.(1997) Habitat selection and survival of mule deer: tradeoffs associated with migration.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78(2):483-504. 

  25. Nowak, R. M.(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 2 (6th ed).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London, pp.1209-1212. 

  26. NIBR.(2012) Red Date Book of Endangered Mammals in Korea. NIBR, 49pp. 

  27. Pedro Carvalho, Antonio J. a. Nogueira, Amadeu M.V.M. Soares and Carlos Fonseca.(2008) Ranging behaviour of trans located roe deer in a Mediterranean habitat: seasonal and altitudinal influences on home range size patterns of range use. Mammalia 72:89-94. 

  28. Piao, R.(2013)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2013 International Symposium Symposium for Biodiversity Enhanc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0pp.(in Korean) 

  29. Park, H.B.(2011) The Habitat-using Characteristics of Long tailed-goral(Naemorhedus caudatus) in the Northern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Gyeo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p.19-2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Riley, S.J. and A.R. Dood.(1984) Summer movements, home range, habitat use, and behavior of mule deer fawn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48(4):1302-1310. 

  31. Won, P.H.(1967)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Seoul, Korea, pp.59-65.(in Korean) 

  32. Worton, B.J.(1989) Kernel methods for estimating the utilization distribution in home-range studies. Journal of Ecology 70(1): 164-168. 

  33. Wilson, D.E. and D.M. Reeder.(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nd e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pp.406-407. 

  34. Whitaker, D.M., D.F. Stauffer, T.D. Fearer and M.C. Reynolds. (2005)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Location Estimates Obtained using Mobile Radio Tracking Equipment. Virginia Tech. Blacks burg, USA. 29pp. 

  35. Yang, B.K.(2002)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Ph. 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29-5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Yoon, M.H., Han, S.H., Oh, H.S., Kim, J. G.(2004) Korean Mammals, Dongbang Media, Seoul, pp.272-274.(in Korean) 

  37. Zweufel-Schielly, B., M. Kreuzer, K.C. Ewald and W. Suter.(2009) Habitat selection by an alpine ungulate: the significance of forage characteristics varies with scale and season. Journal of Ecography 32(1):103-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