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급성 기저핵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양상의 변화 : 후향적 연구
Changes in the Gait Pattern of Hemiparetic Patients with Subacute Basal Ganglia Stroke: a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7 no.6, 2016년, pp.990 - 997  

홍해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김철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성강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이상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gait pattern according to the motor grade of the paretic lower limb in patients with basal ganglia stroke who are in the subacute phase. Methods: We used the Manual Muscle Test (MMT) to evaluate the motor grade of the paretic lower limb of 21 patient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급성기부터 뇌졸중 환자의 보행양상의 특징을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아급성기 뇌기저핵 부위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력에 따른 보행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마비측 하지 근력 등급이 다를 경우 일정시간 경과 후 보행분석 상 보행 양상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 아급성기 기저핵 뇌졸중 환자에서 마비측 하지근력에 따라 보행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대상자의 첫 번째 보행분석이 뇌졸중 발병 후 16일에서 126일(평균 4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는 무엇을 목표로 재활 치료를 하는가? 또한, 정상인보다 양하지 지지기(double support phase) 및 입각기(stance phase)가 증가하나 마비측 하지는 비마비측 하지보다 입각기(stance phase)가 짧고, 유각기(swing phase)가 더 길어진다3-6.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는 독립적인 보행 및 기능적 회복을 목표로 재활치료를 실시하는데 마비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발병 후 3개월까지 중요한 회복이 이루어지며, 이후 6개월까지 서서히 회복되는 경과를 취한다7-11. 발병 당시 마비의 정도가 보행능력 회복에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발병 시 마비측 근력약화가 가볍거나 중간 정도(mild to moderate)일 경우 발병 3주 이내, 그리고 마비가 심각(severe)할 경우 발병 6주까지 중요한 보행능력 향상이 이루어지며, 이후 9~11주까지 보행 회복이 지속된다11.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재활치료는 어떤 회복 경과를 갖는가? 또한, 정상인보다 양하지 지지기(double support phase) 및 입각기(stance phase)가 증가하나 마비측 하지는 비마비측 하지보다 입각기(stance phase)가 짧고, 유각기(swing phase)가 더 길어진다3-6.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는 독립적인 보행 및 기능적 회복을 목표로 재활치료를 실시하는데 마비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발병 후 3개월까지 중요한 회복이 이루어지며, 이후 6개월까지 서서히 회복되는 경과를 취한다7-11. 발병 당시 마비의 정도가 보행능력 회복에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발병 시 마비측 근력약화가 가볍거나 중간 정도(mild to moderate)일 경우 발병 3주 이내, 그리고 마비가 심각(severe)할 경우 발병 6주까지 중요한 보행능력 향상이 이루어지며, 이후 9~11주까지 보행 회복이 지속된다11.
뇌줄중 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뇌줄중 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은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한걸음시간(stride time)이 증가하고, 보행속도(gait velocity)가 느려지면서 1분간 보행수(cadence)가 감소한다. 정상인에 비해 한걸음 길이(stride length)가 감소하나 마비측 하지는 비마비측 하지에 비해 한발짝 길이(step length)가 증가된다. 또한, 정상인보다 양하지 지지기(double support phase) 및 입각기(stance phase)가 증가하나 마비측 하지는 비마비측 하지보다 입각기(stance phase)가 짧고, 유각기(swing phase)가 더 길어진다3-6.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는 독립적인 보행 및 기능적 회복을 목표로 재활치료를 실시하는데 마비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발병 후 3개월까지 중요한 회복이 이루어지며, 이후 6개월까지 서서히 회복되는 경과를 취한다7-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anice J, Fang P. Gait training strategies to optimize walking ability in people with stroke : A synthesis of the evidence. Expert Rev Neurother 2007;7(10):1417-36. 

  2. Kim DY, Kim SK, Park JB, Yang JK. Effects of Ankle Foot Orthosis on Post-stroke Hemiplegic Gait.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3;6(1):1-8. 

  3. De Quervain K, Simon SR, Leurgans S, Pease WS, Mcallister D. Gait Pattern in the Early Recovery Period after Strok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1996;78:1506-14. 

  4. Lee SK, Choi SH, Oh JG, Lee IS, Park KE, Hong HJ, et al.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gait.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 Medicine 2013;14(1):1-7. 

  5. Olney SJ, Richards C.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 Characteristics. Gait & Posture 1996;4:136-48. 

  6. Pizzi A, Carlucci G, Falsin C, Lunghi F, Verdesca S, Grippo A. Gait in Hemiplegia : Evaluation of clinical features with the Wisconsin Gait Scale. J Rehabil Med 2007;39:170-4. 

  7. Lim JH, Han AR, Ryu BJ, Pyun SB. Long-term Functional Outcome and Related Factors in Stroke Patients.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3;6(1):26-32. 

  8. Wade DT, Wood VA, Hewer RL. Recovery after stroke-The first 3 month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1985;48:7-13. 

  9. Skilbeck CE, Wade DT, Hewer RL, Wood VA. Recovery after stroke. J NeurolNeurosur Ps 1983; 46:5-8. 

  10. Schmid A, Duncan PW, Studenski S, Lai SM, Richards L, Perera S, et al. Improvements in speed-based gait classifications are meaningful. Stroke 2007;38:2096-100. 

  11.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 1995;76:27-32. 

  12. Mulroy S, Gronley J, Weiss W, Newsam C, Perry J. Use of cluster analysis for gait pattern classification of patients in the early and late recovery phases following stroke. Gait and Posture 2003;18:114-25. 

  13. Mark G, Chitralakshmi K, Richard R, Steven A. Anterior-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s as a Measure of Paretic Leg Contribution in Hemiparetic Walking. Stroke 2006;37:872-6. 

  14. Choi SH, Lee IS, Hong HJ, Oh JG, Sung KK, Lee SK. Correlation between motor function and gait pattern of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 Medicine 2013;14(1):8-14. 

  15. Yeo SW, Lee HJ, Han EY, Jung HY. Influence of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Time on Functional Outcome in Stroke Subjects.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09;2(2):134-9. 

  16. Thorsen AM, Holmquvist LW, de Pedro-Cuesta J, von Koch 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arly supported discharge and continued rehabilitation at home after stroke. Five-year follow-up of patient outcome. Stroke 2004;23 :297-303. 

  17. Fjaertoft H, Indredavik B, Johnsen R, Hydersen S. Acute stroke unit care combined with early supported discharge. Long-term effects on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Rehabil 2004;18:580-6. 

  18. Hong HJ, Kim CH, Lee IS, Lee DH, Park YW, Song IJ, et al. Changes in center of pressure according to gait improvement of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Pilot study.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5;36(4):478-85. 

  19. Lee IS, Park KE, Hong HJ, Sung KK, Lee SK. The change of lateral shift of center of pressure according to the gait improvement in post-stoke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4;35(4):4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