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확정측량을 위한 예정지적좌표도 작성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xpected Cadastral Coordinate Mapping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73 - 81  

홍성언 (청주대학교 지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적확정측량의 지구계측량에 따른 유형별 예정지적좌표도 작성 현황과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고, 향후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예정지적좌표도는 기준점 가감, 기준점 가감 및 현형법, 기준점 및 현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지적 확정측량 지구계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개별 필지들에서 중첩이나 공백 등의 불부합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결정에 있어 불부합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통일된 기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연구에서는 지구계 주변 필지들에 대한 수치좌표의 취득 및 관리, 예정지적좌표도 작성을 위한 성과결정 표준 매뉴얼의 작성 및 보급, 성과결정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xpected cadastral coordinate maps by type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and the problems of non-coincidence with the surrounding land parcel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in the future. Currently, the expected cadastral coordin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계측량에 따른 유형별 예정지적좌표도 작성 현황과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불부합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의 제시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계측량에 따른 유형별 예정지적좌 표도 작성 현황과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고, 향후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계측량에 따른 유형별 예정지적좌표도 작성 현황과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불부합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의 제시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확정측량이 진행되는 순서는? 지적확정측량은 관련 법률에서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등의 토지개발사업이 끝나 토지의 표시를 새로 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지적측량”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 지적확정측량은 사업발주 담당부서의 수행자 선정과 계약을 시행한 후에 대상 지구에 대한 기준점측량 과 세부측량, 성과감사가 진행된다. 이후 측량성과도 등의 납품이 이루어지고 지적확정측량 결과물을 반영한 최종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변경 승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업준공, 지적 및 등기정리 순으로 진행이 이루어진다. 지적확정측량 시행전에 대상 사업지구에 대한 분할이 필요하다.
지적확정측량이란? 지적확정측량은 관련 법률에서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등의 토지개발사업이 끝나 토지의 표시를 새로 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지적측량”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 지적확정측량은 사업발주 담당부서의 수행자 선정과 계약을 시행한 후에 대상 지구에 대한 기준점측량 과 세부측량, 성과감사가 진행된다.
본 연구는 지구계측량에 따른 유형별 예정지적좌 표도 작성 현황과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고, 향후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연구의 성과는?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도해 필지와의 불부합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 지적확정측량 예정지적좌표도 작성 유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은 실무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내용을 조사해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기준점 가감을 통한 작성, 기준점 가감 및 현형법을 이용한 작성, 기준점 및 현형법을 이용한 작성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성과를 기초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적확정측량 지구계 예정지적좌표도와 주변 개별 필지 들에서 중첩이나 공백 등의 불부합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정지적좌표도, 확정도, 도시 계획도 간에도 부분적으로 불부합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성과결정에 있어 불부합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통일된 기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 개선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연구에서는 장기적 측면을 고려하여 지구계 예정지적좌표도를 작성함에 있어 주변 필지까지 수치좌표로 취득‧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예정지적좌표도 작성을 위한 성과결정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표준 매뉴얼의 제작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에 서는 성과결정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이와 연계해 지역 본부 단위에서는 지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성과결정 실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ct on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etc. of Spatial Data. Article2&8. 

  2. H. J. Lee & S. E. Hong. (2018). A Study on Key Issues and Improvement of District Boundary Survey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4(3), 221-234. 

  3. T. J. Kim. (1997). A Study on the Analysis of Cadastral Survey Data by 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13(1), 29-45. 

  4. M. K. Kim. (2011). Analysis of Readjustment Survey Data by using VRS.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Gyeonggi. 

  5. Y. S. Seo. (2012). A Comparative Study on Accuracy of T/S and VRS Method for Improving Surveying Efficiency.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Jeonnam. 

  6. H. S. Ahn. (2015). A Study on the Method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an UAV: New Registration of the Public Waters Reclaimed Lan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7. B. J. Lih & J. H. Koh.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National & Public Land Management Model Based on the Dr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2(3), 85-102. 

  8. J. H. Ha. (2017). A Study on Validation of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 by using UAV.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9. K. H. Sun. (2008). Analysis Change of Readjustment Surveying Data by Transformation World Geodectic System.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10. S. H. Lee & B. J. Kim.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st System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7(1), 89-90. 

  11. S. J. Mon. (2016).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6(2), 313-323. 

  12. W. S. Jung & S. G. Kang. (2015). A Plan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of Included Railways and Roads Site to Land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1(2), 29-40. 

  13.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12). Practice of Cadastral Administration, 56-57.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Calculating Unit Cost of Cadastral Surveying Fee, 169.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Standard Methods for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of the Cadastral Surveying. 

  16. LX Education Institute. http://www.lxcti.or.kr 

  17.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2010).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18. J. W. Kim, S. W. Ha & Y. H. Moon. (2017). A Study on Automatic Precision Landing for Small UAV's Industrial Appli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27-36. 

  19. H. J. Cho & K. M. Jeong. (2019). A Study on the Connective Validity of Technology Maturity and Industry for Core Technologies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49-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