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확정측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6 no.2, 2016년, pp.313 - 323  

문승주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적확정측량규정"이 제정되어 지적확정측량업무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도모하고 있다.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적기준점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경계점에 대한 평면 직각종횡선좌표를 결정함으로써 높은 정확도와 경계복원성을 갖게 된다. 본 연구는 이번에 제정된 규정에서 지적기준점측량에 처음 도입되는 다중기준국 실시간이동측량관련 규정의 문제점과 세부측량에 있어서 예상되는 제도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규정의 개정 및 가구점의 관리를 제시하였다. 이는 지진 등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와 지상의 위치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등에 있어서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구점 관리를 통해 지적확정측량이 실시되면 지적공부의 공신력이 높아지고 경계분쟁의 사전예방 효과 등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지적제도의 운영에 기여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has been established to promot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its work. To do so, it is necessary that cadastral control point should be set up and transverse grid coordinates should be determined for high accuracy and boundary restoration based o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적확정측량분야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은 지적확정측량에서의 신기술 적용에 대한 연구, 세계측지계전환에 따른 성과 변동량 연구, 수수료체계에 관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안현숙 2015; 김명기 2011; 서용수 2012; 곽호선 2008; 이성화·김봉준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연구동향에 발맞추어 현행 지적 확정측량 규정을 보완하여 안정적이고 공신력 높은 지적제도를 확립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행 지적확정측량규정이 정하고 있는 다중기준국실시간 이동측량에 의한 지적기준점측량 관련 조문 및 현장업무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진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지적확정측량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행 지적확정측량규정이 정하고 있는 다중기준국실시간 이동측량에 의한 지적기준점측량 관련 조문 및 현장업무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진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지적확정측량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적확정측량규정」 개정과 가구점에 영구적인 표지를 설치하여 토지경계의 효과적인 관리와 분쟁 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방안을 제시하였다. 규정의 개정은 타 규정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조문을 만들어야 하며, 가구점에 영구적인 표지 설치는 방안은 설치방법의 구체화 및 표지의 형상 제작 등을 완료한 후에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상공시계 불량에 따른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 방법 적용의 문제점을 예상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높이의 구조물(19.8m, 8.5m, 5.5m, 3.5m) 및 측정각도를 달리하여 분석한 상공시계와 위성수신 상태에 대한 실험을 살펴보고자 한다(문정민 2016). Table 1과 같이 구조물에 가까워질수록 수신되는 위성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관측이 안 되는 현상(Auto 또는 Flout)이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조사방법으로 규정의 문제점은 관련규정과의 부합성을 검토하고, 기술적인 측면은 관련 연구논문을 문헌조사 하여 규정의 개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지진에 따른 대응방안은 한반도의 지진현황 및 지진으로 인한 수평성분의 이동현상에 대한 국가 제공 자료를 문헌조사 하였고, 대안으로 일본의 관민경계확정 사례를 조사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적확정측량은 토지개발사업 지역의 토지경계를 종횡선좌표로 등록함으로써 그 정확도를 높이고자하는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위성측량에 관련된 행정규칙의 개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분야에 있어서 규정의 제정에 고려해야할 부분은 무엇인가? 지적분야에 있어서 규정의 제정은 단순히 지적측량 방법 및 행정운영을 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가의지적제도 전반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가정책의 변화, 기술의 발전 및 측량기기의 발달, 사회현상 또는 지형적인 변화 등 다차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적확정측량이란 무엇인가? 지적확정측량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6조의 규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등이 완료되어 새로이 토지가 구획되는 경우에 같은 법 제73조에 따른 경계점좌표등록부에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등록하기 위한 지적측량이다. 기존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선과 면적은 폐쇄되고, 토지개발사업 등으로 새로이 경계(좌표) 및 면적, 지목 등을 결정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행정행위이다(국토해양부 2011).
지적확정측량은 어떤 행위인가? 지적확정측량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6조의 규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등이 완료되어 새로이 토지가 구획되는 경우에 같은 법 제73조에 따른 경계점좌표등록부에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등록하기 위한 지적측량이다. 기존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선과 면적은 폐쇄되고, 토지개발사업 등으로 새로이 경계(좌표) 및 면적, 지목 등을 결정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행정행위이다(국토해양부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국토해양부. 2011. 토지이동편람. p. 28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Land Move Decree. p. 287. 

  2. 김명기. 2011. VRS를 이용한 지적확정측량 성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Kim MG. 2011. Analysis of Readjustment Survey Data by using VRS [Thesis]. Myongji University. 

  3. 김봉준. 2011. 지적확정측량의 비용체계 개선연구:대가체계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지적학회지. 27(1):81-90. Kim BJ.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st System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7(1):81-90. 

  4. 곽호선.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지적확정측량 성과의 변동량 분석. 2008.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Gwak HS. 2008. Analysis Change of Readjustment Surveying Data by Transformation World Geodetic System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5. 대한지적공사. 2010. 외국의 지적재조사 연구보고서. p. 83-96. Th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2010. A Study of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of Foreign Countries. p. 93-96. 

  6. 문정민. 2016. Network RTK-GPS를 이용한 구조물 높이에 따른 정확도 산정.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Mun JM. 2016. Accuracy Calculation of Structure Height with the Use of Network RTK-GPS [Thesis]. Dong-Eui University. 

  7. 서용수. 2012. 측량 효율성 향상을 위한 T/S와 VRS 정확도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지적확정측량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Seo YS. 2012. Comparative Study on Accuracy of T/S and VRS Method for Improving Surveying Efficiency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8. 안현숙. 2015.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지적확정측량 활용 방안:공유수면매립지 신규등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An HS. 2015. A Study on the Method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an UAV : New Registration of the Public Waters Reclaimed Land [Thesis]. Inha University.. 

  9. 기상청. 한국의 지진 분포 [인터넷]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domestictrend.jsp.]. 2016년 6월 28일 검색.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Earthquake trend by year in Korea [Interent].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domestictrend.jsp.]. Last accessed 28 June. 

  10. 일본 국토지리원. 토호쿠 지역의 태평양지대 지진 [Interent]. [http://www.gsi.go.jp/chibankansi/chikakukansi_sanriku.html]. 2016년 6월 29일 검색.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GIAJ). Earthquake in the Pacific Ocean coast of the Tohoku region [Interent]. [http://www.gsi.go.jp/chibankansi/chikakukansi_sanriku.html]. Last accessed 29 June. 

  11. 寶金敏明. 2009. 境界の理論と實務. 日本加除出版.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